카테고리 없음

작업용 의자(chair for work)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1. 16. 17:3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11) 공개번호 20-2008-0000721
(43) 공개일자 2008년04월29일
(51) Int. Cl.

A47C 9/02 (2006.01) A47C 9/00 (2006.01)
(21) 출원번호 20-2006-0028338
(22) 출원일자 2006년10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06년10월24일
(71) 출원인
장순식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동 103-34번지(제
일산업사)
(72) 고안자
장순식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동 103-34번지(제
일산업사)
(74) 대리인
이병일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54) 작업용 의자
(57) 요 약
본 고안은 농업용 시설 하우스 내부나 산업현장에서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해야 하는 근로자가 사용하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좌대의 높낮이와 의자다리의 높낮이를 승강조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작
업자가 편한 자세로 앉아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서 구체적인 것은
지지판(1a)의 앞쪽과 뒷쪽으로 지지각(101)(102)(103)이 형성된 다리부(1)와,
다리부의 지지판(1a)에서 위로 향해 설치되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200)이 형성된 상향지지
대(2)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져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관체(301)와 승강관체의 전방으로 돌출간(302) 형성되어
돌출간위에 장착되는 좌대(3)와,
뒷쪽 지지각(102)(103)에 형성된 안내관(102a)(103a)속으로 끼워지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
(100)이 천공되며 하단에 접지부(104)가 형성된 승강체(102b)(103b)와 안내관에 천공된 구멍(105)외측 지지편
(106)사이에서 축핀(107)으로 지지되고 스프링(1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승강체를 안내관에서 일정높이에 고정시키는 승강체고정구(110)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진 승강관체(301)에 천공된 구멍(305) 외측 지지편(306)사이에서 축핀(307)으로 지지되고
스프링(3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좌대의
위치를 상향 지지대상에서 고정시키는 좌대고정구(310)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의자
대표도 - 도1
- 1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지지판(1a)의 앞쪽과 뒷쪽으로 지지각(101)(102)(103)이 형성된 다리부(1)와,
다리부의 지지판(1a)에서 위로 향해 설치되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200)이 형성된 상향지지
대(2)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져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관체(301)와 승강관체의 전방으로 돌출간(302) 형성되
어 돌출간위에 장착되는 좌대(3)와,
뒷쪽 지지각(102)(103)에 형성된 안내관(102a)(103a)속으로 끼워지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
(100)이 천공되며 하단에 접지부(104)가 형성된 승강체(102b)(103b)와 안내관에 천공된 구멍(105)외측 지지편
(106)사이에서 축핀(107)으로 지지되고 스프링(1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승강체를 안내관에서 일정높이에 고정시키는 승강체고정구(110)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진 승강관체(301)에 천공된 구멍(305) 외측지지편(306)사이에서 축핀(307)으로 지지되고
스프링(3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좌대의
위치를 상향지지대상에서 고정시키는 좌대고정구(310)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의자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농업용 시설 하우스 내부나 산업현장에서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해야 하는 근로자가 사용하는 작업용<14>
의자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좌대의 높낮이와 의자다리의 높낮이를 승강조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작
업자가 편한 자세로 앉아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종래의 작업용 의자는 의자 좌대의 높이가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이 않<15>
으면 자세가 편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시 피로가 쉽게 오는 불편이 있고 좌대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기는 하나 그 조작이 복잡하여 간편하지 못한 등의 결점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16>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본 고안은 지지판(1a)의 앞쪽과 뒷쪽으로 지지각(101)(102)(103)이 형성된 다리부(1)와, <17>
다리부의 지지판(1a)에서 위로 향해 설치되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200)이 형성된 상향지지<18>
대(2)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져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관체(301)와 승강관체의 전방으로 돌출간(302) 형성되
어 돌출간위에 장착되는 좌대(3)와,
뒷쪽 지지각(102)(103)에 형성된 안내관(102a)(103a)속으로 끼워지고 외측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19>
(100)이 천공되며 하단에 접지부(104)가 형성된 승강체(102b)(103b)와 안내관에 천공된 구멍(105)외측 코일스프
링에 지지편(106)에서 축핀(107)으로 지지되고 스프링(1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
(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승강체를 안내관에서 일정높이에 고정시키는 승강체고정구(110)와
상향지지대(2)에 끼워진 승강관체(301)에 천공된 구멍(305) 외측지지편(306)사이에서 축핀(307)으로 지지되고<20>
스프링(308)에 의하여 하단부가 내측으로 탄압되는 곳에 고정핀(309a)이 형성된 작동레버(309)에 의하여 좌대의
위치를 상향지지대 상에서 고정시키는 좌대고정구(31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고안의 효과
- 2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지지판(1a)의 앞쪽과 뒷쪽으로 지지각(101)(102)(103)이 형성되어 뒷쪽 지지각에 형성<21>
된 안내관 속으로 각각 승강체가 끼워저서 그 외측면의 일정간격으로 끼워진 구멍(100)에 안내관 외면에 장치된
승강체 고정구의 고정핀(309a)이 삽통되므로 승강체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지면이 고르지 않는
장소라 해도 다리부(1)를 안전하게 세울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지지판(1a)에 형성된 상향지지대(2)에는 좌대(3)
가 부착된 승강관체(301)가 끼워져서 상향지지대(2)의 구멍(200)에 승강관체(301) 외면에 장치된 좌대고정구
(310)의 고정핀(309a)이 투입되어 고정되므로 좌대고정구를 이용하여 좌대의 높이를 작업조건에 맞는 높이에 유
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하기에 좋은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편안
한 자세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작업용 의자는 좌대고정구(310)와 승강체 고정구(110)의 작동레버(309)가 안내관(102a)(103a)<22>
과 승강관체(301)의 구멍(105)(305)외측에 장치되어 스프링에 의하여 고정핀 부분이 내측으로 향하게 탄압되기
때문에 승강체와 좌대(3)의 높낮이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가볍고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농업용이나 산업용
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2>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3>
도 4(가)(나)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구 단면도<4>
도 5는 본 고안의 좌대 부분 확대도이다.<5>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6>
1 : 다리부 1a : 지지판<7>
2 : 상향지지대 3 : 좌대<8>
100 : 구멍 101,102,103 : 지지각<9>
105 : 구멍 106 : 지지편<10>
107 : 축핀 108 : 스프링<11>
110 : 승강체고정 200 : 구멍<12>
301 : 승강관체 305 : 구멍 306 :
외측지지편 309 : 작동레버
310 : 좌대고정구<13>
- 3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도면
도면1
- 4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도면2
- 5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도면3
- 6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도면4
- 7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
도면5
- 8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