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천장 고정구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1. 22. 19:3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51) Int. Cl.
6
E04B 1/41
(11) 공개번호 실2000-0000077
(43) 공개일자 2000년01월15일
(21) 출원번호 20-1998-0009318
(22) 출원일자 1998년06월01일
(71) 출원인 정성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615-49호
(72) 고안자 정성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615-49호
(74) 대리인 문승영
심사청구 : 있음
(54) 천장 고정구
요약
본 고안은 천장판재 및 배관파이프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여 천장슬래브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천장 고정구는 끼움홈(11)에 끼워지는 중공(701)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체(702)의 일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홈(703)이 상호 대칭되게 수 개 형성되는
매설고정부(70)와, 상기 절개홈(70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70)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체(711)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직경이 증가되어 테이퍼지도록 머리부(712)가 형성되고, 중공(713)으로 양측이 연통
된 원통체(711)의 구멍 내측면에 나사산부(714)가 형성된 끼움고정부(71)로 구성되므로써 시공이 간편하
고, 작업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써 공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대표도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천장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천장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개량된 천장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천장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천장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천장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천장슬래브 20:천정판재
50:판재고정부 60:탄성고정부
70:매설고정부 71:끼움고정부
6-1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
701:중공 702:원통체
703:절개홈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천장슬래브에 고정되어 천장판재 또는 배관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천장 고정구에 관한 것으
로, 특히 천장판재 및 배관파이프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여 천장슬래브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고정구는 천장슬래브 밑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매설되는 천장판재 또는 소정의 배관파
이프를 나선볼트로 체결하여 상호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천장 고정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천장슬래브(10)에 매설된 천장 고정구(30)와, 천장판재(20)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판재고정구(50),
또는, 개구된 일측으로 강제 삽입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이프(P)를 수용하는 파이프고정구(60)를 나사
결합으로 상호 고정하는 나사연결구(40)에 의해 상기 천장판재(20)나 배관파이프(P)를 선택적으로 천장
슬래브(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천장 고정구(3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311)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체(312)의 일
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홈(313)이 상호 대칭되게 수 개 형성되고, 원통체(312)의 타측 내면에 나사산
부(314)가 형성되는 매설고정부재(31)와, 상기 절개홈(31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재(31)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체(322)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직경이 증가되어 테이퍼지도록 머리부(321)가 형성된 끼움고
정부재(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장 고정구(30)는 먼저, 절개홈(313)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매설고정부재(31)의 일
측 구멍으로 상기 테이퍼진 머리부(321)가 선단에 걸릴 때까지 끼움고정부재(32)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천장슬래브(10)의 끼움홈(11)에 상기 끼움고정부재(32)가 삽입된 방향으로 매설고정부재(31)를 매설하여
타설시키게 되면 절개홈(313)이 형성된 상기 매설고정부재(31)의 일측 구멍에 끼워진 상기
끼움고정부재(32)의 머리부(321)가 상기 끼움홈(11)의 내측상면에 눌려 하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써 절
개홈(31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재(31)의 일측이 테이퍼진 머리부(321)의 외주면을 타고 벌어져 상기 천
장슬래브(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천장슬래브(10)에 고정되는 천장 고정구(30)에 천장판재(20)에 고정되는 판재고정구(50), 또
는 개구된 일측으로 강제 삽입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이프(P)를 수용하는 파이프고정구(60)를 나사
연결구(40)로 상호 체결하므로써 상기 천장판재(20), 또는, 파이프고정구(60)를 상기 천장 고정구(30)를
통해 천장슬래브(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천장 고정구는 천장 판재의 하중을 매설고정부재에 직접 가하게 되므로써 절
개홈이 형성된 상기 매설고정부재의 일측 구멍에 끼워져 벌어진 일측이 끼움고정부재의 테이퍼진 머리부
의 외주면을 타고 하향이동으로 오므라들게 됨으로써 매설고정부재 전체가 쉽게 이탈되어 무거운 하중을
지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량된 천장 고정구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중공(311A)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체(312A)의 일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홈(313A)이 상호 대칭되
게 형성되는 매설고정부재(31A)와, 상기 매설고정부재(31A)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홈이 형
성된 상기 매설고정부재(31A)의 일측부를 외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서 직경이 증가되는 테
이퍼진 머리부(3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길게 나선볼트(332)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누름부(33)로 구성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장 고정구(30A)는 선단에 수 개의 절개홈(311A)이 형성된 매설고정부재(31A)의 일
측 구멍으로 나선볼트(332)를 통과시킨 후, 상기 매설고정부재(31A)의 선단에 테이퍼진 머리부(331)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331) 방향으로 천장슬래브(10)의 소정위치에 요입된 끼움홈(11)에 끼워 상방
으로 타설하게 되면 절개홈(311A)이 형성된 상기 천장 고정구(30A)의 일측이 외향으로 벌어지며
끼움홈(11)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천장슬래브(10)에 고정된다.
상기 천장슬래브(10)에 고정된 천장고정구(30A)에 천장판재(20) 또는 배관파이프(P)를 고정할 수 있도록
천장판재(20)에 고정되는 판재고정구(50), 또는, 개구된 일측으로 강제 삽입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
이프(P)를 수용하는 파이프고정구(60)의 소정 체결홈(미도시)에 나선볼트(332)로 체결하여 상호 고정시
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장 고정구는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나선볼트의 길이가 한정되어 천장판
재 또는 배관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절단, 또는 용접으로 길이를 조절해야 하므로써 시공이 불편하게 되
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천장 슬래브에 천장부재
및 배관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천장부재 및 배관파이프의 설치 높낮이를
조정하여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천장 고정구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중공으로 양측이 연통된
6-2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
원통체의 일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홈이 상호 대칭되게 수 개 형성되는 매설고정부와,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매설고정부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체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직경이 증가되어 테이퍼지도
록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공으로 양측이 연통된 구멍 내측면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끼움고정부를 포함하
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천장 고정구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천장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천장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천장 고정구는 천장슬래브(10)의 끼움홈(11)에 고정되어 천장판재(20) 또는 배관파
이프(P)를 고정지지한다.
이러한 천장 고정구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끼움홈(11)에 끼워지는 중공(701)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
체(702)의 일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홈(703)이 상호 대칭되게 수 개 형성되는 매설고정부(70)와, 상
기 절개홈(70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70)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체(711)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직경이 증가되어 테이퍼지도록 머리부(712)가 형성되고, 중공(713)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체(711)의 구
멍 내측면에 나사산부(714)가 형성된 끼움고정부(7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개홈(703)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매설고정부(70)의 일측 구멍으로 끼움고정부(71)를 끼운 상
태에서 상기 천장슬래브(10)의 끼움홈(11)에 상기 끼움고정부(71)가 삽입된 방향으로 매설고정부(70)를
매설하여 타설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고정부(71)의 머리부(712)가 상기 끼움홈(11)의 내측상면에 눌려 하
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절개홈(70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70)의 일측이 테이퍼진 머리부(712)의
외주면을 타고 벌어져 상기 천장슬래브(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천장판재(20)의 판재고정구(50), 또는, 개구된 일측으로 강제 삽입 후 탄성복원력에 의
해 파이프(P)를 수용하는 파이프고정구(60)에 고정된 나사연결구(40)를 상기 천장슬래브(10)에 고정된
끼움고정부(71)의 중공(713)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부(714)에 직접 체결하므로써 상기 천장판재(20),
또는, 파이프(P)를 상기 천장슬래브(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천장 고정구는 천장부재 및 배관파이프의 설치 높낮이를 조정하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천장슬래브(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천장판재(20) 또는 배관파이프(P)를 고정지지하는 천장 고정구
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에 끼워지는 중공(701)으로 양측이 연통된 원통체(702)의 일측 선단부에 소정길이 절개
홈(703)이 상호 대칭되게 수 개 형성되는 매설고정부(70)와;
상기 절개홈(703)이 형성된 매설고정부(70)의 일측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체(711)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직경이 증가되어 테이퍼지도록 머리부(712)가 형성되고, 중공(713)으로 양측이 연통된 상기 원통체(711)
의 구멍 내측면에 나사산부(714)가 형성된 끼움고정부(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고정구.
도면
6-3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
도면1
도면2
6-4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
도면3
도면4
도면5
6-5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
도면6
도면7
6-6
공개실용신안실2000-0000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