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액자 조립체(A picture frame assembly)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5. 17:3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11) 공개번호 20-2008-0000335
(43) 공개일자 2008년03월24일
(51) Int. Cl.

A47G 1/06 (2006.01)
(21) 출원번호 20-2008-0002687
(22) 출원일자 2008년02월28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2월28일
(71) 출원인
송석우
서울 서초구 서초1동 1442-9 2층
(72) 고안자
송석우
서울 서초구 서초1동 1442-9 2층
(74) 대리인
리앤목특허법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액자 조립체
(57) 요 약
액자본체 내부에 멜로디 발생기가 수용되도록 하여 벽면에 설치시 벽면으로부터 액자의 돌출높이를 줄이고 또한
멜로디 발생기의 드럼을 교환가능하게 하고 복수의 드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멜로디 발생기를 가지는 액자 조
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조립체는 액자본체(20)와, 액자본체(20)의 일면에 결합되는 투명판(30)을 구비하여서, 액자본체(20)와 투명판
(30)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을 결합시켜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액자본체(20)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수
용홈(21)이 형성되고, 수용홈(21)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기(50)가 수용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조립체는 액자본체에 멜로디 발생기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벽면에 액자를
설치할때 벽면으로부터 액자의 들뜸을 줄임으로써 실내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을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드럼을 액자본체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드럼의 분
실을 방지할 수 있다.
대표도 - 도1
- 1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액자본체와, 상기 액자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투명판을 구비하여서, 상기 액자본체와 투명판 사이에 사진 또
는 그림을 결합시키는 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액자본체(20)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기(50)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관통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멜로디 발생기(50)는,
베이스(55)와;
권회되어 탄성복원회전력을 가지는 스프링판과, 이 스프링판의 중심에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관통공(21a)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태엽축(51a)과, 상기 탄성복원회전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51b)와, 상기 태엽축
(51a)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53)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되는 태엽유니트(51)와;
상기 스프링판의 탄성복원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외주면에 소정패턴으로 복수의 돌기(53a)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53)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되고 각 타단부들이 상기 각 돌기(53a)에 연동되어 각기 다른 진동주파수를 발생
시키는 복수의 진동판(52a)을 가지는 진동발생부재(5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3)은 그 외주면에 다른 패턴의 돌기(53a)들이 형성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액자본체(20)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드럼(53)들이 결합 수용되는 복수의 결합홈(22)
이 형성되며,
상기 각 드럼(53)의 일측에는 상기 태엽유니트(51)의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53c)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드럼축(53b)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55)에는 상기 드럼축(53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된 고정부재(55a)와, 상기 베이스(55)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55b)가 마련되어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드럼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액자본체 내부에 멜로디 발생기가 수용되도록 하여 벽면에 설치<1>
시 벽면으로부터 액자의 돌출높이를 줄이고, 멜로디 발생기의 드럼을 교환가능하게 하며, 복수의 드럼을 수용
할 수 있도록 한 멜로디 발생기를 가지는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실내벽면 또는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액자는 액자본체와<2>
투명판 사이에 사진이나 그림등을 개재하여서, 시각적으로 관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액자는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는 전시된 사진이나 그림에 무감각하게 되어 액자를 설치하<3>
- 2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는 의미가 저하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7-7618호 및 실용공고 제1990-1140호에는 메로디를 발생시키는 액자가 개<4>
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자는 벽면에 거치시킬 수 없거나, 거치할 수 있더라도 사진틀 지지각으로 인하여 벽면으로부<5>
터 과도하게 돌출되어서 실내 환경 분위기를 저하시킨다.
또한, 이러한 액자에 채용된 멜로디는 전자멜로디로서 저장된 음악만을 발생하므로 일정기간 청취 후에는 식상<6>
함을 느끼게 되며, 건전지의 소모로 비용부다이발생하게 된다.
고안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멜로디 발생기를 채용함에도 불구하고 액<7>
자를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가능하도록 한 멜로디발생기를 가지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멜로디발생기의 드럼을 교체가능하게 하여 다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8>
드럼을 수용가능한 멜로디 발생기를 가지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은 액자본체와, 상기 액자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투명판을 구비하여서, 상기 액자<9>
본체와 투명판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을 결합시키는 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액자본체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수용홈이 형성되고,<10>
상기 수용홈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기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11>
또한, 본 고안 액자조립체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12>
상기 멜로디 발생기는,<13>
베이스와; 권회되어 탄성복원회전력을 가지는 스프링판과, 이 스프링판의 중심에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관통<14>
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태엽축과, 상기 탄성복원회전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태엽축의 단
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태엽유니트와;
상기 스프링판의 탄성복원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고 외주면에 소정패턴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15>
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각 타단부들이 상기 각 돌기에 연동되어 각기 다른 진동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16>
수의 진동판을 가지는 진동발생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액자조립체는, 상기 드럼은 그 외주면에 다른 패턴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복수로 구비되고,<17>
상기 액자본체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드럼들이 결합 수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18>
상기 각 드럼의 일측에는 상기 태엽유니트의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드럼축이 마련<19>
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드럼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되,<20>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가 마<21>
련되어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드럼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22>
효 과
첫째, 액자본체에 멜로디 발생기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벽면에 액자를 설치할때 벽<23>
면으로부터 액자의 들뜸을 줄임으로써 실내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드럼을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한가지 음악만을 청취하는 식상함<24>
- 3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을 해소할 수 있다.
세째, 복수의 드럼을 액자본체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드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25>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고안 실시예의 액자 조립체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액자본체(20)와, 상기 액자본체(20)의 일면에<26>
결합되는 투명판(30)을 구비하여서, 액자본체(20)와 투명판(30)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을 결합시켜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실시예의 액자조립체는 상기 액자본체(20)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상기<27>
수용홈(21)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기(50)가 수용된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멜로디 발생기(50)가 액자본체(2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액자본체(20) 외측으로 멜로디발생기<28>
(50)가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벽면에 걸어둘때 벽면으로부터 액자본체(20)가 과도하게 들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투명판(30)과 액자본체(20)의 결합은, 액자본체(20)의 모서리부분에 자석(40)을 결합고정시키고 각 자석<29>
(40)에 대응되는 투명판(30)에는 금속(41)을 결합시켜서 상호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사진은
액자본체(20)와 투명판(30) 사이에 결합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멜로디 발생기(50)는 베이스(55)와; 권회되어 탄성복원회전력을 가지는<30>
스프링판(미도시)과, 이 스프링판의 중심에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수용홈(2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태엽축(51a)과, 상기 탄성복원회전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51b)와, 상기 태엽축(51a)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53)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되는 태엽유니트(51)와; 상기 스프링판의 탄
성복원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외주면에 소정패턴으로 복수의 돌기(53a)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53)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되고 각 타단부들이 상기 각 돌기(53a)에 연동되
어 각기 다른 진동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진동판(52a)을 가지는 진동발생부재(52);를 구비한다.
상기 드럼(53)은 그 일측에는 상기 태엽유니트(51)의 구동기어(51b)와 연결되는 종동기어(53c)가 마련되고 타측<31>
에는 베이스(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축(53b)이 마련된다.
상기 태엽유니트(51)는 시계의 태엽에서와 같이 공지된 구성이 적용되며, 태엽의 스프링판이 복원회전될때 구동<32>
기어(51b)가 회전되면서 드럼(53)의 종동기어(53c)와 맞물려 회전시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태엽축(51a)은 액자본체(20)의 후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태엽축<33>
(51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손잡이(53)를 사용한 후에는 액자본
체(2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벽면에 액자를 걸을때 벽면에 액자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멜로디 발생기(50)는 태엽유니트(51)의 스프링판이 복원회전되면서 드럼(53)을 일방향으로<34>
회전시킬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판(52a)이 돌기(53a)들에 연동되어 탄성변형되고 복
원되면서 각 진동판(52a)들이 공유진동을 하게 되면서 소정의 음악을 연주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실시예의 액자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드럼(53)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음악을 청취할<35>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 액자조립체에는 외주면에 다른 패턴의 돌기(53a)들이 형성된 복수의 드럼(53)을 구비하고, 상기 액<36>
자본체(2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55)에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드럼(53)들이 결합 수용되는 복수
의 결합홈(22)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53)은 베이스(55)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바, 상기 베이스(55)에는<37>
상기 드럼축(53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55)에 고정된 고정
부재(55a)와, 상기 베이스(55)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55b)가 마련되어서, 상기 베이스(5
5)로부터 상기 드럼(53)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액자 조립체는 액자본체(20)에 멜로디 발생기(50)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21)을 형<38>
성시킴으로써, 벽면에 액자를 설치할때 벽면으로부터 액자의 들뜸을 줄임으로써 실내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
다.
또한, 착탈부재(55b)의 나사(56)조립 및 분리를 수행함으로써, 드럼(53)을 교체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음악을<39>
- 4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드럼(53)을 액자본체(20)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40>
또한, 자석(40) 및 금속(41)에 의한 자력 부착으로 투명판(30)을 액자본체(2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41>
사진이나 그림의 교체를 간편하게 하며, 또한 이로써 드럼(53) 교체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액자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42>
도 2는 도 1의 멜로디 발생기를 나타낸 사시도,<43>
도 3은 드럼과 진동판의 연동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44>
도 4는 액자본체의 후면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45>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액자본체 후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46>
도면
도면1
- 5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도면2
도면3
도면4
- 6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
도면5
- 7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