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Filter-presser and clean water system by using the sam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09-0109026
(43) 공개일자 2009년10월19일
(51) Int. Cl.
B01D 3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34418
(22) 출원일자 2008년04월14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4월14일
(71) 출원인
윤명순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 277-37 성원상떼뷰 820호
한화레저주식회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44-4 태양빌딩 610
(72) 발명자
윤명순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 277-37 성원상떼뷰 820호
(74) 대리인
유인경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54) 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57) 요 약
본 발명은 대용량의 물을 정수하는 것은 물론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역세척 공정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 여
과판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다수의 유수대와 유수로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고 그 상부에
여과포가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여과판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여과판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정수가 이루어지고 금형의 제작 비용 및 작업
성이 용이하며, 역세척 시에는 탈리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대 표 도 - 도1
- 1 -
공개특허 10-2009-0109026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다수의 유수대와 유수로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고 그 상부에 여과포가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여과판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은
상기 여과판의 좌우를 구획하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획대와;
상기 구획대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다수의 유수대와 유수로; 및
상기 관통공과 유수로를 연통시키되, 홀수 또는 짝수의 관통공에만 형성되는 연통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의 상하 중도부에 중간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격판의 상하에 각각 유수대와 유수로가 번갈아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청구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로의 바닥은 관통공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
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청구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수대의 바닥은 관통공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측 유수대의
바닥은 관통공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
의 여과판.
청구항 6
공급관이 연결되어 최하단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다수개 적층되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의 여과판 중 어느 하나의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최상측에 구비되며 배출관이 연결되는 상부판;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
청구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상하 여과판의 구획대에 형성되는 상하측 연통공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
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정수시스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 2 -
공개특허 10-2009-0109026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대용량 정수시스템의 여과판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대용량의<1>
물을 정수하는 것은 물론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역세척 공정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 여과판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상수원을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 상수원에 포함된 다양한 슬러지를 여과하고<2>
정화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영장 등에 물을 공급하거나, 수영장 등에서 사
용한 물을 다시 걸러 수영장으로 순환시키기 위해서도 물속에 포함된 아주 미세한 슬러지까지 확실하게 걸러내
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최근에는 여과포가 부착된 다수의 여과판을 쌓고, 상기 여과판의 여과포를 통해 이물질 등의<3>
슬러지를 걸러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정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여과판에는 양측 자장자리 측에 각각 여러개의 관통공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4>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여과판의 전측 관통공을 통해 여과포의 하
부에서 상측으로 상승하여 후측 관통공으로, 그리고, 후측 관통공으로 공급되는 물은 전측 관통공 측으로 이동
하여 상승함으로써, 서로 교차되지 않는 상태로 상승 이동한 후 정수되어 최상측의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 또는 소정의 용량 이상의 정수작업을 수행하고 나면, 역세척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5>
이를 위해 정수작업을 중지하고 상측의 배출관을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써 여과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나면서
여과포 하부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켜 하부의 공급관으로 배출시켜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시스템은 여과포 하부에 부착된 슬러지가 여과판의 중앙에서 쌓여 탈리 및 배출<6>
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렇게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정수시스템은 정수 효율이 저하
되게 된다.
또한, 관통공이 여과판의 양측에 형성됨에 따라 공급되는 물이 제대로 여과되지 않고 관통공을 통해 그대로 통<7>
과하는 경우가 많고, 여과판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이 복잡해지고 제작비용도 상승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으며, 정수효과도 떨어지게 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역세척 시 슬러지의 탈리 및 배출이 용<8>
이하도록 함에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확실하고 효과적인 정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해결<9>
의 과제가 있다.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위해 다수의 유수대와 유수로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고 그 상부에 여과포가<10>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판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여과판의 일측에만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여과판은 상기 여과판의 좌우를 구획하며 관통공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획대와; 상기 구획<11>
대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다수의 유수대와 유수로; 및 상기 관통공과 유수로를 연통시키되,
홀수 또는 짝수의 관통공에만 형성되는 연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판의 상하 중도부에 중간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격판의 상하에 각각 유수대와 유<12>
수로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측 유수대의 바닥은 관통공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되<13>
고, 하측 유수대의 바닥은 관통공 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3 -
공개특허 10-2009-0109026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급관이 연결되어 최하단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다수개 적층되는 여<14>
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최상측에 구비되며 배출관이 연결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대용량 정수시스템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되는 상하 여과판의 구획대에 형성되는 상하측 연통공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15>
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효 과
본 발명은 종래보다 여과판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정수가 이루어지고 금형의 제작 비용 및 작업성이<16>
용이하며, 역세척 시에는 탈리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7>
본 발명의 여과판(100) 일측에는 좌우를 구획하는 구획대(110)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대(110)의 일측에는 여과<18>
판(100)의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20)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구획대(110)의 타측에는 상하 중도부에 상하를 구획하는 중간격판(130)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격판<19>
(130)의 상하에는 각각 구획대(110)에서 끝단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하 유수대(140)와 상하 유수로(150)가 소정의
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 유수로(150)는 구획대(110) 측에서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고,<20>
하측 유수로(150)는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대(110)에는 관통공(120)과 유수로(150)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통공(160)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21>
관통공(120) 중 홀수측 관통공(120a) 또는 짝수측 관통공(120b)에만 연통공(1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대(110)에서 끝단까지의 유수로(150) 위에는 여과포(170)를 부착한다.<22>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100)을 이용하여 정수시스템(200)을 구성하게 되는 바, 상기 여과판(100)을 다<23>
수 적층하며, 여과판(100) 최하단에는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11)이 연결되는 하부판(210)이 적층되고, 최상
단에는 배출관(221)이 연결되는 상부판(220)이 적층되어 견고히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여과판(100)은 홀수측 여과판(100a)과 짝수측 여과판(100b)이 서로 다른 형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24>
바람직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수측 여과판(100a)은 홀수측 관통공(120a)에만 유수로(150)와 연통되
는 연통공(160)이 형성되고 짝수측 여과판(100b)은 짝수측 관통공(120b)에만 연통공(160)이 형성되어 유수로
(150)와 연통되는 여과판(100)을 적층된다.
그러므로, 공급관(211)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일부는 홀수측 여과판(100a)의 홀수측 관통공(120a)에서 구획대<25>
(110) 하부에 형성된 연통공(160)을 통해 상부 유수로(150)로 흐르면서 저면에 활성탄이 부착된 여과포(170)를
거쳐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여과되고, 짝수측 관통공(120b)으로 공급되는 나머지 일부의 원수는 연통공(160)
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유수로(150) 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상부 짝수측 여과판(100b)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짝수측 여과판(100b)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홀수측 관통공(120a)에는 연통공(160)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26>
로 유수로(150) 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그대로 상부측 여과판(100)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짝수측 관통공(120b)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연통공(160)을 통해 유수로(150)로 흘러 상부의 여과포(17<27>
0)를 거쳐 여과되고, 이는 최상부의 배출관(221)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용량의 여과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면, 역세척을 거쳐 여과포(170) 하부에 부착된<28>
슬러지를 탈리시켜 세척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를 위해 반대로 배출관(221)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여과판(100)의 여과포(17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29>
여 지나면서 여과포(170) 하부에 부착된 슬러지가 탈리된다. 또한, 탈리된 슬러지는 연통공(160)을 거쳐 관통공
(1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여과판(100)의 유수로(150) 끝단이 관통공(120) 측보다 더 높게 형성되므로, 여과포(170)에서<30>
탈리된 슬러지가 관통공(120) 측으로 쉽게 배출이된다.
- 4 -
공개특허 10-2009-0109026
아울러,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200)의 여과포(170) 상면에 활성탄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저면보다 두껍게 부착할<31>
수가 있기 때문에, 상부판(220)의 배출관(221)을 통해 원수를 공급하면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상측에서 원수를 공급하여 정수시킨 후 하측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역세척시 여과포(170) 상부에 부착<32>
된 슬러지를 탈리시켜 관통공(120)을 통해 상측 여과판(100) 측으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여과판(100) 하부에
형성된 유수로(150)가 관통공(120) 측의 높이가 더 낮기 때문에 탈리된 슬러지가 관통공(1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한 것도 당연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사시도<3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수측 여과판과 짝수측 여과판을 적층하기 위한 상태도<3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을 적층하여 정수시스템을 형성한 상태의 개념도<3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36>
100 : 여과판 110 : 구획대<37>
120 : 관통공 130 : 중간격판<38>
140 : 유수대 150 : 유수로<39>
160 : 연통공 170 : 여과포<40>
200 : 정수시스템 210 : 하부판<41>
211 : 공급관 220 : 상부판<42>
221 : 배출관<43>
도면
도면1
- 5 -
공개특허 10-2009-0109026
도면2
도면3
- 6 -
공개특허 10-2009-0109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