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11. 12:50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 -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Int. Cl.7
A61M 25/02
(11) 공개번호
(43) 공개일자
10-2005-0004983
2005년01월13일
(21) 출원번호 10-2003-0044088
(22) 출원일자 2003년07월01일
(71) 출원인 슈이 밍 쳉
대만 타이춍시 시츄이 춍이체 8샹 14하우
후앙 밍 밍
대만 타이춍시 춍츄이 리우츙동루 3 도앙 5 하우 7층
쉬 필립
대만, 타이청 시, 시 구., 충-아이 가., 레인 8, 14번지
(72) 발명자 슈이 밍 쳉
대만 타이춍시 시츄이 춍이체 8샹 14하우
후앙 밍 밍
대만 타이춍시 춍츄이 리우츙동루 3 도앙 5 하우 7층
쉬 필립
대만, 타이청 시, 시 구., 충-아이 가., 레인 8, 14번지
(74) 대리인 박영우
김삼용
심사청구 : 없음
(54)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요약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배럴(2, 9)의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맞물리며 상기 배럴(2, 9)의 통로(21)와 소통되는
덕트(513)를 갖는 카테터 허브(5)를 포함한다. 관상 카테터(6)는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뉼러(32)가 통과되도록 한다. 플런저(4)는 상기 통로(21)에 수용되고 수동으로 작동되기 위해 상기 배럴(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런저(4)는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하는 공동(41)을 구비하여, 상기 대기와 상기 감소
된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공동(41)의 내부로 끌러 들어가도록 상기 통로(21) 안
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연결된다.
대표도
도 3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카테터에 니들 캐뉼러가 끼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접촉하고 있
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플런저 바디로부터 떨어진 상
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관상 니들 시트와 니들 캐뉼러가 플런저 바
디 내부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2:배럴
3:니들 어셈블리 4:플런저
5:카테터 허브 6:관상 카테터
7:채혈 부재 9:배럴
11:관상 니들 시트 12:니들 캐뉼러
13:카테터 허브 14:유연 관상 카테터
21:통로 31:관상 니들 시트
32:니들 캐뉼러 33:팁 프로텍터
34:슬리브 튜브 41:공동
42:플런저 바디 43:밀봉 부재
51:중앙 관상 벽 52:플러그
53:관상 인서트 54:방어 부재
공개특허 10-2005-0004983
- 3 -
55:튜브 인서트 61:근접부
62:원격부 71:수용 공간
72:벽 73:안내 포트
74:공기 배출구 81:제1 유연 연결 튜브
82:제2 유연 연결 튜브 91:소직경부
92:대직경부 111:허브 단부
121:노치 211:소직경부
212:대직경부 213:숄더부
221:외부 배럴 벽면 222:내부 배럴 벽면
223:개방 전방 단부 224:개방 후방 단부
225:제1 암나사부 226:제2 암나사부
311:맞물림 벽 312:앵커부
313:허브 단부 314:제2 수나사부
315:제3 수나사부 316:볼록면
321:팁 단부 322:고정 단부
323:중앙부 331:큰 개방 단부
341:개방 단부 421:상단벽
422:하단벽 423:외부 플런저 벽면
424:내부 주변 에지부 425:암나사부
425:제1 수나사부 426:캐처부
431:리세스 432:앵커부
433:제3 암나사부 434:밀봉부
511:슬리브 벽 512:팁 벽
513:덕트 514:소통 포트
515:리엔트리 포트 516:관통홀
517:삽입 홀 518:유지 숄더
519:경계부 531:관통로
532:후방 플레어 단부 534:전방 목 단부
535:유체 통로 536:내부 인접면
공개특허 10-2005-0004983
- 4 -
551:유체 통로 552:후방 플레어 단부
554:전방 목 단부 555:리엔트리 포트
611:플랜지부 931:개방 전방 단부
932:개방 후방 단부 934:외부 배럴 벽면
935:수나사부 936:내부 배럴 벽면
2211:전방부 3121:축방향 관통홀
3122:앵커 단부 4241:돌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이 감소된 상태의 플런저 공동 내로 니들 캐뉼
러가 끌려 들어가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환자의 정맥에 약물을 주사하거나 환자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뽑을 때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카
테터에 니들 캐뉼러가 끼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단부(111)가 있는 관상 니들 시
트(11), 상기 허브 단부(111)에 고정되는 니들 캐뉼러(12), 상기 니들 시트(11)에 끼워지는 카테터 허브(13), 그리고
상기 카테터 허브(13)에 고정(고정)되는 유연 카테터 허브(14)를 포함한다. 사용 시에, 상기 카테터(14)와 상기 니들
캐뉼러(12)는 간호사가 상기 카테터(1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예리한 팁을 환자의 정맥에
찔러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간호사는 한편으로는 상기 카테터(14)로부터 상기 니들 캐뉼러(12)를 끌어
당기고,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환자의 정맥으로부터 상기 카테터(14)를 떼
어낸다. 그 후, 약액이 들어 있거나 배럴이 비어 있는 주입 부재(도시도지 않음)가 상기 약액을 상기 환자의 정 맥에
주입하거나 채혈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허브(13)와 연결된다. 이 때, 간호사는 사용된 니들 캐뉼러(12)와 상기 니들
시트(11)를 가까운 쟁반(도시되지 않음)에 두어야 하므로, 상기 사용된 니들 캐뉼러(12)의 예리한 팁이 노출되어 우
연히 니들에 찔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허브(13)가 상기 주입 부재나 빈 배럴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혈액
오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노치(121)를 통해 상기 카테터(14)로의 혈액의 흐름은 상기 반투명의 카테
터(14)에 의해 관찰된다. 그러나, 상기 노치(121)가 있기 때문에 상기 니들 캐뉼러(12)는 상기 환자의 정맥 내부로 상
기 카테터(14)를 이송 시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치(121)가 있는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부위는
상기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카테터(14) 내의 상기 혈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연한 부주의로 사용 후의 니들 캐뉼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에 따라 끌어 들여진 상기
니들 캐뉼러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공개특허 10-2005-0004983
- 5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카테터 허브, 관상 카테터, 배럴, 니들 캐뉼러, 관상 니들 시트 및 플
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 허브는 제1 축선을 둘러싸고 관통 홀을 한정하는 팁 벽, 상기 관통 홀보다 큰 삽입 홀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 슬리브 벽, 그리고 상기 팁 벽과 상기 슬리브 벽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삽입 홀을 소통
시키는 덕트를 한정하며 상기 덕트와 대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소통 포트를 갖는 중앙 관상 벽을 포함한다.
상기 관상 카테터는 상기 관통 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와, 상기
팁 벽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로부터 연장되는 원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은 서로 대응하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을 갖는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은 대응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통로를 한정하고, 각각 후방 및 전방 통로를 한정하고 숄더부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배럴 벽면은 상기 내
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전방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축선과 상기 제2 축선은 일치하게 된다.
상기 니들 캐뉼러는 대응하는 팁 단부와 고정 단부 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고정
단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 단부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는 맞물림 벽, 그리고 상기 통로와 소통되도록 축 방향 관통 홀을 한정하며
상기 맞물림 벽으로부터 상기 전방 통로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를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벽은 소직경부와 맞
물리며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축선의 주위에서 상기 소직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외부 벽면을 가지며, 그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벽은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에 대해 각각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인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맞물림 벽과 같이 회전하는 앵커 단부에서 끝난다. 상기 맞물림 벽이 맞물림 위치에서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앵커 단부는 상기 숄더부와 가까운 접속(hook up) 위치로
부터 상기 숄더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까지 이동한다.
사용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대직경부를 따라 움직이고, 처리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대직경부를 따라
움직이지는 않고 상기 대직경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플런저는 상기 통로에 수용된다.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 바디
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바디는 상기 숄더부와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 및 상기 플런저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단벽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벽은 상기 제2축선을 둘러싸고, 그 안의 공동을 한정
하는 내부 주변 에지부를 가진다. 상기 공동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
서 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부재는 앵커부와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 단부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처리 위치에 있을 때와 상기 맞물림 벽이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대직경부에 대하여 상기 시계 방향으로 상
기 플런저 바디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벽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
며, 그것에 의해 상기 앵커 단부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인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공동의 상기 유
체를 끌어들이기 위해 밀봉 라인을 따라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에 밀폐되도록 부착된다.
상기 밀봉 라인은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이동하
여 상기 앵커부가 내리 눌려지고, 여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상기 관
상 니들 시트는 상기 니들 캐뉼러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
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당겨지고, 거기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는 상기 관
상 카테터로부터 상기 공동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면에 있어서 동
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허브(5), 관상 카테터(6), 배럴(2), 니들 어셈블리(3) 및 플런저(4)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 허브(5)는 팁 벽(512), 제1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 하는 슬리브 벽(511), 그리고 상기 팁 벽
공개특허 10-2005-0004983
- 6 -
(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 사이에 삽입되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한다.
상기 팁 벽(512)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한다. 상기 슬리브
벽(511)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관통홀(516) 보다 큰 삽입홀(517)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다.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삽입 홀(517)과 상기 관통홀(516)을 소통시키는 덕트를 한정하는 내부 관상 벽면과 방
사 방향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에 대응하는 외부 관상 벽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덕트(5
13)와 대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내부 및 외부 관상 벽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소통 포트(514)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2)는 상기 소통 포트(514)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앙 관상 벽(51)의 상기 내부 관
상 벽면은 상기 팁 벽(512)과 같이 유지 숄더(518)를 형성한다. 상기 유지 숄더(518)는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덕
트(513)와 마주한다.
상기 관상 카테터(6)는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및 상기 팁 벽(5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61)로부터 연장되는 원
격부(62)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부(61)는 상기 유지 숄더(518)에 인접하여 유지되는 플랜지부(611)에서 종료한다.
상기 배럴(2)은 서로 대응하고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221, 222)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2)은 상기 제2 축선에 평행하 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를 갖는 통로(21)를 한정하며, 후방 및 전방 통로들을 각기 한정하며 상기 대직경부(212)와 상기 소직경부(211)
사이에 숄더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각기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224, 223)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대직경부(
212) 및 소직경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에 인접하며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상기 삽입 홀(517)에 삽입할 수 있는 전방부(223)를 구비하며,
그것으로 인해 상기 제1 축선과 상기 제2 축선이 일치하도록 한다. 제1 암나사부(225)는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
되는 다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에 인접한 상기 대직경부(212)에 배치된다. 나선 홈 형태
의 제2 암나사부(226)는 상기 숄더부(213)에 인접한 상기 소직경부(211)에 배치된다.
상기 니들 어셈블리(3)는 니들 캐뉼러(32)와 관상 니들 시트(31)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서로 대응하는 팁 단부(321)와 고정 단부(322) 및 상기 팁 단부(321)와 고정 단부(322) 사이
에 삽입되는 중앙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의 상기 고정 단부(322)를 고
정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313) 및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3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니들 캐뉼러
(32)의 상기 고정 단부(322)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는 맞물림 벽(311)을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벽(311)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중앙)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제2 암나
사부(226)와 누비듯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제2)수나사부가 제공되는 외부 맞물림 벽면을 가지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211)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통로(21)와 소통되기 위한 축방향 관통홀(3121)을 한정하며, 앵커 단부(3122)에서
종료되도록 상기 맞물림 벽(311)으로부터 상기 소직경부(211)의 상기 전방 통로의 외부로 연장되는 앵커부(312)를
더 포함한다. (제3)수나사부(315)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단부(3122)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접촉하고 있
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플런저(4)는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4)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움직이고, 도 5에서와 같이 처리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움직이지 않지만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플런저(4)는 플런저 바디(42)와 밀봉 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숄더부(213)와 만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421)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단벽(42
1)과 대응하는 하단벽(422)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벽(422)은 상기 플런저(4)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단벽(421)은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고 그 내부에 공동(41)을 한정하는 내
부 주변 에지부(424)를 가진다. 상기 공동(41)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42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플런저 벽면(423)을 갖는
다. 제1 수나사부(425)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423)에 배치된다. 캐처부(426)는 상기
하단벽(422)에 인접한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에 배치된다.
상기 밀봉 부재(43)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고, 앵커부(432)와 밀봉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432)는 상
기 앵커부(312)의 상기 앵커 단부(3122)를 수용하고 상기 앵커부(312)의 상기 앵커 단부(3122)와 맞물리도록 형성
되는 리세스(4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에는 나선형 홈 형
공개특허 10-2005-0004983
- 7 -
태의 제3 암나사부(433)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4241)는 상기 밀봉부(434)와 마찰되도록 접촉하기 위해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제2 축선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동(41)에 유체를 막기 위
한 상기 밀봉 라인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간호사는 한 손으로 상기 배럴(2)을 잡고 상기 니들 캐뉼러(32)의 상기 팁 단부(3
21)와 상기 관상 카테터(6)의 상기 원격부(62)를 상기 환자의 정맥에 삽입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앵커
부(312)는 투과성이 좋고, 상기 축 방향 관통홀(3121)을 통해 상기 혈액의 흐름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해 볼록면(31
6)을 갖는다. 간호사가 상기 혈액이 상기 앵커부(312) 안으로 흐르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는 즉시 간호사는 상기 혈액
이 상기 앵커부(312)를 통하여 보일 때까지 상기 혈액을 끌어당기도록 상기 플런저(4)를 약간 뒤쪽으로 당겨서 상기
관상 카테터(6)가 상기 환자의 정맥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확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상기 플러그(52)는 상기 덕트(513)와 상기 대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소통 포
트(51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플런저(4)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와 접촉하도록 앞쪽으로 눌려진다(도 5참조).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제1 암나사부(425, 225)에 의해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상기 플런저(4)가 이동하는 것이 억
제된다. 상기 플런저(4)는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를 향해 돌아간다. 상기 플런저(4)의 나사 운동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43)는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에 대해 회전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수나사부 및 제3 암나사부
(315, 433)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43)의 상기 앵커부(432)는 상기 앵커부(3122)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밀봉 부재(43)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플런저 바디로부터 떨어진 상
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관상 니들 시트
와 니들 캐뉼러가 플런저 바디 내부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 후에, 상기 제2 암나사부(226)로부터 제거를 위해 맞물 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상기 제2 수나사
부(314)를 상기 제2 축선 주위에서 돌리기 위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가 회전되도록 상기 플런저(4)가 상기 대직
경부(212)에 대해 상기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소직경
부(311)에 대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앵커 단부(3122) 역시 상
기 숄더부(213)에 가까운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숄더부(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회전된
다. 동시에,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여
상기 앵커부(432)가 내리 눌려지고, 여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4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51
4)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41)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당겨지고, 거기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관상 카테터(6)로부터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상기
캐처부(426)에 의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 뿐만 아니라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하단벽(422)과 충돌하지 않
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
이다.
따라서, 사용 시에 간호원은 상기 플러그(52)로 상기 소통 포트(514)를 막을 수 있고, 작은 양의 혈액이라도 상기 관
상 카테터(6)를 통하여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를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상기 밀봉 부재(43)와 상기 니들 어
셈블리(3)가 남겨진 상태로,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간호사가 많은 양의 혈액을 빨아들일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채혈 부재(7)는 상기 카테터 허브(5)에 연결된
다. 상기 채혈 부재(7)는 수용 공간(71)을 한정하며 상기 수용 공간(71)과 소통되는 안내 포트(73)를 갖는 벽(72)을
포함한다. 제1 유연 연결 튜브(81)는 상기 안내 포트(73)와 상기 소통 포트(514)와 한꺼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혈액은 상기 관상 카테터(6), 상기 덕트(513) 및 상기 제1 유연 연결 튜브(81)를 통해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당길 필요 없이 상기 채혈 부재(7)로 흐르며, 간호사가 상기 혈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
대신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에 더하여,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
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삽입홀(517)과 소통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
기 경계부(519)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
른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방어 부재(54)와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어 부재(54)는 고무와 같
공개특허 10-2005-0004983
- 8 -
은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관상 인서트(53)는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관통
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34)와,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
면(536)을 갖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갖는다.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를 한정한다. 더구나, 상기 채혈 부재(7)는 상기 안내 포트(73)로부
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는 공기 배출구(74)를 갖는다. 제2 유연 연결 튜브(82)는 상기 공기 배출구(74)와 상
기 리엔트리 포트(515)와 한꺼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조립에서, 상기 전방 목 단부(534)가 연결되는 상기 방어
부재(54)는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린다.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관상 인서트(53)의 상기 내부 인접면(536)과 맞물리고, 거기에서 상기 관
통로(531)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가 정렬된다. 상기 니들 캐뉼러(32)(도 10에 미도시)는 상기 관통로(531),
상기 방어 부재(54) 내의 슬릿, 상기 덕트(513) 및 상기 관상 카테터(6)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
은 방법으로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도 10에 미도시)가 상기 플런저 바디(도 10에 미도시) 내부로 끌려 들어간
후, 상기 방어 부재(54) 안의 상기 슬릿은 탄성 중합체 물질 자체의 특성에 의해 닫힌다.
상기 방어 부재(54)의 정렬에 따라, 혈액이 상기 채혈 부재(7) 안으로 흐르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는 즉시 상기 공기
배출구(74)로부터 상기 제2 유연 연결 튜브(82),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 및 상기 유체 통로(535)를 통하여 상기 배
럴(2)의 상기 통로(21)까지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간호사는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뒤쪽으로 당길 수 있고,
이에 따라 혈액이 상기 채혈 부재(7)로 용이하 게 흐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구조면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덕트(513)는 상기 관상 인서트(55)를 통하여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소통된다. 상기 관상 인서트(55)는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
(554)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54)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플레어 단부(552)를 가진다. 상기 후방 플레
어 단부(552)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유체 통로(551)를 한정하는 내부 인접면 및 상기 유체 통로(551)와 소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리엔트리 포트(555)를 구비한다.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관상 인서트(55)의
상기 인접면과 맞물린다.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
의 내부로 끌려 들어간 후, 상기 방어 부재(54) 내의 상기 슬릿은 탄성 중합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닫힌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보
다 짧은 배럴(9)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9)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91, 92)를 포함하고, 또한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
(931, 932)를 갖는 통로를 한정하는 내부 배럴 벽면(936)을 구비한다.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은
상기 개방 후방 단부(931)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대직경부(92)는 상기 플런저(4)의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에 형성
되는 상기 암나사부(425)와 누비듯이 맞물리기 위한 수나사부(935)를 갖는다. 사용 시에, 간호사는 상기 외부 배럴
벽면(934)을 움켜쥐고, 혈액이 상기 배럴(9) 안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상 카테터(6) 뿐만 아니라 상기 니들
캐뉼러(32)를 상기 환자의 정맥으로 삽입한다. 그 후에,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안
전한 처리를 위해 상기 플런저(4)의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더욱이, 팁 프로텍터(33)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상기 카테터 허브(5)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배럴(9)의
전방 절반부를 삽입하기 위해 큰 개방 단부(331)를 갖는다. 슬리브 튜브(34)는 상기 플런저(4)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
되고, 상기 배럴(9)의 후방 절반부를 삽입하기 위해 개방 단부(341)를 갖는다. 따라서, 간호사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상기 플런저(4)는 상기 팁 프로텍터(33)와 상기 슬리브 튜브(34)에 의해 완전하게 보호
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1.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상기 대직경부(212)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 면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를 삽입한 후
에,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는 상기 플런저 바디(42)의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들어 갈 수 있어,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2.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앵커부(312)가 투과성이 좋고 상기 볼록면(316)을 가지므로, 상기 축방향 관통홀
(3121)을 통한 혈액 흐름이 간호사에게 확대되어 보인다.
공개특허 10-2005-0004983
- 9 -
3.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가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들어간 후, 간호사는 상기 배럴(2)과 상기 카테터 허브
(5)를 제거할 필요 없이 혈액을 상기 통로(21) 또는 상기 채혈 부재(7)로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직
접 당길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
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하는 팁 벽(512)과,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홀(516)보다 큰 삽입홀(517)
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 슬리브 벽(511) 및
상기 팁 벽(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홀(517)과 상기 관통홀(516)을 통하게 하는 덕
트(513)를 한정하며, 대기가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소통 포트(513)를 갖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
하는 카테터 허브(5);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및 상기 팁
벽(512)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61)로부터 연장되는 원격부(62)를 포함하는 관상
카테터(6);
서로 대응하여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221, 222)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배럴 벽면은 상기 제2 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 931, 932)들을 갖는 통로(21)를 한정하며,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2)은 후방 및 전방 통로들을 각각 한정하며, 상기 대 직경부(212, 92)와 상기 소직경부(211,
91) 사이에 숄더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224, 223, 932, 931)들에 인접하도록 배
치되는 대직경부(212, 92) 및 소직경부(211, 9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인접하고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전
방부(2211)를 가지며,
상기 제1축선과 상기 제2축선이 일치되도록 하는 배럴(2, 9);
서로 대응하는 팁 단부 및 고정 단부(321, 322)와, 상기 팁 단부 및 고정 단부(321, 322)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32
3)를 포함하는 니들 캐뉼러(32);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고정 단부(322)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313),
상기 제2축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3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 단부(322)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제2축선을 둘러싸고,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축선의 주위에서 상기 소직경부(2
11, 91)에 대해 맞물리거나 회전하는 외부 맞물림 벽면을 구비하며,
그 위치에서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대해 각각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이는 상기 맞물림부(31
1) 및
상기 통로(21)와 소통되기 위한 축방향 관통홀(3121)을 한정하고, 상기 맞물림 벽(311)으로부터 상기 전방 통로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0 -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 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숄더부
(213)에 가까운 접속(hook-up) 위치에서 상기 숄더부(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맞물
림 벽(311)과 회전되는 앵커 단부(3122)에서 끝나는 앵커부(312)를 포함하는 관상 니들 시트(31); 및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사용 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움직이고, 처리 위치
에서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숄더부(213)와 만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421)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단벽(421)과 대응하는 하단벽(42
2)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벽(422)은 상기 플런저(4)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932)의 바깥쪽
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단벽(421)은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고 그 내부에 공동(41)을 한정하는 내부 주변 에지부(424
)를 가지며, 상기 공동(41)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42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
함하는 플런저 바디(42) 및
상기 앵커 단부(31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4)가 상기 처리 위치에 있을 때와 상기 맞물림 벽(311)이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하여 상기 시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바디(4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는 앵커부(432) 및
상기 공동(41)의 상기 유체를 끌어들이기 위해 밀봉 라인을 따라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에 밀폐되도록 부착되고
,
상기 밀봉 라인은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거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4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로부터 자유로워지며,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514)를 통해 안내되
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41)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당겨지고, 여기
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관상 카테터(6)로부터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밀봉부(434)를 포함하
는 밀봉 부재(43)를 포함하는 플런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삽입홀(517)의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플런저 벽면(423)을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 바디(42)가 상기 처리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플런
저 바디(42)가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423)과 상기 대
직경부(212, 92)에 각각 제1 수나사부 및 제1 암 나사부(425, 2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대해 상기 외부 맞물림 벽면이 회전하기 위해 상기 외부 맞물림 벽면과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각기 배치되는 제2 수나사부 및 제2 암나사부(314, 2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432)는 상기 앵커 단부(3122)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리세스(4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구비하며,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앵커부(432)가 상기 앵커 단부(3122)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와
상기 내부 벽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수나사부 및 제3 암나사부(315, 4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
맥 카테터 삽입 장치.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434)와 마찰되도록 접촉하기 위해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제2 축선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봉 라인을 형성하는 돌기(42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
터 삽입 장치.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1 -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519)를 한정하
고, 상기 삽입홀(517)과 소통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519)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구비하며,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관통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34) 및 상기 제1 축선
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면(536)을 갖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
)를 한정하고,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와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531)를 통해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기 위해 상
기 관통로(531)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
맥 카테터 삽입 장치.
청구항 7.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 931, 932)를 갖는 통
로(21) 및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인접하는 전방부(2211)를 갖는 외부 배럴 벽면(221)을 갖는 배럴(2, 9),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넣을 수 있게 수용되는 니들 캐뉼러(32),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통로(21)에 수용되고,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93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하는 공동(41)을 구비하며,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대기와 상기 감소된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흡입력의 영향을 받자
마자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가도록 상기 통로(21) 내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연결되는 플런저(4)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로 사용되는 정맥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하는 팁 벽(512),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하고, 상기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홀(516) 보다 큰 삽입홀(517)을 한정
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통로(21)를 상기 관통홀(516)과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전방부(2211)에 대해 고정되기에 적합한 슬리브 벽(511) 및
상기 팁 벽(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이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에 대해 고정될 때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관통하여 지나기에 적합한 덕트(513)를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덕트(513)와 대기를 소통하도록 연장되는 소통 포트(514)를 갖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하
는 카테터 허브(2); 및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그리고 상기 근
접부(61)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덕트(513)를 통하여 지날 때 상기 니들 캐뉼러(32)에 끼워져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거기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
기에 적합한 원격부(62)를 포함하는 관상 카테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카테터 장치.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덕트(513)를 한정하는 내부 관상 벽면 및 상기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에 대응하는 외부 관상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관상 벽면은 상기 팁 벽(512)과 유지 숄더(518)를
형성하고, 상기 유지 숄더(518)는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덕트(513)와 만나고, 상기 근접부(61)는 상기 관통홀(516)
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유지 숄더(518)에 인접하며 유지되는 플랜지부(611)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
청구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519)를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삽입홀(517)
과 소통되도록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519)에 대하여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구비하며,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2 -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34)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면(536)을 가지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를
한정하고,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와 맞물리기에 적
합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531)를 통과하여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하
기 위해 상기 관통로(531)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
청구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를 한정하고,
상기 경계부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54) 및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
방 목 단부(554)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플레어 단부(552)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 플레어 단부(552)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유체 통로(551)를 한정하는 내부 인접면과, 상기 유체 통로(551
)와 소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55)를 포
함하고,
상기 후방 플레어 단부(552)의 상기 내부 인접면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전방부(2211)와 맞
물리기에 적합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로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
도면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3 -
도면1
도면2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4 -
도면3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5 -
도면4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6 -
도면5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7 -
도면6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8 -
도면7
공개특허 10-2005-0004983
- 19 -
도면8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0 -
도면9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1 -
도면10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2 -
도면11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3 -
도면12
공개특허 10-2005-0004983
- 24 -
도면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