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도어 래치(MOTOR VEHICLE DOOR LOCK)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8-0014777
(43) 공개일자 2018년02월0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5B 77/26 (2014.01) E05B 81/14 (2014.01)
E05B 81/20 (2014.01) E05B 81/66 (2014.01)
(52) CPC특허분류
E05B 77/26 (2013.01)
E05B 81/1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7037766
(22) 출원일자(국제) 2016년05월11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7년12월28일
(86) 국제출원번호 PCT/DE2016/100213
(87) 국제공개번호 WO 2016/192707
국제공개일자 2016년12월08일
(30) 우선권주장
10 2015 108 738.3 2015년06월02일 독일(DE)
(71) 출원인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독일, 42579 하우리겐하우스, 호에셀레르 플라쯔
2
(72) 발명자
발름샤이트, 크리스티안
독일, 47178 뒤스부르크, 카이저 스트라쎄 256
(74) 대리인
서만규, 서경민
전체 청구항 수 : 총 10 항
(54) 발명의 명칭 차량 도어 래치
(57) 요 약
본 발명은 로킹 메커니즘(22), 로킹 메커니즘(22)이 언록되도록 하는 전기 드라이브(26),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
(31)를 구비한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로서 전기 드라이브(26)가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는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 및 로킹 메커니즘(22)을 프리록 위치부터 메
인 록 위치로 전환하는 폐쇄 드라이브(42)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로킹 메커니즘 센서(25)는
로킹 메커니즘(22)와 연관되어 있고 로킹 메커니즘 센서(25)의 스위치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26)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대 표 도 - 도2
공개특허 10-2018-0014777
- 1 -
(52) CPC특허분류
E05B 81/20 (2013.01)
E05B 81/66 (2013.01)
공개특허 10-2018-0014777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로킹 메커니즘(22), 전기 드라이브(26)로서, 로킹 메커니즘(22)이 전기 드라이브(26)에 의해 언록될 수 있는 전
기 드라이브,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를 구비한 차일드 세이프티 록 장치(29)로서, 여기서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전기 드라이브(26)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는 차일드 세이프티
록 장치, 및 로킹 메커니즘(22)이 프리-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되는 신칭 드라이브(42)를 구비
한 차량 래치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 센서(25)는 로킹 메커니즘(22)에 할당되어 있고, 로킹 메커니즘 센서(25)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26)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 센서(25)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22)의 위치가 프리-라쳇 및 메인 라쳇에서 감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 센서(25)는 캐치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32)가 제공되고, 작동 레버(32)에 의해 적어도 한 개방
스위치(34)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레버(35)가 제공되고, 커플링 레버(35)에 의해 작동 레버
(32)가 트리거링 레버(28)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팅 레버(36)가 제공되고, 작동 레버(3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팅
레버(36)에 의해 커플링 레버(35)가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에 의해 내부 작동 레버(32)가 결합 해제
될 수 있도록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는 커플링 레버(35)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가 동축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32)와 트리거링 레버(28)가 동축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래치.
청구항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40)이 제공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치들(25, 31, 33,
34, 38, 39)의 스위칭 위치들이 조회될 수 있고 드라이브(26)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
공개특허 10-2018-0014777
- 3 -
로 하는 차량 래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전기 드라이브(electrical drive)로서 로킹 메커니즘이 이 전기[0001]
드라이브에 의해 언록(unlock)되는 전기 드라이브,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child safety sensor)를 구비한 차일
드 세이프티 록 장치로서,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전기 드라이브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
지 않을 수 있는 차일드 세이프티 록 장치, 및 로킹 메커니즘이 프리-라쳇(pre-ratchet)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main ratchet)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신칭 드라이브(cinching drive)를 구비한 차량 래치(latch)와 관련되어
있다.
배 경 기 술
오늘날의 차량에는 작동을 용이하게 하고 편의를 증대시키는 점점 더 많은 수의 기능들이 활용되고 있다. 예를[0002]
들어, 플랩(flap)이나 도어의 독립적인 래칭을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측면 도어 및/또는 테일 게이트 및/또는 슬
라이딩 도어 상의 로킹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플랩 또는 도어는 이하에서 프리-라
쳇 위치로 설명되는 제1 라쳇 위치로의 도어의 폐쇄에 이어서 닫힌다. 이 프리-라쳇 위치로부터 전기 드라이브
가 통상적으로 래칭 시스템에 작용하며, 이하에서 차량 도어 래치와 관련하여 메인 라쳇 위치로 설명되는 최종
적인 신칭(cinching) 위치로 도어를 이동시킨다. 도어 또는 플랩의 메인 라쳇 위치로의 전환 역시 신칭으로 설
명된다. 메인 라쳇으로의 프리-라쳇의 순수한 신칭에 더하여 측면 도어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해 드라이브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도어는 통상적으로 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완전히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이런 래칭 시스템들 모두에서, 예컨대 탑승자 안전을 증대시키는 다른 기능들이 이용될 수 있다. 알려져 있는[0003]
탑승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은 차일드 록(child lock)이다. 차일드 록은, 통상 전방석에 앉아 있는 어린이나 성
인이 차량의 도어를 열 수 없게 하는, 즉 차량 내의 그 사람이 하차하려고 하더라도 내부 작동 레버가 작동하지
않는 기능을 포괄한다.
신칭 및 안전 장치에 더하여, 래치들에 전기적 개방 시스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전기적 개방이란, 조작자가 내[0004]
부 작동 레버 또는 외부 도어 핸들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한편, 래치의 실제 개방은 통상적으로 전기 드라이브
에 의해 일어나는 기능을 가리킨다. 외부 작동 레버는 예컨대 스위치와 같은 트랜스듀서만을 작동시켜 전기적인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며, 이로써 드라이브가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외부 작동 레버
가 차량 래치에서 작동 레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작동
레버는 순차로 스위칭 수단 또는 트랜스듀서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드라이브가 이어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개방은 드라이브에 의해 트리거(trigger)된 개방,
즉 로킹 메커니즘의 언로킹(unlocking, 잠금 해제)을 의미한다. 전기 드라이브는 기어 박스와 드라이브 디스크
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이후에 트리거링 레버와 상호 작용하며, 트리거링 레버는 로킹 메커니즘을 기계적으
로 언록한다.
전기적 개방 메커니즘을 가진 차량 래치가 DE 10 2012 003 743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모터, 웜기어 및 드라이[0005]
브 풀리로 이루어진 전기 드라이브는 작동 중에 트리거링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트리거링 레버가
폴(pawl)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며, 캐치(catch)와 폴을 포함하는 로킹 메커니즘이 언록된다. 예컨대 내부 작동
레버이거나 외부 작동 레버일 수 있는 작동 레버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전기 드라이브를 이어서 작동시키는 트랜
스듀서를 구비한 외부 핸들 또는 내부 도어 핸들에 의한 작동 후에 상호 작용한다. 차량 래치는 볼팅된 상태
(bolted state)로 있다. 즉, 래치가 작동 레버와 트리거링 레버 사이에 발생하는 기계적 작동 연결 없이 전기적
으로 개방되어 있다. 작동 레버와 트리거링 레버는 볼팅 장치(bolting device)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 해제되
어 있다. 예컨대 출력 저하(power drop)와 같이 비상 작동이 필요하게 될 때에만, 전기 드라이브가 개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차량 래치를 언록한다. 이 경우, 그러면 조작자는 작동 레버를 기계적으로 작동시
킬 수 있으며 트리거링 레버와 로킹 메커니즘을 맞물리게 하여 플랩, 도어 또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수 있
다.
DE 20 2012 003 171 U1로부터 다른 전기적인 개방 차량 래치가 알려져 있다. 전기 모터, 웜기어 및 드라이브 풀[0006]
리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 전기적 개방에 더하여 이 래치는 차일드 록을 구비한다. 래치는 통상적으
공개특허 10-2018-0014777
- 4 -
로 볼팅된 상태로 있으며 작동 레버는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과 같은 핸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작동 레버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전기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는 개방 스위치 상에 작용한다. 작동 레버와
트리거링 레버는 연결 해제되어 있다. 맞물려 있는 차일드 록의 경우에, 차일드 록 센서가 활성화되며, 제어 유
닛은 내부 도어 핸들이 작동하는 동안 차일드 록 센서의 신호를 평가한다. 개방 스위치는 내부 도어 핸들에 의
해 내부 작동 레버가 작동하는 동안 작동된다. 차일드 록 센서도 활성화되어 있다면, 도어가 따라서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도어 래치의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인 개방이 방지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알려져 있는 종래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알려져 있는 차량 래치를 개선하는 과제가 제시된다. 특히, 기능적인[0007]
범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이 생략되도록 하지 않으면서 구조를 단순화하는 과제
가 설정된다. 또한,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래치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비용 효율적인 해법을 제공하는 과
제가 설정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디자인들이 하위 청구항들에[0008]
서 특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제한적이지 않다는 것이 강조된다; 대신, 설명, 하위 청
구항들 및 도면들 중에 묘사된 특징들의 임의의 가능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특허 청구항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과제는, 로킹 메커니즘, 전기 드라이브로서 로킹 메커니즘이 전기 드라이브[0009]
에 의해 언록되는 전기 드라이브,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를 구비한 차일드 세이프티 록 장치로서 차일드 세이프
티 센서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전기 드라이브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차일드 세이프티 록 장치, 및 로
킹 메커니즘이 프리-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로킹 메커니즘 센서가 로킹 메커니즘에
할당된 신칭 드라이브를 포함하되, 여기서 로킹 메커니즘 센서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다. 로킹 메커니즘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안전 특성들을 잃지 않으면서 더 적은 수의 부품들로
동일한 기능들이 제공되는 차량 도어 래치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로킹 메커니즘 센서에 의해, 로킹 메커
니즘이 폐쇄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지에 관한 기술(statement)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의 위치에 따라, 로킹 메커니즘 센서가 평가될 수 있으며 전기 드라이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 유닛에 대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로킹 메커니즘 센서에 의해 도어, 플랩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위치가 결정될 수 있어서 개방을 위한 드라이브의 활성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차량 래치에 대해 논하면, 플랩들, 도어들 및/또는 슬라이딩 도어들, 차량의 부품들을[0010]
그들의 폐쇄된 위치로 유지하는 이런 래칭 시스템들을 의미한다. 이런 차량 래치들은 캐치와 폴을 포함하는 로
킹 메커니즘을 포괄한다.
로킹 메커니즘에는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들이 장비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라쳇 또는 차단 레버를 구비[0011]
할 수 있다. 이런 로킹 메커니즘들은 종래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래치
는 로킹 메커니즘을 언록할 수 있는 전기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전기 드라이브는 통상 간접적으로 작동하지만,
로킹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맞물리며 언록하는 트리거링 레버 상에 직접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전기 드라이브는 전기 모터, 웜기어 및 출력 기어를 포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출력 기어는 트리거링 레버 상에[0012]
직접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를 포괄하는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도 제공된다.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또는 접촉 감응 센서로서 장비될 수 있다.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신호가 제어 유닛으로 전달되는데, 이는 이어서 전기 드라이브를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
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래치는 또한 신칭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신칭 드라이브에 의해 프리-라쳇[0013]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프리-라쳇 위치는 도어가 이미 닫혀 있고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제자리, 특히 라쳇 위치에 유지되는 도어, 플랩 또는 후드의 위치이다. 그리고 나서 차량 도어는 프리-라쳇 위
치로부터 통상적으로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위치하는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된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스위치 온되거나 맞물리고, 차량 래치가 신칭 드라이브에 의해 프리-라쳇 위치로부터[0014]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되면, 도어는 내부 작동 레버에 의해 개방되어야만 한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는 이 목
공개특허 10-2018-0014777
- 5 -
적을 위해 반드시 작동 불능이 되어야 한다. 작동 불능화는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전기 드라이브는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추가
의 신호가 로킹 메커니즘 센서의 맞물림에 의해 활용 가능해지는데, 이를 가지고 도어의 폐쇄 위치에 관한 기술
이 가능하다. 내부 작동 레버의 작동 동안 제어 유닛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로킹 메커니즘 센서의 맞물
림에 의해 전기 드라이브의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의 기계적인 비활성화는 필
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리-라쳇 및 메인 라쳇에서의 로킹 메커니즘의 직접적인 위치가 로킹 메커니즘 센서[0015]
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면 프리-라쳇 및 메인 라쳇에서의 로킹 메커니즘의 위치는 로킹 메커니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제어 유닛이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의 신호를 바이패스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부 작동 레버의
조작자에게 도어를 개방하거나 신칭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신칭을 중단할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프리-라쳇과
메인 라쳇 사이의 위치에서 로킹 메커니즘의 위치의 감지에 의해 차량 안에 위치한 내부 작동 레버의 조작자는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맞물려 있을 때에도 아직 완전히 닫히지 않은 측면 도어를 개방할 가능성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높은 수준의 안전도를 제공하며 동시에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그 기능
을 완전히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로킹 메커니즘 센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캐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치의 위치의 직접[0016]
적인 조회(query)는 높은 수준의 안전도를 수반한다. 캐치가 그 종단 위치, 즉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
고, 정확히 이 위치가 로킹 메커니즘 센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최대로 가능한 확실성으로 이상 작동들이 방지될
수 있다.
작동 레버가 제공되고 적어도 개방 스위치가 작동 레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귀[0017]
결된다. 작동 레버는 내부 작동 레버 또는 외부 작동 레버일 수 있다. 작동 레버는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데, 여기서 볼팅 해제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는 트리거링 레버를 움직여서 로킹 메커
니즘이 언록될 수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작동 레버는 개방 스위치와 상호작용한다. 내부 작동 레버 및 외부
작동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공통된 개방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개방 스위치로부터 상류에 추가적인 스위치가 제
공될 수 있는데, 이로써 작동 레버가 개방 스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접촉하게 되며 이는 제어 유닛을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따라서 이 상류의 추가적인 스위치는 웨이크업(wake-up) 스위치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
리하게는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가 제공되며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를 가지고 적어도 개방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가 제공되고, 커플링 레버에 의해 작동 레버가 트리거링 레버와 결합될 수 있다면 추가적인 유리한[0018]
실시예로 귀결된다. 커플링 레버의 제공은 작동 레버가 커플링 레버의 예를 들어 푸시 움직임 또는 회전 움직임
또는 피벗 움직임일 수 있는 움직임에 의해 트리거링 레버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플링 레버는 바람
직하게는 전기 드라이브로 작동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는, 예컨대 트리거링 레버와 작동 레버의 그루브
(groove)에 맞물릴 수 있으며, 따라서 피벗 가능하게 수용된 레버들을 결합하는 작동 핀을 구비할 수 있다.
볼팅 레버가 제공되고, 커플링 레버가 볼팅 레버에 의해 움직일 수 있어서 작동 레버가 결합될 수 있다면 본 발[0019]
명의 다른 실시예로 귀결된다. 작동 레버는 피벗 가능하게 수용된 레버로서 형성된다. 내부 작동 레버, 외부 작
동 레버 및 트리거링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공통축 상에 수용되어 있다. 커플링 레버는 내부 작동 레버 및/또는
외부 작동 레버를 커플링 레버의 위치에 따라 푸시 움직임에 의해 트리거링 레버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커플
링 레버는 역시 피벗 가능하게 수용된 볼팅 레버에 의해 움직여진다. 커플링 레버의 제1 위치에서 내부 작동 레
버와 외부 작동 레버는 트리거링 레버와 결합된다. 즉, 기계적으로 맞물린다. 이 위치에서 외부 작동 레버는 예
컨대 외부 도어 핸들의 동작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고, 로킹 메커니즘은 기계적이고 전기적으로 언록되며 차량
도어가 따라서 개방된다.
커플링 레버의 제2 위치에서 외부 작동 레버는 트리거링 레버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이 위치에서, 볼트가 내[0020]
부 도어 핸들 및 그에 따른 내부 작동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승될 수 있어서 커플링 레버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래치가 외부 작동 레버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의 제3 위치에서, 외부 작동 레버나
내부 작동 레버는 모두 트리거링 레버에 맞물리지 않으며, 이에 추가적으로 내부 도어 핸들이 볼팅 장치에서의
맞물림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여기서 맞물림 해제란 볼팅이 내부 도어 핸들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상승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플링 레버의 이 위치는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에 의해 도달된다. 작동 레버가 움직여질
수 있으며 개방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커플링 레버의 기계적인 언볼팅(unbolting)은 이 위치에서는 불가
능하다.
공개특허 10-2018-0014777
- 6 -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커플링 레버와 상호 작용하여 내부 작동 레버가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에 의해 결합 해[0021]
제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로 귀결된다. 커플링 레버로의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의 맞물림에
의해, 차일드 세이프티 기능을 이루는 구조적으로 유익한 해법이 것이 가능해진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는 바
람직하게는, 조작자에 의해 차량의 키 또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외부적으로 작동
될 수 있는 피벗 가능하게 수용된 차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로 이루어진다.
차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는 차일드 세이[0022]
프티 엘리먼트와 상호 작용하여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 차량 도어 래치에 피벗 가능하게 수용된 차
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 및 한편으로는 차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와 맞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플링 레버 및/
또는 볼팅 레버와 맞물리는 태핏(tappet)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는 동축으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내부 작동 레버와[0023]
외부 작동 레버, 즉 작동 레버들은 또한 트리거링 레버와 동축으로 수용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들이 조회되어[0024]
드라이브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유닛에 의해, 차량 래치에 대한 다양한 세팅들이 감지될 수
있으며 드라이브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들 및 스위치들의 스위칭 위치가 제어 유닛에 의해 조회되
며 관련된 제어 신호들이 드라이브(들)로 전달된다. 예컨대, 외부 작동 레버가 외부 도어 핸들에 의해
작동되면, 외부 작동 레버가 웨이크업 스위치, 그리고 이어서 개방 스위치를 진동시키고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차량 도어 래치가 언록되고 도어, 플랩 또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드라이브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한 첨부의 도면들 및 플로우 다이어그램들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0025]
명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리한 실시예를 구성할 뿐이라는 원칙이
적용된다. 묘사된 특징들은 특허 청구항들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또는 설명 중의 다른 특징
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 래치이다.[0026]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 측면 도어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측면 도어 래치 상의 내부 작동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전기적 개방을 위해 내부 작동 레버에 의한 측면 도어의 개방을 위한 플로우 다
이어그램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특정 클래스의 차량 래치가 재현되어 있다. 트리거링 레버(1)는 축(2) 둘레로 피벗 가[0027]
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트리거링 레버(1)는 로킹 메커니즘이 언록될 수 있도록 전기 모터(3)와 드라이브 풀리
(4)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강제되어 있다. 작동 레버(5) 또한 트리거링 레버(1)와 동축으로 축(2) 둘레로 피
벗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작동 레버(5)는 커플링 레버(6)에 의해 볼팅 레버(10)와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6)는 또한 차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14)와 상호 작용한다.
차량 래치가 볼팅되고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맞물리면, 차량의 사용자는 폐쇄 상태인 래치를 언볼트할 수 없[0028]
으며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특히, 차량 래치가 신칭 드라이브를 구비한 경우, 차량 도어는 전기적인
신칭 동안 내부 도어 핸들 또는 내부 작동 레버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여야만 한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
치는 이 목적을 위해 비활성화되어야 한다. 비활성화는 예컨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일드 세이프티 엘
리먼트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일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래치(21)가 이론적으로 재현되어 있다. 차량 도어 래치(21)는 폴(23)과 캐[0029]
치(24)로 이루어진 로킹 메커니즘(22)을 구비한다. 로킹 메커니즘 센서(25)는 캐치(24)와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치(24)의 위치는 로킹 메커니즘 센서(25)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회되거나 감지된
다. 트리거링 레버(28)는 전기 드라이브(26)와 드라이브 풀리(27)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트리거링 레버(28)는
공개특허 10-2018-0014777
- 7 -
따라서 로킹 메커니즘(22)을 언록할 수 있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22)이 언록될
수 없는 식으로 내부 도어 핸들(30)에 의해 차량 래치(21)가 작동 불능이 될 수 있다.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
(29)가 맞물려 있는지 아닌지, 즉 활성화되어 있는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가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신칭 드라이브가 로킹 메커니즘(22) 상에, 특히 캐치(24)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며, 로킹 메커[0030]
니즘(22)을 프리-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22)의 메인 라쳇 위치에
서 예컨대 캐치(24)가 로킹 메커니즘 센서(25)를 활성화할 수 있다.
작동 레버(32)에 의해 제1 웨이크업 스위치(33)와 개방 스위치(34)가 작동될 수 있다. 작동 레버(32)는 커플링[0031]
레버(35)에 의해 볼팅 레버(36)와 결합될 수 있다. 태핏(37)은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와 볼팅 장치(36) 및
커플링 레버(35) 사이에서 작용한다.
차량 래치(21) 내에 수용된 스위칭 엘리먼트들(25, 31, 33, 34, 38, 39)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0032]
닛(40)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40)과 협력한 신칭 동안 내부 작동 레버(30)의 작동 과정에서 스위칭 수단들
(25, 31, 33, 34, 38, 39)의 상호 작용 또는 맞물림이 이어지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재현되어 있다.
도 3은 내부 도어 핸들(30) 및 그에 따른 작동 레버(32)의 작동에 있어서 측면 도어 및 특히 후방 측면 도어의[0033]
개방을 위한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 도어 핸들(30) 및 그에 따라 작동 레버(32)가 움직이면, 개방 스위치(34)가 작동되는데, 이로써 특히 웨이[0034]
크업 스위치(33)가 처음으로 작동된다. 개방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다. 개방 스위치
(34)가 반대로 작동되었다면,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가 활성화되었는지 비활성화되었는지와 관련하여 추가적
인 조회가 이루어진다.
차일드 세이프티 스위치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도어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차일드[0035]
세이프티 스위치가 활성화되었고 따라서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가 맞물려 있다면, 릴리즈 스위치(41)에 의해 차
일드 세이프티 장치(29)가 일시적으로 스위치 오프되었는지에 관하여 제1 조회가 이루어진다.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의 일시적인 스위치 오프는 예컨대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의 일시적인 스
위치 오프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따라서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다. 릴리즈 스위치(41)가 반대로 작동되었다면,
따라서 도어는 개방될 수 있는데, 이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하방 우측 박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칭 프로세스(42)가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를 조회한 후에 일어난다면, 도어는 내부 도어 핸들(30)에 의해[0036]
개방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는 기계적으로 비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를 가지고 하는 기계적인 비활성화가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박스(43)로 재현되어 있다. 그러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신칭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신칭(42)의 조회에 따라 도어가 내부 도어 핸들
(30)에 의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도 3은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가 신칭 과정에
서 내부 도어 핸들(30)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는 데에 기계적인 드라이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로킹 메커니즘 센서(25)가 로킹 메커니즘(22)의 신칭 동안 작동 레버(32)를 제어하기 위한 조회로 통합[0037]
된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 도어 핸들(30) 및 그에 따른 작동 레버(32)의 작동 이후에 개방
스위치(34)의 활성화가 처음으로 일어나고, 개방 스위치(34)가 작동되었는지 아닌지에 관한 조회가 이루어진다.
개방 스위치(34)가 작동되었다면, 제어 장치는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31)가 활성화되었는지 비활성화되었는지
조회한다.
차일드 세이프티 캐치(29)가 맞물려 있다면, 2개의 대안적인 루트들이 가능해진다. 한편으로는, 도어가 개방될[0038]
수 있도록 릴리즈 스위치(41)가 작동되었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칭(42)이 지속되고 있는지 또는 활성
화되지 않는지에 관한 조회가 이루어진다. 신칭(42)이 진행중이라면, 즉 로킹 메커니즘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통상적으로 프리-라쳇 위치로부터 메인 라쳇 위치로 전환된다면, 로킹 메커니즘(22)이 이미 완전히 로
킹되었는지, 즉 메인 라쳇에 위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로킹 메커니즘 센서(25)의 추가적인 조회가 이루어진다.
로킹 메커니즘(22)이 아직 메인 라쳇 위치에 있지 않다면, 신칭(42)이 지속되며 도어는 내부 도어 핸들(30) 또[0039]
는 작동 레버(3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22)이 이미 메인 라쳇 위치에 있는지에 관하여 조회하
기 위해 로킹 메커니즘 센서(25)가 조회된다. 얼마나 많은 센서들(25) 또는 어떤 종류의 센서들(25)이 사용되는
지에 따라 예컨대 로킹 메커니즘 센서에 의해 캐치(24) 또는 폴(23)의 위치가 조회되고, 감지되고 및/또는 기록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29)의 기계적인 비활성화가 생략될 수 있다. 차일
공개특허 10-2018-0014777
- 8 -
드 세이프티 장치(29)를 위한 전기 드라이브가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트리거링 레버 2 축[0040]
3 전기 모터 4 드라이브 풀리
5 작동 레버 6 커플링 레버
10 로킹 레버 14 차일드 세이프티 엘리먼트
21 차량 래치 22 로킹 메커니즘
23 폴 24 캐치
25 로킹 메커니즘 센서 29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
30 내부 도어 핸들 31 차일드 세이프티 센서
32 작동 레버 33 웨이크업 스위치
23 개방 스위치 35 커플링 레버
36 로킹 레버 37 태핏
38, 39 센서 40 제어 유닛
41 릴리즈 스위치 42 신칭 장치
43 차일드 세이프티 장치의 전기적 비활성화
공개특허 10-2018-0014777
- 9 -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8-0014777
- 10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8-0014777
- 11 -
도면4
공개특허 10-2018-0014777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