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Filling apparatus of spout for pouch-type liquidstorage container)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5. 08:17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7
B65B 9/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2년09월09일
20-0288028
2002년08월22일
(21) 출원번호 20-2002-0018347
(22) 출원일자 2002년06월17일
(62) 원출원 특허특2002-0033813
원출원일자 : 2002년06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02년06월17일
(73) 실용신안권자 김종기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306 현대아파트 313-1203
(72) 고안자 김종기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306 현대아파트 313-1203
(74) 대리인 제갈혁
류완수
이광복
조진수
심사관 : 장재용
기술평가청구 : 없음
(54)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요약

본 고안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충진 대상물이 연속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적어
도 하나의 직선 주행경로를 가진 프레임과,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충진 대상물이 주행경로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프레
임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부재를 가진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와,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 충진 대상물의 내부에 액상 충진물을 정량적으로 충진시키기 위해 주행경로의 상측에 배치된 진
공/충진유니트와,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크리닝유
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캡 공급유니트로부터 캡을 연속적으로 로딩받아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언로딩시키기 위해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캡 로딩/언로딩유니트와, 스파우트에 언로딩된 캡을 회전시켜 그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키
기 위해 주행경로의 상측에 배치된 캡핑유니트와, 충진 대상물을 주행경로 상에서 소정 시간 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주
행시킬 수 있도록 주행경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유니트를 구비한다.

- 1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대표도
도 2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에 스파우트가 실링된 일반적인 충진 대상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공/충진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크리닝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캡 공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캡핑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이송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배출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n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충진 대상물 110... 프레임
120... 컨트롤유니트 130...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131... 충진 대상물 공급경로 132... 슬라이드부재
133... 푸시부재 140... 진공/충진유니트
141... 진공/충진노즐 145... 진공 조성밸브
146... 저장탱크 147... 실린더부재
149... 승강부재 150... 크리닝유니트
151... 물 분사부재 160... 캡 공급유니트
161... 트레이 166... 진동원
- 2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167... 홀더부재 170...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171... 로딩부재 174... 제1언로딩부재
177... 제2언로딩부재 180... 캡핑유니트
181... 회전부재 183... 구동부재
184... 승강부재 190... 이송유니트
191... 스토퍼부재 194... 클램프부재
196... 이송부재 197... 바이어스블록
199... 이송블록 210... 배출유니트
211... 컨베이어부재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소정 액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가진 파우치 용기와, 파우치 용기에 수용
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에 실링되는 스파우트를 구비한다. 상기 스파우트는 통상적인 스
파우트 실링장치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삽입되어 열융착 된다.
이와 같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액체 충진장치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실링된 스파우트를 통해 그 파우치
용기의 수용 공간으로 액체가 충진되며, 스파우트를 밀봉시키기 위한 캡이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액체 충진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작업 경로를 가진 로터리 구조를 가진
것으로,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스파우트를 통해 파우치 용기의 수용
공간에 소정 액체를 충진시키고, 스파우트의 입구 부분을 세척한 다음, 캡을 스파우트에 결합시킨 후, 액체저장용기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액체 충진장치는 일련의 충진 작업 유니트들이 원형의 작업 경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충진
설비의 대형화와 복잡화를 초래하게 되고, 원형의 단일 작업 경로에 의해 진공/충진 공정, 세척공정 및 캡핑 공정이 순
차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복잡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설비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
이 도출된다. 또한, 로터리 구조의 특성상 원형의 단일 작업 경로를 따라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대략
분당 25개의 수량 만을 생산해 낼 수 밖에 없어 대량 생산이 어렵고,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에 대한 작업 반경이 방대하
여 실질적으로 작업 공정 관리 인원이 다수명 필요하게 됨에 따라 인적 자원의 활용면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 3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전체적인 액체 충진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체 충진 제품의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인적 자원의 활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
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에 스파우트가 실링된 충진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주행시
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직선 주행경로를 가진 프레임;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충진 대상물이 상기 주행경로로 밀려 나
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부재를 가진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상기 충진 대상
물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 충진 대상물의 내부에 액상 충진물을 정량적으로 충진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진공/충진유니트; 상기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에 대응되는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크리닝
유니트;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캡 공급유니트로부터 캡을 연속적으로 로딩받아 크리닝유니트에
의해 크리닝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
된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상기 스파우트에 언로딩된 캡을 회전시켜 그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
로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캡핑유니트; 및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충진 대상
물을 상기 주행경로 상에서 소정 시간 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주행시켜 진공/충진유니트, 크리닝유니트, 캡 로딩/언로딩
유니트 및 캡핑유니트를 각각 경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가 설
치되며,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를 가진 제1프레임; 및 상기 충진 대상
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된 충진 대상물을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 상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근접되게 배치된 제2프레임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제1
프레임측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와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제2프레임측 충진 대상물의 주행경로는 서로 연
결된 일직선을 이루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주행경로 상에서 주행되는
상기 충진 대상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가 걸쳐지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주행 가이드부재
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는: 다수의 상기 충진
대상물을 상기 푸시부재의 푸시 동작에 의해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제2프레임의 주행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진 대상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주행경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
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충진유니트는: 상기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조성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충진 대상물 내부에 소정량의 충진물을 주입시키기 위한 제1충
진라인이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충진노즐; 상기 진공 조성라인을 통해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
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충진노즐에 설치된 진공 조성밸브; 소정 용량의 충진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의 상측에 설치된 충진물 저장탱크; 상기 충진물 저장탱크 내의 충진물을 소정 압력으로 흡입하여 상기 진공/충진노즐
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충진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진공/충진노
즐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상기 제1충진라인이 연결된 실린더부재; 및 상기 진공/충진노즐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한다.
- 4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유니트는: 상기 진공/충진유니트에 의해
소정량의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 부분으로 소정 압력 및 온도의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충
진유니트에 대응되는 주행경로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 분사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 공급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
로 마련된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캡이 수납 가능한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을 주행경로
측으로 경사진 공급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원; 및 상기 공급경
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되는 캡을 선택적으로 스토핑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경로의 말단 부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 로딩/언로딩유니트는: 상기 캡 공급유니트
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캡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 공급유니트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주행경로
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경로에 근접되게 설치된 로딩부재; 상기 로딩부재에 의해 소정 구역으로 이동
된 캡을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재에 대해 수직 이동 가능한 제1언로딩부재; 및 상기 제
1언로딩부재를 주행경로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 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제1언로딩부재의 수직 이동에 의해 캡을 스파
우트에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언로딩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핑유니트는: 상기 캡 로딩/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언로딩된 캡을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 소정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회전부재를 전동 드라이버 방식으로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
록 상기 회전부재와 연계된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
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니트는: 상기 충진 대상물이 충진 대상
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 대상물을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 설치된 스토퍼부재; 상기 충진 대상물이 상기 스토퍼부재에 의해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
된 경우,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를 클램핑하여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
행경로의 외측에서 주행경로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부재
; 및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주행경로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
경로의 외측에서 주행경로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충진 대상물을 진공/충진유니트 및 캡핑유니트 사이의 주
행경로를 경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
치된 충진 대상물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스토핑바아;
및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이 클램핑되는 순간, 상기 제1스토핑바아의
스토핑 동작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음 충진 대상물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다음의 충진 대상물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토핑바아를 구비한다.

- 5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
치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를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그 스파우트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며, 충진 대상물을 소정 구
간의 주행경로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지핑거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소정 구
간의 주행경로 상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충진 대상물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상기 주행
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다수의 바이어스 블록; 및 상기 바이어스 블록을 전진시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킨 상태에서
그 바이어스 블록을 주행경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바이어스 블록을 후진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
기 주행경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블록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는, 상기 캡핑유니트에 의해 스파우트에 캡을 결합시킨 충진 대
상물을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주행경
로로부터 이탈된 상기 충진 대상물이 소정 구역으로 순환 주행될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하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부
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충진 대상물의 내부에 소정 액체를 충진시키기 위한 각 구성유니트들이 로터리 구조의 원형 작업 경
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종래와 달리, 전체적인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
지므로,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대략 분당 60~120 개의 충진
대상물에 충진물을 충진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액체 충진 동작의 동선이 직선으
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므로, 설비의 고장 유무 및 액체 충진 동작의 생산성을 관리하기 위한 인적자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에 스파우트가 실링된 일반적인 충진 대상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
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액체 충진장치(300)는 충진 대상물 (100)의 내부에 소정 액체를 충진시키기 위한
각 구성유니트들이 로터리 구조의 원형 작업 경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종래와 달리, 전체적인 액체 충진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체 충진 제품의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인
적 자원의 활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액체 충진장치(300)는 다음과 같은 각종 유니트로 구획될 수 있고, 이 유니트들은 분획된 각각의
프레임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대안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니트
는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그 작동이 서보 제어된다.

상기 액체 충진장치(300)는, 충진 대상물(100)이 연속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직선 주행경로(114)를
가진 프레임(110)과,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충진 대상물(100)이 주행경로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대
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부재(133)를 가진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와,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
기를 완전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 충진 대상물(100)의 내부에 액상 충진물을 정량적으로 충진시키기 위해 주행경로(
114)의 상측에 배치된 진공/충진유니트(140)와,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 부분을 세척하
기 위해 주행경로(114)의 외측에 배치된 크리닝유니트(150)와, 적어도 하나의 캡 공급유니트(160)로부터 캡을 연속
- 6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적으로 로딩받아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키기 위해 주행경로(114)의 외측에 배치된 캡 로딩/언
로딩유니트(170)와, 스파우트(50)에 언로딩된 캡(70)을 회전시켜 그 캡(70)을 스파우트(5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
해 주행경로(114)의 상측에 배치된 캡핑유니트(180)와, 충진 대상물(100)을 주행경로(114) 상에서 소정 시간 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주행경로(1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유니트 (19
0)와, 캡핑유니트(180)에 의해 스파우트(50)에 캡(70)이 결합된 충진 대상물 (100)을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
도록 프레임(110)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유니트(210)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충진 대상물(100)은 일반적인 구조로서, 소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소정
용적의 수용 공간을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20)와, 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20)에 실링된 스파우트(50)를 구
비한다.
상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20)는 수지, 종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플랙시블 재질을 소정 두께의 라미네이팅 필름으
로 적층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스포츠 음료, 드링크제, 화장품, 세재, 식용유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50)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20)에 수용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액체저장용기(20)
의 개봉단에 삽입되어 열융착된다. 상기 스파우트(50)는 배출공(51)이 마련된 배출부(52)와, 캡(70)이 일체로 설치
되며 캡 개방용 탭(75)이 부착될 수 있는 탭부(55)와, 액체 충진 공정시 소정 클램프부재의 클램핑 동작이 용이하도록
배출부(52)와 탭부(55) 사이에 형성된 몸체(56)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 캡 공급유니트(160), 진공/충진유니트(
140), 크리닝유니트(150), 캡 로딩/언로딩유니트(170), 캡핑유니트(180), 이송유니트(190) 및 배출유니트(210)를
각각 설비되는 것으로,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가 설치되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의해 공급되는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131)를 가진 제1프레임(111)과, 진공/충진유니트(140), 크리닝유니트(150), 캡 공급유니트(16
0),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170), 캡핑유니트(180) 및 이송유니트(190)가 각각 설치되는 제2프레임(112)과, 배출유
니트(210)가 설치되는 제3프레임(115)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3프레임(111,112,1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근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2프레임(112)은 주행경로(114) 상에서 주행되는 충진 대상물(10
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가 걸쳐지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주행 가이드부재(113)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 가이드부재(113)는 제2프레임(1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충진 대상물(100)의 주행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이 공급되는 제1프레임(111)측 충진 대상물 공급
경로(131)와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이 이송되는 제2프레임(112)측 주행경로(114)는 서로 연결
된 일직선을 이루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의해
충진 대상물 공급경로(131)를 따라 공급된 충진 대상물(100)은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주행경로(114) 상으로 주행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 있는 주행경로(114)는 충진 대상물(100)이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주행 가이드부재(113)를 따라 직선으
로 주행될 수 있는 가이드 경로로서, 도면에는 제2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개소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진 대상물(100)의 개수, 종류 및 프레임(110)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의 개소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충진 대상물(100)에 액체를 충진시키기 위한 각 구성유니트들은 각 주행경로(114)의 개소에 따라 각각의
주행경로(114)에 일련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본 충진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모터들과, 진공 시스템, 에어 시스템, 온도
시스템 또는 전자 제어 시스템 등이 설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유니트들은 모두 프레임(110)에 설비
되는 바, 각종 브라켓, 블록, 바아,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은 각각의 구성유니트들을 프레임(110)에 설비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프레임(1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7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는 제1프레임 (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충진 대상물
(100)을 제2프레임(112) 측의 주행경로 (114) 상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는 주행경로(114)에 대해 일렬로 정렬된 충진 대상물(100)의 공급을 가
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132)와, 푸시동작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32)에 정렬된 충진 대상물(100)을 주행경로(
114)로 밀어 낼 수 있도록 전술한 바 있는 푸시부재(133)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32)는 일 배치(1 batch)의 충진 대상물(100)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스파우트(50)가 걸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푸시부재 (133)에 의해 스파우트(50)가 슬라이딩되면서 주행되는 공급경로(131)가 마
련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경로(131)는 제2프레임(112)측의 주행경로(114)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132)와 주행 가이드부재(113)는 충진 대상물(100)의 공급경로(13
1)와 주행경로(114)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제1 및 제2프레임(111,112)에 대해 상호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시부재(133)는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32)
에 다수 정렬된 한 줄의 충진 대상물(100)을 주행경로(114) 상으로 밀어 낼 수 있는 구조로 주행경로(114)에 대해 왕
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시부재(133)는 제2프레임(112)의 주행 가이드부재(113)에 근접되도록 제1프레임(111)에 대해 서로 평행하
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34)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고, 충진 대상물(100)을 바이어스시켜 주행경로(114)
측으로 밀어 낼 수 있는 푸시편(135)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는 일 배치의 충진 대상물(100)을 전술한 슬라이드부재(132)로 공급하기 위
해, 다수의 충진 대상물(100)을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고 제1프레임(111)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봉형상의
제2슬라이드부재(136)와, 제2슬라이드부재(136)에 정렬된 충진 대상물(100)을 슬라이드부재(132)의 공급경로(13
1)로 밀어 내기 위한 제2푸시부재(137)를 구비한다.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36)는 양단부가 제1프레임(111)에 거치 가능하며, 그 충진 대상물(100)의 각 스파우트(50)
가 걸쳐져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푸시부재(137)는 가이드레일(134)의 외측에 각각 근접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138)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
한 제2푸시편(139)을 구비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138)은 제2푸시편(139)이 충진 대상물(100)을 밀어 내어 슬라
이드부재(132)의 공급경로(131) 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제2푸시편(139)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푸시편(139)은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구동에 의해 제2가이드레일(138)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2푸시편(139)은 제2가이드레일(138)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슬라이드부재(
136)에 스파우트(50)가 걸쳐진 충진 대상물(100)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충진 대상물(100)은 제2푸시편(139)
의 푸시 동작에 의해 제2슬라이드부재(136)에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드부재(132)의 공급경로(131)에 위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공/충진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140)는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114)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그 충진 대상물(100) 내부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충진 대상물(100) 내부에 소정량의 충진물을 주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 8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이를 위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140)는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충진 대상물(100) 내부에 충
진물을 주입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진공/충진노즐(141)과, 진공/충진노즐(141)의 공기 흡입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
키기 위한 진공 조성밸브(145)와, 소정 용량의 충진물을 수용 가능한 충진물 저장탱크(146)와, 충진물 저장탱크(146)
내의 충진물을 소정 압력으로 흡입하여 저장하였다가 그 충진물을 진공/충진노즐(14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실린더부재(147)와,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대해 진공/충진노즐(141)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149)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충진노즐(141)은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 (114)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통상적인 진공 조성부재(미도시)에 연결된 진공
조성라인(14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후술할 실린더부재(147)에 연결된 제1충진라인 (143)과 선택적으로 연통된
다. 상기 진공/충진노즐(141)은 주행경로(114)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
며, 그 충진 대상물 (100)의 스파우트(50)에 대해 승강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설치된다. 상기 진공/충진노
즐(141)은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승강부재(149)의 승강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그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충진 대상물(100)의 내부에 충진물을 주입시킬 수 있는 노즐 구멍(미
도시)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진공/충진노즐(141)은 도면에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크기에 대응하여 그 이상의 개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진공 조성밸브(145)는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지지되며 진공 조성라인(142)에 의해 진공 조성부재(미도시)
및 진공/충진노즐(14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통상적인 밸브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진공 조성밸브(145)는 밸브의
개폐동작에 의해 진공 조성부재(미도시)와 진공/충진노즐(141)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진공 조성라인(142)을 통해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다음의 액체 충진 공정을 위해 진공 조성부재와 진공/충진노즐(141)
간의 연결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46)는 소정 용량의 충진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프레
임(110)에 설치된 지지대(110a)에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부재(147)는 저장탱크(146)에 저장된 충진물을 흡입하여 진공/충진노즐(141)로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장탱크(146)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충진라인(148)이 연결되며, 진공/충진노즐(141)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
능한 상기 제1충진라인(143)이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부재(147)는 저장탱크(146)와 연결된 제2충진라인(148)을 선
택적으로 개폐시키거나, 진공/충진노즐(141)과 연결된 제1충진라인(14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밸
브체(미도시)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즉, 상기 실린더부재(147)는 제1충진라인(143)을 폐쇄시킴
과 동시에 제2충진라인(148)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충진라인(148)을 통해 저장탱크(146) 내의 충진물을 흡입하고,
그 충진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1충진라인 (143)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충진라인(148)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충
진라인 (143)을 통해 진공/충진노즐(141)로 상기 충진물을 급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승강부재(149)는 진공/충진노즐(141)을 승강시켜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114) 상에 위
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작동되
는 승강 실린더(149a)에 의해 작동되어 진공/충진노즐(141)이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144)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
조를 가진다. 즉, 상기 승강부재(149)는 진공/충진노즐(141)을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밀착시켜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킴과 동시에 충진 대상물(100)의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시킬 때 작동되어 하강되고,
충진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공/충진노즐(141)을 원위치시킬 때 작동되어 상승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크리닝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 9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크리닝유니트(150)는, 진공/충진유니트(140)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의 내부에 충
진물이 충진된 경우, 그 스파우트(50) 부분에 잔류된 충진물을 크리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충진유니트(140)에
대응되는 주행경로(114)의 외측에 위치된 물 분사부재(151)를 구비한다. 상기 물 분사부재(151)는 압축 공기를 이용
하여 소정 용기(미도시)에 저장된 분사물 예컨대, 소정 온도로 가열된 물을 노즐을 통해 충진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
00)의 스파우트(50) 부분으로 급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 분사부재(151)에서 분사되는 물은 그 물 분사부재(151)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크리닝시키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캡 공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캡 공급유니트(160)는 다수의 캡(70)이 수납 가능한 트레이(161)와, 트레이(161)에
진동을 가하여 캡(70)을 주행경로(114) 측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진동원(166)과, 주행경로(114) 측으로 연속 주행되
는 캡(70)을 선택적으로 스토핑시키기 위한 홀더부재(167)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161)는 프레임(110)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프레임(162)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62)은
후술할 진동원(166)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프레임(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161)는 다수의 캡(70)을 무작위로 수용 가능한 원형 수용부(163)가 형성되고, 진동원(166)의 진동력에
의해 캡(70)을 원형 수용부(163)로부터 나선형을 따라 정렬시키면서 주행시키기 위한 나선형 가이드라인(164)이 형
성된다. 상기 나선형 가이드라인(164)은 원형 수용부(163)와 연결되며, 캡(70)이 정렬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바닥
면이 원형 수용부(16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161)는 나선형 가이드라인(164)을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다수의 캡(70)을 주행경로 (114) 측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그 주행경로(114) 측으로 하향되게 경사진 직
선형 캡 공급경로(165)가 마련된다. 상기 캡 공급경로(165)는 나선형 가이드라인 (164)의 최외곽 부분과 연결된다.
즉, 트레이(161)에 수용된 다수의 캡(70)은 진동원(166)에 의해 원형 수용부(163)로부터 나선형 가이드라인(164)
을 주행하면서 캡 공급경로(165)를 따라 주행경로(114)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진동원(166)은 트레이(161)의 하측에 마련되며, 트레이(161)에 소정 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통상적인 진동모
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부재(167)는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도달된 캡(70)을 선택적으로 가로막음으로써 캡(70)이 캡
공급경로(16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제어되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부재(167)는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설치된 홀더 실린더(1
68)에 의해 캡(70)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딩바아(169)를 구비한다. 상기 홀
딩바아(169)는 최선의 캡(70)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도착되는 시점에 홀더 실린더(168)의 구동에 의해
하강되면서 캡(70)의 상면에 접촉되어 그 캡(70)을 홀딩시킨 후, 그 캡(70)이 후술한 캡 로딩/언로딩유니트(170)에
로딩될 때 홀더 실린더(168)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면서 원위치 될 수 있는 승강 구조를 가진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캡 로딩/언로딩유니트(170)는 캡 공급유니트 (160)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캡(
70)을 로딩받아 안착시킨 후, 주행경로(114)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로딩부재(171)와, 로딩부재(171)
에 의해 소정 구역으로 이동된 캡(70)을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로딩부재(171)에 대해 수직 왕복
이동 가능한 제1언로딩부재(174)와, 제1언로딩부재(174)를 주행경로(114)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100) 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제1언로딩부재 (174)의 수직 이동에 의해 캡(70)을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킨 후 원위치될 수 있는
- 10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제2언로딩부재(177)를 구비한다.


상기 로딩부재(171)는 캡 공급유니트(160)에 대향되도록 주행경로(114)에 근접되게 배치된 것으로, 캡 공급유니트
(160)의 홀더부재(167)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공급되는 캡(70)을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로딩시킬 수 있도
록 가이드레일(173)에 의해 주행경로(114)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는 캡로딩 수평블록(172)을 구비한
다. 상기 캡로딩 수평블록(172)은 캡 공급유니트(160)의 홀더부재(167)에 의해 1차적으로 공급되는 제1캡(71)을 안
착시키기 위한 제1안착홈 (172a)과, 주행경로(114)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상태에서 홀더부재(167)에 의해
2차적으로 공급되는 제2캡(72)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1안착홈(172a)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안착홈
(172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캡로딩 수평블록(172)은, 제1 및 제2안착홈(172a,172b)에 제1 및 제2캡(71,72)이
안착된 경우, 진공/충진유니트(140)에 의해 충진물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유니트 (190)에 의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114) 상으로 이송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와 대향되도록 직선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캡
로딩 수평블록(172)은 한 쌍의 제1 및 제2안착홈(172a,172b)이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개소가 마
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언로딩부재(174)는, 캡로딩 수평블록(172)이 충진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이동된
후, 제1 및 제2안착홈(172a,172b)에 안착된 제1 및 제2캡(71,72)을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하강되고 제1 및 제2캡(
71,72)을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되며, 후술할 제2언로딩 이동블록(178)에 의해 충진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
0) 측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캡(71,72)을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강되고 원
위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을 구비한다. 상기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은 제2언로딩 이동블록
(178)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에어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작동되어 제1 및 제2캡(71,72)을 클램핑할 수 있
는 한 쌍의 제1언로딩 에어핑거(176)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언로딩부재(174)는 한 쌍의 제1언로딩 에어
핑거 (176)가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개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언로딩부재(177)는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에 의해 클램핑된 제1 및 제2캡(71,72)을 충진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79)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제1언로딩 승강블록(1
75)을 로딩부재(171)의 이동 경로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언로딩 이동블록(178)을 구
비한다. 즉, 제2언로딩 이동블록(178)은 제1언로딩 승강블록 (175)이 충진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
50) 측으로 하강되어 제1 및 제2캡(71,72)을 그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캡핑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캡핑유니트(180)는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170)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
트(50)에 캡(70)을 로딩시킨 후, 그 충진 대상물(100)이 이송유니트(190)에 의해 소정 거리 만큼 주행경로(114) 상
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캡(70)을 스파우트(5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캡핑유니트(180)는 캡 로딩/언로딩유니트(170)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
된 캡(70)을 스파우트(5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한 쌍의 회전부재(181)와, 회전부재(181)를 소정 회전수 만큼 회
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83)와, 회전부재(181)를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대해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184)를 구비한다.
- 11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상기 회전부재(181)는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된 캡(7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그 캡(70)을 스파우트(50)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70)에 대해 승강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82)
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81)는 도면에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
고, 그 이상의 개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재(183)는 소정 전원을 인가 받아 회전부재(181)를 소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전동 드
라이버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구동부재 (183)는 컨트롤유니트(120)에 기설정된 소정 셋팅값에 의해 일정 회전수 만
큼 회전되는 스탭핑 모터(미도시)를 구비하며, 그 스탭핑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부재(181)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184)는 회전부재(181)를 승강시켜 그 회전부재(181)를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
된 캡(70)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유니트(120)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 실린더(185)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부재(181)가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182)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승강부재(184)
는 회전부재(181)를 스파우트(50)에 언로딩된 캡(70)에 밀착시킨 후 그 캡(70)을 회전시켜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하
강되고, 캡(7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81)를 원위치시키기 위해 상승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이송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니트(190)는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130)에 의해 주행경로(114) 상으로 공
급된 충진 대상물(100)을 그 주행경로(114)를 통해 선택적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원동력으로서, 컨트롤유니트(120)
에 의해 제어되고 실질적으로 주행경로(1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유니트(190)는 충진 대상물(100)이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의해 주행경로(114) 상에
위치될 때, 그 충진 대상물(100)을 주행경로 (114)의 시작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충진 대상물(100)의 주행을 스
토핑시키기 위한 스토퍼부재(191)와, 충진 대상물(100)이 스토퍼부재(191)에 의해 주행경로 (114)의 시작점에 정위
치된 경우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하여 주행경로(114)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클램프부재(194)와, 클램프부재(194)에 의해 주행경로(114)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100)을 바이
어스시킬 수 있도록 주행경로(114)의 외측에서 주행경로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충진 대상물(100)을 진공/충진유
니트(140) 및 캡핑유니트(180) 사이의 주행경로(114)를 경유시킬 수 있도록 주행경로(114)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
능하게 설치된 이송부재(196)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재(191)는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의해 주행경로(114)의 시작점 즉, 주행 가이드부재(113)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한 제1스토핑바아(192)와, 클램프부재(194)에 의해 주
행경로 (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이 클램핑되는 순간, 제1스토핑바아 (192)의 스토핑 동작을 해
제시킨 상태에서 다음 충진 대상물(100)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한 제2스토핑바아(19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토핑바아(192)는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주행경로(114)의 시
작점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스토핑바아(192)는 충진 대상물(100)이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도달되는 시점에 전진되고, 클램프부재(194)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측 충진 대상물(100)을 클램프시키는 시점에
후진된다.

상기 제2스토핑바아(193)는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에 최선의 충진 대상물(100)을 따라 공급되는 후위 충진
대상물(1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실린더 구동에 의해 후위 충진 대상물(100)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
기 제2스토핑바아(193)는 제1스토핑바아(192)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측 충진 대상물(100)에 대해 전진된 시점
에 후진하게 되고, 제1스토핑바아(192)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도달된 충진 대상물(100)에 대해 후진된 시점
에 전진하게 된다.
- 12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상기 클램프부재(194)는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주행경로(114)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주행
경로(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 (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하여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114) 상으
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클램프부재(194)는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
(100)의 스파우트(50)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며,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할 수 있는 파지핑거
(195)를 구비한다. 즉, 상기 클램프부재(194)는 파지핑거(195)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1
00)의 스파우트(50) 측으로 이동되어 그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주행경로(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상기 이송부재(196)는 주행경로(114)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클램프부재(194)에 의
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114) 상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100)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스블록(197)과, 바이
어스블록(197)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을 바이어스시킨 상태에서 그 바이어스블록(197)을 주행경로 방향으로 이동
시킨 후, 바이어스블록(197)을 후진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는 이송블록(199)을 구비한다.
상기 바이어스블록(197)은 실질적으로 진공/충진유니트(140) 및 캡핑유니트 (180) 사이의 구간에 대응되는 주행경
로(114)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일반적인 실린더 구동에 의해 주행경로(114)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다. 상기 바이어스블록(197)은 충진 왕복 이동에 의해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 부분을 선택적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취하는 바이어스편(198)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블록(199)은 바이어스블록(197)과 일체로 결합되며,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주행경
로(1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블록(199)은 바이어스블록(197)이 주행경로(114) 측으로 전진되어 충진 대상물(100)을 바이어스시킨 상
태에서 각 유니트로 구획된 주행경로(114)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송블록(199)은 각 유니트로 구획
된 주행경로(114)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된 후, 바이어스블록(197)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
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배출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니트(210)는 제2프레임(112)에 근접된 제3프레임(11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유니트(190)의 구동에 의해 주행경로 (114)로부터 이탈된 충진 대상물(100)이 소정 구역으로 순환 주행하면서
배출되 수 있도록 주행경로(114)의 하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211)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부재(211)는 무한
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한 컨베이어벨트(21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내지 도 11n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충진장치(300)의 전원을 온(On)시켜 컨트롤유니트(120)에 필요한 데이터를 셋팅한
다. 그리고, 컨트롤유니트(120)를 수동 모드로 변환시켜 각각의 구성유니트들을 인위적으로 이송시키거나 간격을 이격
시킨다. 또한, 진공/충진유니트(140)의 충진물의 량과 에어시스템 등을 점검한다. 충진장치(300)의 모든 구성유니트
들이 작동을 위해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컨트롤유니트(120)를 "워밍업" 모드로 전환시켜 미리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과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61)의 원형 수용부(163)에 다수의 캡(70)을 무작위로 수납시
킨다.
- 13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충진 대상물(100)을 제2슬라이드부재(136)에 일 배치로 걸쳐 놓은 상태에
서, 그 제2슬라이드부재(136)를 제1프레임 (111)에 거치시킨다.
이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작으로 제2푸시부재(137)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푸시편(139)은 제2가
이드레일(138)을 따라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슬라이드부재(136)의 가이드홈(미도시)에
스파우트(50: 도 1)가 걸쳐진 충진 대상물(100)을 밀어 낸다. 이에 따라, 상기 충진 대상물(100)은 제2슬라이드부재
(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드부재(132)의 충진 대상물 공급경로(131)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유니트(120)의 시작 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130)의 진동원(166)이 가동된다. 그러면, 진동원(166)은 트레이(161)에 소정 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캡(70)은 진동원(166)의 진동력에 의해 트레이(161)의 원형 수
용부(163)로부터 빠져 나와 나선형 가이드라인(164)을 따라 주행하게 되고, 이 후, 나선형 가이드라인(164)를 벗어
나 캡 공급경로(165)를 따라 공급된다.
한편, 상기 캡(70)들 중 최선의 캡(70)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도달되는 순간, 홀더부재(167)의 홀딩바
아(169)는 최선의 캡(70)이 캡 공급경로 (165)의 말단 부분에 도착되는 시점에 홀더 실린더(168)에 의해 하강되면
서 캡(70)의 상면에 접촉된다. 그러면, 캡 공급경로(165)를 따라 공급되는 캡(70)들은 홀딩바아(169)의 홀딩 동작에
의해 그 주행이 스토핑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재(133)가 컨트롤유니트(120: 도 2)에 의해 제어되어
가동된다. 그러면, 푸시편(135)은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이동되면서 푸시편(135)의 푸시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부
재 (132)에 정렬된 충진 대상물(100)을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 후, 상기 충진 대상물(100)
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32: 도 11c)의 충진 대상물 공급경로(1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주
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다.

다음, 충진 대상물(100)이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도달되는 시점에 스토퍼부재(191)의 제1스토핑바아(192)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은 그 주행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스토퍼부재(191)의 제2스토핑바아(193)는 제1스토핑바아(192)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측 충진 대상물(100)에
대해 전진된 시점에 후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부재(194)의 파지핑거(195)를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파지핑거(195)는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스토핑바아(192)는 클램프부재(194)의 파지핑거(195)가 주행경로(114)의 시작점
측 충진 대상물(100)을 클램프시키는 시점에 후진되고, 제2스토핑바아(193)는 제1스토핑바아(192)가 주행경로(11
4)의 시작점측 충진 대상물(100)에 대해 후진되는 시점에 전진된다. 그러면, 제2스토핑바아(193)는, 클램프부재 (1
94)의 파지핑거(195)에 의해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 (100)이 클램핑되는 순간, 다음 충진
대상물(100)의 주행을 규제시키게 된다.

다음, 클램프부재(194)의 클램핑 동작이 완료되면,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94)는 파지핑거(1
95)가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컨트롤유니트(120: 도 2)에 의해 제어되어 주행경
로(114)를 따라 소정 거리 만큼 이동된다. 그러면, 충진 대상물(100)은 스파우트(50)가 주행 가이드부재(113)에 가
이드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이어서, 클램프부재(194)는 파지핑거(19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주행경로(114)의 시작점에 대응되는 위
치로 원위치된다. 이 후, 상기 클램프부재 (19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그 다음의 충진 대상물(100)을 클램
핑하여 앞서 이동된 충진 대상물(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주행경로(114) 상으로 이동시킨다.
- 14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이 상태에서, 이송유니트(190: 도 2)의 이송부재(196)는 도 1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유니트(120: 도 2)에 의
해 제어되어 바이어스블록(197)을 주행경로 (114)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바이어스편(198)은 클램프부재(194)
에 의해 주행경로(114)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를 감싸게 된다.
이어서, 이송부재(196)는 이송블록(199)을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주행경로(114)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충진 대상물(100)은 스파우트(50)가 바이어스편(198)에 의해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진
공/충진유니트(140: 도 2) 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이송부재(196)는 바이어스블록 (197)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
시킴과 동시에 이송블록(199)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 도 1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 대상물(100)이 진공/충진유니트(140)의 하측에 도달되는 순간, 진공/충
진유니트(140)의 진공/충진노즐(141)은 승강부재(149)의 승강 실린더(149a)에 의해 하강되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 (50)에 밀착된다.
이어서, 진공 조성밸브(145)는 컨트롤유니트(120: 도 2)에 의해 제어되어 진공 조성부재(미도시) 및 진공/충진노즐(
141)과 연결된 진공 조성라인(142)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진공 조성부재(미도시)는 진공/충진노즐(141)을
통해 충진 대상물(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켜 진공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 진공 조성밸브(145)는 컨트롤유니트(120: 도 2)에 의해 제어되어 다음의 액체 충진 공정을 위해 진공 조성부재
(미도시) 및 진공/충진노즐(141)과 연결된 진공 조성라인(142)을 폐쇄시킨다.

이어서, 실린더부재(147)는 제1충진라인(143)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제2충진라인(148)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충
진라인(148)을 통해 저장탱크(146) 내에 저장된 충진물을 소정량 흡입하고, 제1충진라인(143)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2충진라인(148)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충진라인(143)을 통해 진공/충진노즐 (141)로 충진물을 급분사시킨다.
그러면, 충진 대상물(100) 내부에는 소정량의 충진물이 충진된다. 이 후, 진공/충진노즐(141)은 승강부재(149)의 승
강 실린더 (149a)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다음, 도 1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140: 도 11h)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 내부에 소정량의 충
진물이 충진된 경우, 이와 동시에, 크리닝유니트(150)의 물 분사부재(151)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소정 용기(미도시)
에 저장된 일정 온도의 물을 노즐을 통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 부분으로 급분사시킨다. 그러면, 진공/충
진유니트(140)의 충진 작업 도중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 부분에 오염된 충진물은 물 분사부재(151)에 의
해 급분사되는 물에 의해 씻겨진다.

이어서, 크리닝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0)은 전술한 바와 있는 이송유니트 (190)의 이송부재(196)에 의해 주행경로
(114)를 따라 캡 로딩/언로딩유니트(170) 측으로 이동된다(도 11g 참조).

이러한 작업을 거치는 동안, 도 1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서 캡(70)을 홀딩시키는 상
태를 유지하고 있는 홀더부재(167)의 홀딩바아(169)는 홀더 실린더(168)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면서 캡(70)에 대한
홀딩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러면, 제1캡(71)은 진동원(166: 도 2)의 진동력에 의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으
로부터 이탈되면서 캡로딩 수평블록(172)의 제1안착홈 (172a)에 안착된다. 이 때, 그 다음의 제2캡(72)은 진동원(1
66: 도 2)의 진동력에 의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도달된다. 이 후, 홀더부재(167)의 홀딩바아(169)에 의
해 캡 공급경로(165)의 말단 부분에 도달된 제2캡(72)을 스토핑시킨 상태에서, 캡로딩 수평블록(172)은 주행경로(1
14)의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안착홈(172a,172b)의 이격 거리 만큼 이동된다. 다음으로, 홀딩바아(169)의 스토핑 동
작을 해제시키게 되면, 제2캡(72)은 제2안착홈(172b)에 안착된다.

- 15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이어서, 상기 캡로딩 수평블록(172)은 주행경로(114)에 대해 수평 이동되어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언로딩 승강블록(175)의 하측에 도달된다.
다음, 도 1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을 캡로딩 수평블록(172)에 로딩된 캡(70) 측으로 하강
시킨다. 그 다음, 제1언로딩 에어핑거(176)는 에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작동되어 각각의 캡(70)를 클램핑하게 되고,
이 후, 제1언로딩 승강블록(175)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어서, 도 11ℓ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언로딩 이동블록(178)은 가이드레일(179)에 가이드되면서 충진 대상물(10
0)의 스파우트(50) 측으로 하강되고, 제1언로딩 에어핑거(176)는 에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작동되어 클램핑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캡(70)을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언로딩시키고 원위치 된다. 그리고, 제2언로딩 이동블
록(178) 또한 가이드레일(179)에 가이드되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다음, 스파우트(50)에 캡(70)이 올려진 충진 대상물(100)은 전술한 바와 있는 이송유니트(190)의 이송부재(196)에
의해 주행경로(114)를 따라 캡핑유니트 (180) 측으로 이동된다(도 11g 참조).
이어서, 도 11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유니트(180)의 회전부재(181)는 승강부재(184)의 승강 실린더(185)에 의
해 하강되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 (50)에 언로딩된 캡(70)에 밀착된다.
다음, 회전부재(181)는 전동 드라이버 방식으로 구동되는 구동부재(183)에 의해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시계 방향으
로 소정 회전수 만큼 회전된다. 그러면, 캡(70)은 회전부재(181)의 회전에 의해 충진 대상물(100)의 스파우트(50)에
나사 결합된다. 이 후, 회전부재(181)는 승강부재(184)의 승강 실린더(185)에 의해 상승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어서, 스파우트(50)에 캡(70)이 결합된 충진 대상물(100)은 전술한 바와 있는 이송유니트(190)의 이송부재(196)
에 의해 주행경로(114)를 따라 캡핑유니트 (180) 측으로 이동된다(도 11g 참조).
다음, 도 11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의 충진 및 캡핑 공정이 완료된 충진 대상물(100)은 이송유
니트(190)의 이송부재(196)에 의해 주행경로(114)를 따라 주행하다가 주행경로(114)로부터 이탈되면서 배출유니트
(210)의 컨베이어벨트(212) 상으로 낙하된다.
이어서, 충진 대상물(100)은 무한궤도 상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부재(211)의 컨베이어벨트(212)를 따라 주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포장박스 또는 카트 박스(미도시)로 배출된다.
따라서,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에 스파우트가 실링된 충진 대상물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반복 공정에 의해 직선
작업 경로를 경유하면서 액체 충진 및 캡핑 공정이 완료된다.
고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충진 대상물의 내부에 소정 액체를 충진시키기 위한 각 구성유니트들이 로터리 구조의 원형 작업 경로 상에 배치
되는 구조를 가진 종래와 달리, 전체적인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일련
의 액체 충진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대략 분당 60~120 개의 충진 대상물에 충진물을 충진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셋째, 전체적인 액체 충진 동작의 동선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므로, 설비의 고장 유무 및 액체 충진 동작의
생산성을 관리하기 위한 인적자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 16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에 스파우트가 실링된 충진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주행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직선 주행경로
를 가진 프레임;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충진 대상물이 상기 주행경로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
치된 푸시부재를 가진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
상기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 충진 대상물의 내부에 액상 충진물을 정량적으로 충진시
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진공/충진유니트;
상기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에 대응되는 주행경로의 외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크리닝유니트;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캡 공급유니트로부터 캡을 연속적으로 로딩받아 크리닝유니트에 의해 크
리닝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캡 로
딩/언로딩유니트;
상기 스파우트에 언로딩된 캡을 회전시켜 그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
기 프레임에 설치된 캡핑유니트; 및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충진 대상물을 상기 주행경로 상에서 소정 시간 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주
행시켜 진공/충진유니트, 크리닝유니트, 캡 로딩/언로딩유니트 및 캡핑유니트를 각각 경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
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가 설치되며,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를 가
진 제1프레임; 및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된 충진 대상물을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 상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근접되게 배치된 제2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제1프레임측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와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이송되
는 제2프레임측 충진 대상물의 주행경로는 서로 연결된 일직선을 이루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4.
- 17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주행경로 상에서 주행되는 상기 충진 대상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가 걸쳐지면서 슬
라이딩 가능한 주행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는:
다수의 상기 충진 대상물을 상기 푸시부재의 푸시 동작에 의해 충진 대상물의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제2프레임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진 대상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주행경로에 대응되
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충진유니트는:
상기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조성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충진 대상물 내부에 소정량의 충진물
을 주입시키기 위한 제1충진라인이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충진노즐;
상기 진공 조성라인을 통해 충진 대상물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충진노즐에 설치된 진
공 조성밸브;
소정 용량의 충진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충진물 저장탱크;
상기 충진물 저장탱크 내의 충진물을 소정 압력으로 흡입하여 상기 진공/충진노즐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충진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진공/충진노즐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상기 제1
충진라인이 연결된 실린더부재; 및
상기 진공/충진노즐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유니트는:
상기 진공/충진유니트에 의해 소정량의 충진물이 주입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 부분으로 소정 압력 및 온도의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충진유니트에 대응되는 주행경로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 분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8.
- 18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공급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캡이 수납 가능한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을 주행경로 측으로 경사진 공급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원; 및
상기 공급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되는 캡을 선택적으로 스토핑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경로의 말단 부분에 대해 승
강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로딩/언로딩유니트는:
상기 캡 공급유니트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캡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 공급유니트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
며, 상기 주행경로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경로에 근접되게 설치된 로딩부재;
상기 로딩부재에 의해 소정 구역으로 이동된 캡을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재에 대해 수직
이동 가능한 제1언로딩부재; 및
상기 제1언로딩부재를 주행경로 상에 위치된 충진 대상물 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제1언로딩부재의 수직 이동에 의해 캡
을 스파우트에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언로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유니트는:
상기 캡 로딩/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언로딩된 캡을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
소정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회전부재를 전동 드라이버 방식으로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
와 연계된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니트는:
상기 충진 대상물이 충진 대상물 공급유니트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 대상물을 주행경로의 시
작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 설치된 스토퍼부재;
- 19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상기 충진 대상물이 상기 스토퍼부재에 의해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경우, 상기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를 클램
핑하여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서 주행경로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부재; 및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주행경로를 따라 소정 구간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
의 외측에서 주행경로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충진 대상물을 진공/충진유니트 및 캡핑유니트 사이의 주행경
로를 경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대해 전후진 가
능하게 설치된 제1스토핑바아; 및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이 클램핑되는 순간, 상기 제1스토핑바아의 스
토핑 동작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음 충진 대상물의 주행을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다음의 충진 대상물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토핑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주행경로의 시작점에 정위치된 충진 대상물의 스파우트를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그 스파우트에 대해 왕복 이동 가
능하며, 충진 대상물을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
치된 파지핑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해 소정 구간의 주행경로 상으로 이동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충진 대상물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상기 주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다수의 바이어스 블록; 및
상기 바이어스 블록을 전진시켜 충진 대상물을 바이어스시킨 상태에서 그 바이어스 블록을 주행경로 방향으로 이동시
킨 후, 상기 바이어스 블록을 후진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왕복 이동 가능
하게 설치된 이송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청구항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유니트에 의해 스파우트에 캡을 결합시킨 충진 대상물을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
측에 설치된 배출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 20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청구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주행경로로부터 이탈된 상기 충진 대상물이 소정 구역으로 순환 주행될 수 있도록 상기 주행경
로의 하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도면
도면 1
- 21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2
- 22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3
도면 4
- 23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5
- 24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6
도면 7
- 25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8
- 26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9
- 27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0
도면 11a
- 28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b
도면 11c
- 29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d
- 30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e
- 31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f
- 32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g
- 33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h
- 34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i
도면 11j
- 35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k
도면 11l
도면 11m
- 36 -
등록실용신안 20-0288028

도면 11n
-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