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중 용기 구조체(DOUBLE VESSEL STRUCTUR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15. 13:53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10월23일
(11) 등록번호 10-1454383
(24) 등록일자 2014년10월1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G 19/2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35696
(22) 출원일자 2012년11월28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1월28일
(65) 공개번호 10-2014-0068354
(43) 공개일자 2014년06월0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80015358 A*
KR200344484 Y1*
KR1020040017993 A
JP52004380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경기 안성시 죽산면 용대길 38-12,
(72) 발명자
송승민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201, 80동 202호 (압
구정동, 현대아파트)
(74) 대리인
엄명용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박기효
(54) 발명의 명칭 이중 용기 구조체
(57) 요 약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용기 구조체의 외지와 내지의 합지 구조를 개선하여 원지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지와 내지의 단열성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파지시 외지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대 표 도 - 도5
등록특허 10-1454383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부에 제 1컬링부가 형성된 통형의 내지와, 상기 내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지와, 상기 내지와의 사이에 공
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지의 외측에 결합된 외지로 이루어진 이중 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외지(210)의 길이(A)는 상기 내지(110) 길이(B)의 1/4 ~ 3/4 이며,
상기 외지(210)의 상단부는 상기 내지(110)의 상부에 접착되고,
상기 외지(2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 2컬링부(2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체.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지(210)는 상기 공간부(22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통기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212)의 테두리
부위에 상기 내지(110)측으로 지지버어(212a)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공간부(220)의 열기가 상기 통기공(212)을 통해 방출되고, 사용자가 외지(210)를 파지할 때 상기 지지버어
(212a)가 상기 내지(110)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체.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이중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용기의 제조시 내지의 상부에 외지를[0001]
접합시켜 단열기능을 갖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이중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최근에는 단열을 위한 이중 구조의 종이 용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 예의 이중용기가 실용신안 등록번호[0002]
20-3585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내지(21)와, 내지(21)의 하단부에 결합되
는 밑지(23)와, 내지(21)의 외측에 결합되어 내지(21)와의 사이에 공간부(25)를 형성하는 외지(22)로 이루어진
이중컵(20)의 구조를 갖는다.
내지(21)는 상단부에 말아진 컬링부(21a)가 형성되어 있다.[0003]
외지(22)의 하단부에는 외향 돌출되어 쿠션이 부여되도록 절곡된 절곡면(22a)과, 절곡면(22a)으로부터 연장 형[0004]
성되어 내지(21)의 하단부 외주면과 접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이중 종이 용기의 다른 예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358525호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0005]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지(11)와, 내지(11)의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지를 감싸는 외지
(12)로 이루어지고, 내지(11)와 외지(12) 사이의 공간이 외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외지(12)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구멍(12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내지는 통형의 옆지(11a)와, 옆지(11a)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11b)로 구성되고, 외지(12)의 상단부는 제 1[0006]
컬링부(11c)사이에 끼워지고 외지(12)의 하단부는 옆지(11a)측으로 말아진 제 2컬링부(12b)를 형성하여 옆지
(11a)의 측면 하단부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 이중 종이 용기들의 구조는 도 3에서와 같이, 실제 사용자가 내용물이 수용된 컵 형태의 용기를[0007]
파지할 때, 외지(12)를 파지하게 되는 데, 이 경우 종이 재질의 특성상 유연함을 갖는 외지(12)가 옆지(11a) 측
으로 휘어지되면서 외지(12)가 옆지(11a)에 밀착됨에 따라 컵 내부의 내용물로부터 열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등록특허 10-1454383
- 2 -
손가락(F)으로 전달되어 파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중 종이 용기들은 외지(12)가 내지(11)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므로 종이 원지의[0008]
낭비로 인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0009]
첫째,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파지력에 의한 외지의 휨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충분한[0010]
강성을 가지며, 내용물로부터 열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성을 충족시킬 수 있
는 이중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둘째, 외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지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구성함으로써, 종이 원지 재료를 최소화하여 이중 용[0011]
기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중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제 1컬링부가 형성된 통형의 내지와, 상기 내지의 하단부에 결[0012]
합되는 밑지와, 상기 내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지의 외측에 결합된 외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지의 길이는 상기 내지 길이의 1/4 ~ 3/4 이며, 외지의 상단부는 상기 내지의 상부에 접착되고, 상기 외[0013]
지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 2컬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4]
또한, 본 발명 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외지는 상기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0015]
공의 테두리 부위에 상기 내지측으로 지지버어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공간부의 열기가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방출되고, 사용자가 외지를 파지할때 상기 지지버어가 상기 내지의[0016]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첫째, 본 발명은 외지(210)의 길이가 단축되므로 유연성에 의한 외지(210)의 휘어짐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손으[0017]
로 외지(210)를 눌러서 파지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에서 외지
(210)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내지(110)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외지(210) 파지시 뜨거운 열
기가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외지(210)가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처럼 내지(110)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는 구조가 아니라[0018]
내지(110)의 일부위만을 감싸도록 결합되므로 종이 원지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공간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외지(210)에 통기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212)의[0019]
테두리 부위가 상기 내지(110)측으로 절곡되도록 돌출된 지지버어(212a)가 형성되므로, 공간부 내의 열기를 신
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지지버어(212a)의 단부가 내지(110)의 외면에 접촉됨에 따라 외지(210)의 강성을 보
강하는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지(210)가 아닌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내지(110) 하부를 파지하여 접촉할 경우, 내[0020]
지(1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가늠하여 취식 가능한 온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는 종래 종이 용기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0021]
도 2는 종래 종이 용기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종이 용기의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등록특허 10-1454383
- 3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중 용기 구조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이중 용기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제 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용기 구조체의 외지와 내지의 합지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원지 재료를 절감할 수 있[0022]
도록 함과 아울러, 외지와 내지에 단열성을 부여하고 외지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체의 일 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부에 제 1[0023]
컬링부(115)가 형성된 원통형의 내지(110)와, 내지(110)의 하부에 접합되는 밑지(120)와, 내지(110)의 상부 외
측 둘레를 감싸도록 접합되며 하부에 제 2컬링부(215)가 형성되는 외지(210)로 구성된다.
상기 외지(210)의 길이(A)는 내지(110)의 길이(B)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외지(210)의 길이(A)가 짧을[0024]
수록 사용자 파지력에 의한 외지(A)의 휨발생이 줄어들지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 및 단열면적 등을 고
려하여 외지(210)의 길이(A)는 상기 내지(110) 길이(B)의 1/4 ~ 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지(110)는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지(110)의 하부에 밑지(120)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0025]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공지의 컵 구조를 가지게 된다.
내지(110)는 내부에 내수성이 강한 합성수지필름이 라미네이팅 결합되어 수분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0026]
또한, 내지(110)의 하부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표명, 바코드, 광고문구 등이 인쇄될 수 있다.[0027]
도 4를 참조하면, 외지(210)는 하부가 내지(110)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중간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내지[0028]
(110)의 외면에 접착된다. 이는 제 2컬링부(215)가 내지(110)의 중간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할 경우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와 동일하게 종이 원지의 재료가 낭비되고 종이 원지의 유연성으로 인해 기존 도 3에서처럼 파
지시 외지(210)와 내지(110)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지(210)는 상단부가 상기 내지(110)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2컬링부(215)가 상기 내[0029]
지(110)의 중간 높이에 본드 등의 접착제로 내지(110)의 외면에 접착된다.
이때, 외지(210)는 내지(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내지(110)와 외지(210) 사이에 공간부(220)가 형성[0030]
된다.
공간부(220)는 내지(110)에 수용된 내용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단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0031]
내지(110)와 외지(210)는 종이 원지 재료로 구성되지만, 외지(210)가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처럼 내지(110)의[0032]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는 구조가 아니라 내지(110)의 상부 일부위만을 감싸도록 결합되므로 종이 원지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에 비해 외지(210)의 길이(A)가 내지(110)의 길이(B)보다 짧게 구성되
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에 의한 외지(210)의 휘어짐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손가락(F)으로 외지
(210)를 눌러서 파지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기존 이중 용기 구조체에서 외지(210)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내지(110)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컵 용기를 외지(210)의 외측을 파지하더라도 외지(210)와 내지(110) 사이에 공간부(220)가[0033]
유지되어 내지(110)의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내용물로부터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F) 부위에 힘을 가해 외지(210)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으므로 외지[0034]
(210)의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는 외지(210)가 아닌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내지(110) 하부를 파지하여 접촉할 경우, 내지(110)의[0035]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가늠하여 취식 가능한 온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454383
- 4 -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위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되, 공간부(22[0036]
0)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외지(210)에 통기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212)의 테두리 부위에 상기 내
지(110)측으로 돌출된 지지버어(212a)가 형성된 것이다.
지지버어(burr;212a)는 송곳 등에 의해 통기공(212)을 형성하는 과정중에 형성되는 버어(burr)에 의해 이루어지[0037]
며, 사용자의 외지(210) 파지시 지지버어(212a)의 단부가 내지(110)의 외면과 접촉되어 외지(210)의 강성을 보
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220)의 열기가 상기 통기[0038]
공(212)을 통해 신속하게 방출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외지를 파지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버어(212a)가 내지(110)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내지(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지(2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내지(110)를 통해 열기가 공간부(220)를 통해 외지(210)측으로 전달되더라도, 공간부(220) 내에서 대류[0039]
작용으로 통기공(212)을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지(210)를 파지하더라도 열기에 의한 파지의 어려
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외지(210)가 내지(110)의 하[0040]
부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된 구조로서, 외지(210)의 상단부가 내지(110)의 중간에 접착되고, 외지(210)의 하단부
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 2컬링부(215)가 내지(110)의 하단부에 접착되어 내지(110)의 하부와 외지(210) 사이에
공간부(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같은 기능(외부 압력에 의한 외지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함[0041]
과 아울러, 종이 원지의 재료 절감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지만, 뜨거운 내용물이 내지(110)의 내부에 수용된 경
우 사용자가 통상의 컵 용기를 파지할 때 통상적으로 용기의 상부를 파지하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고 뜨거운
열기가 전달된 내지(110)의 상부면을 직접 파지하게 되어 파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예방하기 위
해 하측의 외지(210)를 파지할 경우 내지(110)에 수용된 내용물의 유동 및 쏠림 현상으로 인해 파지시 균형을
잡기 어려운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같이 외지(210)가 내지(110)의 상부 둘레를 감
싸도록 결합된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42]
110 : 내지 115 : 제 1컬링부
120 : 밑지 210 : 외지
212 : 통기공 212a : 지지버어
215 : 제 2컬링부 220 : 공간부
등록특허 10-1454383
- 5 -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454383
- 6 -
도면4
등록특허 10-1454383
- 7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454383
- 8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454383
- 9 -
도면9
등록특허 10-1454383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