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for relay terminalstation)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H01R 13/642 (2006.01)
H01R 4/3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12월15일
10-0658659
2006년12월11일
(21) 출원번호 10-2005-0135322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5년12월30일 (43) 공개일자
심사청구일자 2005년12월30일
(73) 특허권자 이용돈
서울 강서구 화곡동 1079-5 (25/3)
(72) 발명자 이용돈
서울 강서구 화곡동 1079-5 (25/3)
(74) 대리인 최중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8222297 A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김태수
전체 청구항 수 : 총 10 항
(54)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57) 요약
본 발명은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자대블록(10)에 복수개의 릴레이(15)와 접속단자부(20)가 구
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로 이루어진 릴레이 단자대
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
(30,40,50,6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는 각각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헤드(32,42,52,62)의 형상이 다른 각 볼트(30,40,50,60)에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
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 중에서 적어도 제1 내지 제3볼트
(30,40,50)는 각각 서로 다른 금속색깔을 띠는 금속으로 도금되어 구성되며, 서로 다른 색깔의 금속으로 도금된 상기 볼트
(30,40,50)에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다.
대표도
도 1
특허청구의 범위
등록특허 10-0658659
- 1 -
청구항 1.
단자대블록(10)에 복수개의 릴레이(15)와 접속단자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양극단자(22), 음극단자
(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로 이루어진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
(26) 및 릴레이단자(28)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30,40,50,6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
(30,40,50,60)의 헤드(32,42,52,62)는 각각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헤드(32,42,52,62)의 형상이 다른 각 볼트
(30,40,50,60)에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
속단자구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 형상은 각각 접시머리형, 사각형, 육각형, 원
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볼트(30,40,50)의 헤드(32,42,52) 상면에는 십자형, 일자형, 일자십
자 복합형 드라이버홈(34,44,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라이버홈(34,44,54)이 채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
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4.
단자대블록(10)에 복수개의 릴레이(15)와 접속단자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양극단자(22), 음극단자
(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로 이루어진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
(26) 및 릴레이단자(28)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30,40,50,6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
(30,40,50,60) 중에서 적어도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각각 서로 다른 금속색깔을 띠는 금속으로 도금되어 구성되
며, 서로 다른 색깔을 띠는 상기 볼트(30,40,50,60)에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동, 니켈, 크롬 도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도금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볼트(30,40,50)의 헤드(32,42,52) 상면에는 십자형, 일자형, 일자십
자 복합형 드라이버홈(34,44,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라이버홈(34,44,54)이 채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
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7.
단자대블록(10)에 복수개의 릴레이(15)와 접속단자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양극단자(22), 음극단자
(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로 이루어진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
등록특허 10-0658659
- 2 -
(26) 및 릴레이단자(28)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30,40,50,6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
(30,40,50,60)의 헤드(32,42,52,62)는 각각 형상이 다르게 구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서로
다른 금속색깔을 띠는 금속으로 도금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 형상은 각각 접시머리형, 사각형, 육각형, 원
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동, 니켈, 크롬 도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도금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청구항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볼트(30,40,50)의 헤드(32,42,52) 상면에는 십자
형, 일자형, 일자십자 복합형 드라이버홈(34,44,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라이버홈(34,44,54)이 채택되어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특성별로 전기케이블을 쉽게 구분하
여 배설할 수 있으므로, 배선이 용이하면서도 배선 오류의 우려가 없으며, 초보자는 물론, 특히, 색맹이나 색약자도 오류
없이 전기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으며, 아울러,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
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제어기기나 산업용기기 또는 배전반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장치에는 단자대가 사용되며, 전기장치 중
에는 릴레이 단자대가 사용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릴레이 단자대는 사각 블록 형상의 단자대블록과, 이 단자대블록의 상
면 중앙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릴레이와, 상기 단자대블록의 전방에 접속단자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접속단자부는
양극의 전기케이블을 접속하는 양극단자, 음극의 전기케이블을 연결하는 음극단자, 공통극의 전기케이블을 접속하는 공통
단자 및 릴레이 전기케이블을 연결하는 릴레이단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릴레이 단자대의 각 단자에는 볼트가 구비되어, 이 볼트에 의해 전기케이블의 단부를 해당 단자에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극단자, 음극단자, 공통극단자 및 릴레이단자의 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접속할 전
기케이블을 해당 단자에 정확히 접속해야 배선오류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오류를 피하기 위해, 전기적 특성이 다른
해당 단자의 볼트에 서로 다른 칼라를 갖는 페인트를 도장함으로써, 작업자가 양극단자, 음극단자, 공통극단자 및 릴레이
단자를 구분하여 해당 전기케이블을 접속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 릴레이 단자대의 경우, 볼트를 도장하는 페인트가 전도성을 갖는 입자들이 혼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비전도성의 페인트 성분이 함께 섞여 있기 때문에, 금속만큼 전도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통전성이 저하되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색깔을 정상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 예컨데, 색맹자 또는 색약자는 볼트의 색깔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선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선 오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
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등록특허 10-0658659
- 3 -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쉽게 구분하
여 배선할 수 있으면서도 배선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초보자는 물론, 색맹자나 색약자도 작업 오류 없이 전기케이
블을 제대로 배선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대블록(10)에 복수개의 릴레이(15)와 접속단자부(20)가 구비되며, 상
기 접속단자부(20)는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로 이루어진 릴레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30,40,50,6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는 각각 형상이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헤드
(32,42,52,62)의 형상이 다른 각 볼트(30,40,50,60)에 전기적 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자대용 접속단자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
는 릴레이 단자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릴레이 단자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릴레이 단자대의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
이단자(28)에 전기케이블을 접속하는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를 갖는다. 부호 15는 릴레이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릴레이 단자대의 접속단자부(20)에 대해 설명하면, 상측열 좌측 두 개의 단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양극단자(22)이고, 하측열 좌측 두 개의 단자는 음극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케이블이 접속되는 음극단
자(24)이고, 상측열 일곱번째 및 열여섯번째 단자 및 하측열 세번째와 열두번째 단자는 공통단자(26)이며, 나머지 단자는
릴레이단자(28)이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볼트(30,40,50,60)는 각각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에 체
결된다. 즉, 릴레이 단자대의 양극단자(22)에는 제1볼트(30), 음극단자(24)에는 제2볼트(40), 공통단자(26)와 릴레이단자
(28)에는 각각 제3볼트(50)와 제4볼트(6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는 각각 형상이 다르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볼트(30)의
헤드(32)는 접시머리형, 제2볼트(40)의 헤드(42)는 사각형, 제3볼트(50)의 헤드(52)는 육각형, 제4볼트(60)의 헤드(62)는
원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시머리형이라함은 헤드(32)의 상면은 평탄하고 헤드(32)의 하면은 중심부로 갈수록 축경되
게 경사진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헤드(32,42,52,62)의 형상이 다른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를 쉽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 오류 없이 전기적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용이하게 해당 단자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색맹자나 색약자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즉, 색깔을 제대로 구분할 수 없는 색약자나 색맹자라 하더라도,
헤드(32,42,52,62)의 형상이 다른 볼트(30,40,50,60)는 쉽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배선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
며, 이로 인해, 배선 오류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 볼트(30,40,50,60)에 색깔이 다른 페인트를 칠하여 전기케이블의 접속 부위에 저항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던 종래와 달리, 볼트(30,40,50,60)에 페인트를 칠하지 않아 전기케이블의 접속 부위에 저항이 많이 발생되지 않
으므로,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서로 다른 색깔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4
볼트(60)는 별도로 도금하지 않고 원래의 금속 색깔을 띤다. 즉,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는 동, 니켈, 크롬 도금 중에
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도금된다. 바람직하게, 제1볼트(30)는 동도금, 제2볼트(40)는 니켈도금, 제3볼트(50)는 크롬도
금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10-0658659
- 4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서로 다른 금속색깔을 띠는 각각의 볼트(30,40,50,60)를 구분하여 해당 단자에 해당 전기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또한, 제1 내지 제3볼트(30,40,50)가 금속으로 도금되
어, 볼트에 페인트를 칠하였던 종래와 달리, 전기케이블 접속 부위에 저항이 많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통전성이 저하되
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30), 제2볼트(40) 및 제3볼트(50)의 각각의 헤드(32,42,52) 상면에는 십
자형, 일자형, 일자십자 복합형 드라이버홈(34,44,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라이버홈(34,44,54)이 채택되어 형성된다. 바
람직하게, 제1볼트(30)의 헤드(32)에는 십자형 드라이버홈(34), 제2볼트(40)의 헤드(42)에는 일자형 드라이버홈(44), 제3
볼트(50)의 헤드(52)에는 일자십자 복합형 드라이버홈(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볼트(60)의 헤드(62)에는 어떠한 형태
의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여기에서는 일자십자 복합형 드라이버홈(64)을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드라이버홈(34,44,54)의 형상이 다른 제1 내지 제3볼트(30,40,50)를 쉽게 구분하여 해당 단자의 볼
트(30,40,50)에 전기적특성이 다른 전기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선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
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릴레이 단자대의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에 전
기케이블을 접속시키는 각 볼트(30,40,50,60)의 헤드(32,42,52,62)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각 볼트
(30,40,50,60)의 헤드(32,42,52,62) 형상에 따라 해당 전기케이블을 배선 오류 없이 쉽게 구분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배선 오류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색깔을 제대로 구분할 수 없는 색약자나 색맹
자라 하더라도, 볼트(30,40,50,60)를 쉽게 구분하여 해당 전기케이블을 해당 단자에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색약
자나 색맹자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단자(22), 음극단자(24), 공통단자(26) 및 릴레이단자(28)에 결합
되는 제1 내지 제4볼트(30,40,50,60) 중에서 적어도 제1 내지 제3볼트(30,40,50)가 서로 다른 색깔을 띠는 금속으로 도금
되도록 구성되어, 해당 단자를 쉽게 구분하여 전기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따른 효과는 볼트
(30,40,50,60)의 헤드(32,42,52,62) 형상을 다르게 형성한 경우와 동일 유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
(30,40,50,60)에 페인트를 칠하지 않아서, 전기케이블의 접속 부위에 저항이 많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릴레이 단자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릴레이 단자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자대블록 20. 접속단자부
30. 제1볼트 32,42,52,62. 헤드
40. 제2볼트 50. 제3볼트
60. 제4볼트
등록특허 10-0658659
- 5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658659
- 6 -
도면2
등록특허 10-0658659
- 7 -
도면3
등록특허 10-0658659
- 8 -
도면4
등록특허 10-0658659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