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BIT GUIDING DEVICE FOR CENTERING TAP HOL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19. 16:1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7년11월26일
(11) 등록번호 10-0779720
(24) 등록일자 2007년11월20일
(51) Int. Cl.

C21B 7/1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1-0084714
(22) 출원일자 2001년12월26일
심사청구일자 2006년12월21일
(65) 공개번호 10-2003-0054541
공개일자 2003년07월0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 20-2001-0001276 U
KR 10-2001-0019379 A
KR 20-0180996 Y
KR 10-2001-0027736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포스코
경북 포항시 남구 괴동동 1번지
(72) 발명자
하일환
경상북도포항시남구동촌동포항종합제철소내
(74) 대리인
홍성철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한욱
(54)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공기의 하커에 고정되는 센터아암과; 상기 센터
아암의 길이 양측에 고정되고 하향연장된 링크지지대와; 상기 링크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가이드와; 상기
요동자가이드에 끼워지고 이를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링크와; 상기 요동링크의 상단과 상기 링크지
지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작동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하커상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요동자가이드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요동링크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와; 상기 요
동자의 하단에 고정되고 출선구 면에 접촉되며 일발비트를 안내하는 유도홀을 가진 가이드팁과; 상기 링크지지대
의 하단측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하커상에 고정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선구 개공작업시 태핑로드바 선단의 일발비트가 출선구의 중심에 정확히 센터링되어 개공작
업이 수행되므로 출선구의 조기폐쇄를 방지하고 출선구의 폐쇄실패를 해소함으로써 노전 작업부하의 경감, 조업
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대표도 - 도4
- 1 -
등록특허 10-077972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개공기(1)의 하커(6)에 고정되는 센터아암(2)과;
상기 센터아암(2)의 길이 양측에 고정되고 하향연장된 링크지지대(11)와;
상기 링크지지대(11)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가이드(12)와;
상기 요동자가이드(12)에 끼워지고 이를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링크(9)와;
상기 요동링크(9)의 상단과 상기 링크지지대(1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작동지지대(8)가 회전가능
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하커(6)상에 고정된 유압실린더(10)와;
상기 요동자가이드(12)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요동링크(9)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16)와;
상기 요동자(16)의 하단에 고정되고 출선구(5) 면에 접촉되며 일발비트(4)를 안내하는 유도홀(14)을 가진 가이
드팁(13)과;
상기 링크지지대(11)의 하단측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하커(6)상에 고정된 복귀스프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용광로의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개공설비중 태핑로드바를 이용하여 출선구 중심조정시 태핑로드바<16>
의 휨이나 출선공의 굴곡, 일발비트의 밀착불량에 따라 출선구의 중심에서 벗어나 출선구 면이나 출선공의 특정
부위로 치우쳐 굴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용광로 내부의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선구(5) 개공설비인 개공기(1)는 피드(FEED)와 <17>
해머(HAMMER) 및 드릴이 부착되어 있어 개공작업시에는 태핑로드바(3)와 연결된 일발비트(4)가 해머의 충격과
드릴의 회전력 및 블로잉되는 질소와 물에 의해 냉각되면서 출선구(5)를 개공하게 된다.
이때, 출선구(5) 개공을 위해 사전에 출선구(5)의 중심을 조정하는 작업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중심 조정작업시 <18>
일발비트(4)가 출선구(5) 중심을 벗어난 상태로 출선구(5) 개공이 수행되게 되면 용광로 내부의 용융물을 배출
할 때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출선구(5)의 중심이 더욱 불량해지면서 용융물의 배출이 지속적이지 못하게 되어
출선구(5)를 조기에 폐쇄하여야 하는 단점이 유발된다.
이에 따라, 조업, 생산, 환경 등에 있어 비정상적인 부수적인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19>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출선구 <20>
개공을 위한 사전준비시 출선구 중심조정중 일발비트가 중심에서 벗어나 굴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선구 중심에
서 개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개공기의 하커에 고정되는 센터아암과; 상기 센터아암의 길이 양측에 고정되고 하향연<21>
장된 링크지지대와; 상기 링크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가이드와; 상기 요동자가이드에 끼워지고 이를 따
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링크와; 상기 요동링크의 상단과 상기 링크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작동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하커상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요동자
가이드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요동링크의 하단에 고정된 요동자와; 상기 요동자의 하단에 고정되고 출선구 면
에 접촉되며 일발비트를 안내하는 유도홀을 가진 가이드팁과; 상기 링크지지대의 하단측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 2 -
등록특허 10-0779720
하커상에 고정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중심조정 일발비트 유도장치를 제
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22>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23>
명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봉형상의 센터아암(2)이 개공기(1)의 선단 상부에 구비된 하커(HACKER)(6)에 볼트<24>
(7a,b)로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센터아암(2)의 길이 일부에는 한쌍의 링크지지대(11)가 하향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된 후 그 하단<25>
이 한 지점에서 만나 요동자가이드(12)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요동자가이드(12)는 그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절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은 일정직경을 갖고 천공<26>
형성되어 상기 절개형성된 부분과 연통된다.
상기 요동자가이드(12)에는 그 측면을 관통하여 가이드바 형태의 요동링크(9)가 연결되고, 상기 요동링크(9)의 <27>
상단은 작동지지대(8)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지지대(8)와 요동링크(9)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유압실린더(10)가
고정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0)는 상기 센터아암(2)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커(6)상에 설치 고정된다.<28>
한편, 상기 링크지지대(11)의 길이 배면 상부측에는 원통형상의 부재내에 내설된 복귀스프링(15)이 설치되어 탄<29>
지되고, 상기 복귀스프링(15)은 상기 센터아암(2)이나 유압실린더(10)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하커(6)상에 설치
고정된다.
요동가이드(12)의 하단에는 이를 관통하여 요동자(16)가 삽입되고, 요동자(16)의 상단은 상기 요동링크(9)의 가<30>
이드바 형상에 일체로 고정되며, 요동자(16)의 하단에는 가이드팁(13)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팁(13)은 출선구(5)에 맞대어져 일발비트(4)를 센터링하기 위한 유도홀(14)을 그 배면에 갖는다.<31>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32>
출선구(5) 개공작업을 위해 개공기(1)가 출선구(5)의 전방에서 선회되고 장착되면 유압실린더(10)를 전진작동시<33>
켜 요동링크(9)가 요동자가이드(12)에 의해 가이드팁(13)이 완전히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센터아암(2)과 링크지지대(11)에 의해 상기 가이드팁(13)이 출선구(5) 면에 밀착되게 된다.<34>
이어, 태핑로드바(3)의 선단에 장착된 일발비트(4)가 상기 가이드팁(13)의 유도홀(14)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함으<35>
로써 출선구(5)의 중심에서 개공기(1)의 해머 및 드릴을 구동시켜 굴착작업을 하게 된다.
굴착완료후 상기 유압실린더(10)를 후진하게 되면 복귀스프링(15)에 의해 링크지지대(11)가 후퇴되어 초기 위치<36>
로 복귀됨과 동시에 요동링크(9)도 연동되면서 가이드팁(13)도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출선구(5)의 중심 굴착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선구 개공작업시 태핑로드바 선단의 일발비트가 출선구<37>
의 중심에 정확히 센터링되어 개공작업이 수행되므로 출선구의 조기폐쇄를 방지하고 출선구의 폐쇄실패를 해소
함으로써 노전 작업부하의 경감, 조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출선구 중심조정 작업상태도,<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의 외관 사시도,<2>
도 3은 도 2의 정면도,<3>
도 4는 도 2의 측면도,<4>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5>
- 3 -
등록특허 10-0779720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도.<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1 : 개공기 2 : 센터아암<8>
3 : 태핑로드바 4 : 일발비트<9>
5 : 출선구 6 : 하커<10>
8 : 작동지지대 9 : 요동링크<11>
10 : 유압실린더 11 : 링크지지대<12>
12 : 요동자가이드 13 : 가이드팁<13>
14 : 유도홀 15 : 복귀스프링<14>
16 : 요동자<15>
도면
도면1
- 4 -
등록특허 10-0779720
도면2
- 5 -
등록특허 10-0779720
도면3
- 6 -
등록특허 10-0779720
도면4
- 7 -
등록특허 10-0779720
도면5
도면6
- 8 -
등록특허 10-0779720
도면7
- 9 -
등록특허 10-0779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