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SCREW MIXER OF LIQUID PAINT FOR TRAFFIC LAN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9월17일
(11) 등록번호 10-1183572
(24) 등록일자 2012년09월1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C 23/1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067821
(22) 출원일자 2012년06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6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259258 Y1
KR100578274 B1
KR101071461 B1
JP2001239190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이화정공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농공단지길 24-11
(72) 발명자
조성훈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13, 23동 1505호 (
압구정동, 미성아파트)
(74) 대리인
전준, 신용길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김원배
(54) 발명의 명칭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
(57) 요 약
본 발명은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로의 차선을 표시하기 위한 액상
도료의 각 물질을 배합하기 위해 2 이상의 물질을 혼합할 때 각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고르게 배합할 수
있고, 스크류 본체 내에 경화되어 잔존하는 도료를 완전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 하우징 내부의
중심부에 회전축(11)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11)에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10)와, 상기 회전축과 연
결된 구동축(21)을 구동시키는 구동원(20)과, 상기 스크류 본체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류 본체 내부로 액상 도료
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과, 상기 스크류 본체 타측에 연결되어 도로 상에 액상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회전축과 구동축, 스크류 본체와 주입관, 스크류 본체와 분사관이 각각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 날개는 순방향의 제 1 스크류 날개(12)와 역방향의 제 2 스크류 날개(13)가 교
번적으로 배열된 것이 특징인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가 제공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8357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원통형 하우징 내부의 중심부에 회전축(11)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11)에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
(10)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축(21)을 구동시키는 구동원(20)과, 상기 스크류 본체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
류 본체 내부로 액상 도료 및 경화제를 각각 주입하기 위한 제 1 주입관(31) 및 제 2 주입관(32)과, 상기 스크
류 본체 타측에 연결되어 도로 상에 액상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과 구동축(21), 스크류 본체와 각 주입관(31)(32), 스크류 본체(10)와 분사관(41)이 각각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 본체(10)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류 본체 내부로 용제를 주입하기 위한 용제주입관(51)이 더 연결되
되, 상기 스크류 본체와 용제주입관이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는 순방향의 제 1 스크류 날개(12)와 역방향의 제 2 스크류 날개(13)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회전축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2 이상 물질을 혼합할 때 각 물질[0001]
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고르게 배합 가능하고 내부에 잔존하는 도료를 완전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연결 배관이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동시에 회전축이 구동축과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배합기의 스크류
본체가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한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차량의 운행시 타 차량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을 유도하는 차선이 표시되어 있[0002]
으며, 그 외에도 방향 지시선,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표시 등 각종 도로용 표지물이 도색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게 합성수지를 이용한 도료로서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이액형 도료 또는 주제와 경화제, 촉진제 등으로
이루어진 삼액형 도료로 분리된다.
도로용 표지로서 예를 들어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150715호(특허문헌 1)에[0003]
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범위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분사노즐을 통해 실시간으로 분사하여 지면으로부
터 일정 높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지면에 차선이 도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 시간 분사를 멈추
더라도 도료의 굳음이 방지되도록 한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주제와 경화제를 별도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므로 도로 상에 도포된 배합물의 각 물질[0004]
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게 되어 일부분은 빠르게 경화되는 반면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경화속도가 느려서 결집
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430529호(특허문헌 2)에는 경화제를 첨가한 액상의 황색 또는 백색 아크릴수지[0005]
등록특허 10-1183572
- 2 -
를 주행하면서 차선표시의 폭넓이를 갖는 띠형태로 도로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아크릴 수지가 도로에
유착되기 전단계에서 원통형 드럼체의 표면에 침봉을 형성한 침봉드럼체로 흩트려 뿌려줌으로서 요철상으로 도
로상에 유착되게 하고, 후행하는 비드공급장치에 의해 경화전 요철상 수지표면에 비드를 뿌려 결착시키는 방법
으로 아크릴수지를 사용하여 차선표시 시공을 하기 위하여, 아크릴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1차용기와,
아크릴 수지를 사용량에 따라 1차용기로 부터 2차용기로 공급하기 위한 정량공급장치와, 2차용기의 바닥부에 장
방형으로 형성하여 아크릴 수지를 띠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고 원통형 회전 드럼
체 표면에 다수의 침봉이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되는 띠형의 아크릴 수지를 흩뿌려 도로에 유착되도록
하는 침봉드럼체와, 상기 침봉 드럼체 후위에 설치되어 도로에 유착된 아크릴수지 표면에 비드를 공급시키는 비
드공급장치로 이루어진 차선표시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아쉽게도 아크릴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1차용기 내에서 잔존하는 배합물이 경화된[0006]
경우 이를 세척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서 추후 2가지 물질을 정확한 비율로 배합하기 어려울 뿐 아니
라 혼합용 임펠러의 구동을 저해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150715호 등록특허공보 [0007]
(특허문헌 0002)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430529호 등록특허공보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로의 차선을 표시[0008]
하기 위한 액상 도료의 각 물질을 혼합하기 위해 2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할 때 각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서 고르게 배합할 수 있고, 스크류 본체 내에 경화되어 잔존하는 도료를 완전히 세척할 수 있게 하는 도로 표지
용 액상 도료 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 내부의 중심부에 회전축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에 스크[0009]
류 날개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스크류 본체 일측
에 연결되어 스크류 본체 내부로 액상 도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과, 상기 스크류 본체 타측에 연결되어 도로
상에 액상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회전축과 구동축, 스크류 본체와 주입관, 스크
류 본체와 분사관이 각각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 본체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류 본체 내부로 용제를 주입하기 위한[0010]
용제주입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본체와 용제주입관이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 날개가 순방향의 제 1 스크류 날개와 역방향의 제 2 스크류 날개[0011]
가 교번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이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2]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류 본체가 주입관 및 분사관과 탈부착 가능한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구동원의 구동[0013]
축과 스크류 본체의 회전축이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합기에서 스크류 본체만 분리할 수 있게 되
어 스크류 본체의 교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분리된 스크류 본체를 용제 내에 함침시키면 내부에 응고된 도료의
세척이 용이하면서도 완전히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 설치된 스크류 날개가 정방향 스크류 날개와 역방향 스크류 날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필요에[0014]
등록특허 10-1183572
- 3 -
따라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으므로 액상 도료의 각 조성물의 분산성을 증대시켜서 배합이 균일하
게 되어 도색된 도료의 경화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품질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주제와 경화제 주입관과 별도로 신나와 같은 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용제 전용 주입관이 마련되어 스크류[0015]
본체 내부로의 용제 주입이 용이하고 스크류 본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스크류 본체 내부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간이 세척에 유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도료 배합기의 구성도.[001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도료 배합기에서 스크류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도료 배합기의 사용상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압축 필터[0017]
링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
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도료 배합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0018]
도료 배합기에서 스크류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 도료 배합기는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도료에 사용되는 주제[0019]
와 경화제 촉진제 등을 배합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스크류 본체(10)와, 구동원(20)과 도료의 조성물 주입관
(31~33) 및 도료 분사관(41)으로 대별된다.
상기 스크류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내부 중심부에는 회전축(11)이 베어링[0020]
(미도시)을 매개로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1) 외면에는 도료를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원(20)은 전기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등일 수 있으며, 구동원(20)의 구동축(21)이 상기 회전축(11)과[0021]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주입관은 스크류 본체(10) 내부로 도료를 주입하기 위해 스크류 본체(10) 일측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액[0022]
상 도료의 주제를 주입하기 위한 제 1 주입관(31)과, 경화제를 주입하기 위한 제 2 주입관(32)과, 촉진제를 주
입하기 위한 제 3 주입관(3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주입관에는 각 물질을 저장하는 제 1 저장실 내지
제 3 저장실(31')(32')(33')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주입관 내지 제 3 주입관(31)(32)(33)은 도료의 종류와 도
색 용도 등 필요에 따라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관(41)은 스크류 본체(10) 내부의 도료를 도로 상에 분사하기 위해 스크류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0023]
며, 분사관(41) 일측에 노즐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액상 도료 배합기에서 상기 스크류 본체(10)를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0024]
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11)과 구동축(21)은 그들의 축방향 이동시 상호 분리되는 조인트(22) 요소 등의 수단에[0025]
의해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고, 주입관(31)(32)(33)은 통상의 관 이음요소인 주입관 커플러(30) 요소를 통
해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며, 또한 분사관(41) 역시 통상의 관 이음요소인 분사관 커플러(40) 요소를
통해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인트(22)나 커플링(30)(40)의 구조는 제한이 없고 공지된 축 연결수단이나 배관 연결수단에서 선택될 수[0026]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 예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스크로 본체(10) 일측에는 신나와 같은 용제를 스크류 본체(1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용제주입관[0027]
(51)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제 주입관(51)에도 용제주입관 커플러(50)가 설치되어 용제주입관(51)과
스크류 본체(10)를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한다.
등록특허 10-1183572
- 4 -
상기 용제는 스크류 본체(10)를 이용하여 도로 표지용 차선을 도색한 다음 스크류 본체 내에 응고되거나 잔류하[0028]
는 도료를 제거하여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관(31)(32)(33)과 분사관(41)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제주입관
(51)을 통해 용제를 주입한 다음 구동원(20)을 작동하여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내부 잔여 도료를 세척하며 이 경
우 용제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다.
하지만 위 세척 방법만으로는 스크류 본체(10) 내부의 완벽한 세척이 어려우므로 도 2와 같이 조인트(22)와 각[0029]
커플러(30)(40)를 분리하여 액상 도료 배합기에서 스크로 본체(10)를 분리한 다음 이를 용제가 저장되어 있는
용제 용기(미도시)에 함침하고 사용하지 않은 혹은 세척이 완료된 새로운 스크류 본체(10)를 배합기에 설치하여
조인트(22)와 각 커플러(30)(4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크류 날개가 순방향의 제 1 스크류 날개[0030]
(12)와 역방향의 제 2 스크류 날개(13)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며, 이에 관한 작용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 관
한 설명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도료 배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모터가 정회전과 역회전시 각[0031]
스크류 날개(12)(13)가 도료를 이송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11)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1)의 방향은 구동원(2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거나 구동원(20)과 회전축(11) 사이의 기어를 변속하는 등의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방식에는 제
한이 없다.
도 3과 같이 회전축(11)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정회전)하면 제 1 스크류 날개(12)는 액상 도료를 분사관(41)[0032]
설치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 3 스크류 날개(13)는 상기 제 1 스크류 날개(12)와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
에 도료를 분사관(4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 1 스크류 날개(12)와 제 2 스크류 날개(13) 사이에서 도료
가 충돌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료가 와류되면서 도료의 각 물질이 균일하게 분산, 혼합된다.
반대로 도 4와 같이 회전축(11)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하면 제 1 스크류 날개(12)는 액상 도료는 분사관[0033]
(4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 2 스크류(13)는 도료를 분사관(41) 설치 방향으로 밀어내어 도료의 각 물질
이 균일하게 분산, 혼합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0034]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
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
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스크류 본체 11... 회전축[0035]
12... 제 1 스크류 날개 13... 제 2 스크류 날개
20... 구동원 21... 구동축 22... 조인트
30... 주입관 커플러
31... 제 1 주입관 31'... 제 1 저장실
32... 제 2 주입관 32'... 제 2 저장실
33... 제 3 주입관 33'... 제 3 저장실
40... 분사관 커플러 41... 분사관
50... 용제주입관 커플러 51... 용제주입관 51'... 용제저장실
등록특허 10-1183572
- 5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183572
- 6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18357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