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using Smilax glabra)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4. 2. 20:24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2월18일
(11) 등록번호 10-1595559
(24) 등록일자 2016년02월1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23L 33/00 (2016.01) A23G 3/4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02013
(22) 출원일자 2014년08월08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08월0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773809 B1*
KR1020140075317 A*
KR1020140026716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김임남
강원도 강릉시 성덕로 316-22 ,101동802호(입암
동,이안강릉타운)
(72) 발명자
김임남
강원도 강릉시 성덕로 316-22 ,101동802호(입암
동,이안강릉타운)
(74) 대리인
안영길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김현주
(54) 발명의 명칭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h)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추
출액 5 ~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 반죽한 다음, 증자하는 단계와; (i) 증자된 떡 반죽
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데기를 만든 후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j)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서 20 ~ 25일간 발효하는 단계와; (k)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
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에서 2차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l) 유탕
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바른 후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토복령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고, 상기 토복령 혼합 추출액은, (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단된 토복령 40 ~ 55 중량부, 수영뿌리 분
말 3 ~ 5 중량부 및 쇠비름 2 ~ 5 중량부를 첨가하여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1차 여과하는
단계와; (나) 정제수 100 ~ 120 중량 및 오미자 분말 5 ~ 7 중량부를 첨가하여 다시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2차 여과하는 단계와; (다) 토종꿀 2 ~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80 ~ 120℃ 온도에서 5 ~ 8시
간 끓인 다음 3차 여과한 후, 20 ~ 25℃ 온도에서 15 ~ 20일간 숙성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구성됨으로써, 영양가 높고 미각 및 시각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전통한과를 대량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등록특허 10-1595559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h)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추출액 5 ~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 반죽한
다음, 증자하는 단계와;
(i) 증자된 떡 반죽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데기를 만든 후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j)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서 20 ~ 25일간 발효하는 단계와;
(k)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에서 2차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
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l) 유탕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바른 후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
어지되,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토복령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고,
상기 토복령 혼합 추출액은,
(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단된 토복령 40 ~ 55 중량부, 수영뿌리 분말 3 ~ 5 중량부 및 쇠비름 2 ~
5 중량부를 첨가하여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1차 여과하는 단계와;
(나) 정제수 100 ~ 120 중량 및 오미자 분말 5 ~ 7 중량부를 첨가하여 다시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
인 다음 2차 여과하는 단계와;
(다) 토종꿀 2 ~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80 ~ 120℃ 온도에서 5 ~ 8시간 끓인 다음 3차 여과한 후, 20 ~ 25℃
온도에서 15 ~ 20일간 숙성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의 찹쌀가루는 찹쌀을 13 ~ 17일간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건조시켜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
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
청구항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아로니아 추출액 20 ~ 35 중량부, 도라지 분말 12 ~ 15 중량부 및 녹차 분말 5 ~ 7 중
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
등록특허 10-1595559
- 2 -
청구항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느타리버섯 분말 2 ~ 3 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느타리버섯 분말의 입경은 5 ~ 15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과자를 한과(韓菓)라고 부르며, 유밀과의 한 가지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유밀과[0002]
외에도 정과, 다식, 숙실과, 과편, 엿강정 등의 우리나라의 전통과자를 말한다. 이러한 한과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곡류, 두류, 견과류, 꿀, 기름을 이용한 과자류를 만들어 왔으나 현재는 기능성
을 부가한 다양한 한과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1391호(등록일자: 2007. 7. 13., 발명의 명칭: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한과 및 그 제[0003]
조법)는 찹쌀가루 100중량부, 소주 1-5중량부, 고로쇠 수액 10-20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찐 것을 치대고 절단
하여 말린 후 기름
에 튀겨서 고로쇠 강정 바탕을 만들고, 물엿 100중량부와 고로쇠 농축액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고로쇠 집청을[0004]
만든 후, 상기의 고로쇠 강정 바탕에 고로쇠 집청을 바르고 고물을 묻혀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2236호(등록일자: 2012. 8. 1., 발명의 명칭: 복분자를 이용한 한과 반대기, 이[0005]
의 제조방법 및 한과)는 a) 증자된 찹쌀분말 100중량부에 콩물 2~10중량부, 복분자즙 5~20중량부, 유자분말
2~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펀칭하여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단계와; b) 상기 반죽물을 4~8mm의 두께로 고
르게 펴는 단계와; c) 상기 반죽물을 60~80℃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와; d) 상기 1차 건조된 반
죽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대기를 얻는 단계와; e) 상기 반대기를 60~80℃에서 40~60분간 2차 건조시키
는 단계와; f) 상기 2차 건조된 반대기를 밀봉상태에서 5~10일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의 복분자즙은 채취한 복분자를 으깬 후 복분자 건더기를 채로 받혀 얻은 복분자즙이고, 상기 a)단계의
유자분말은 유자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얻은 것이며, 상기 a)단계의 증자된 찹쌀분말은 찹쌀을 물에 불린 후
25℃에서 5~10일간 발효시키고 분쇄하여 얻은 찹쌀분말을 증자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복분자를 이용한
한과 반대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3809호(등록일자: 2007. 10. 31., 발명의 명칭: 백삼분말과 홍[0006]
삼추출액을 이용한 홍삼한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093호(등록일자: 2010. 9. 28., 발명의 명
칭: 뽕잎을 함유하는 한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4542호(등록일자: 2011 .11. 11., 발명의
명칭: 연을 이용한 삼색 한과의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8710호(등록일자: 2012. 5. 10., 발명의
명칭: 양파를 이용한 한과 반대기, 이의 제조방법 및 한과)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통적인 한과 제조방법에 단
순히 유효 성분 만을 배합한 것에 지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가 높고 약리 효과가 탁월한 토복령을 이용한[0007]
기능성 한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등록특허 10-1595559
- 3 -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추출액 5 ~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0008]
량부를 혼합하여 떡 반죽한 다음, 증자하는 단계와; (b) 증자된 떡 반죽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데기를 만든 후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c)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
서 20 ~ 25일간 발효하는 단계와; (d)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
에서 2차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e) 유탕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바른 후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e)단계의 즙청물은 토복령 추출
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을 이용한 기능성 한
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a)단계의 찹쌀가루는 찹쌀을 13 ~ 17일간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건조시켜 분쇄[0009]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추출액 5 ~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량[0010]
부를 혼합하여 떡 반죽한 다음, 증자하는 단계와; (i) 증자된 떡 반죽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
데기를 만든 후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j)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서
20 ~ 25일간 발효하는 단계와; (k)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에
서 2차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l) 유탕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바
른 후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토복령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고, 상기 토복령 혼합 추출액은, (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단된 토복령 40 ~ 55 중량부, 수영뿌리 분말 3 ~ 5 중량부 및 쇠비름 2 ~ 5 중
량부를 첨가하여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1차 여과하는 단계와; (나) 정제수 100 ~ 120 중량
및 오미자 분말 5 ~ 7 중량부를 첨가하여 다시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2차 여과하는
단계와; (다) 토종꿀 2 ~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80 ~ 120℃ 온도에서 5 ~ 8시간 끓인 다음 3차 여과한 후,
20 ~ 25℃ 온도에서 15 ~ 20일간 숙성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을 이용한 기
능성 한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h)단계의 찹쌀가루는 찹쌀을 13 ~ 17일간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건조시켜 분쇄[0011]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아로니아 추출액 20 ~ 35 중량부, 도라지 분말 12 ~ 15 중량[0012]
부 및 녹차 분말 5 ~ 7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l)단계의 즙청물은 느타리버섯 분말 2 ~ 3 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느타리[0013]
버섯 분말의 입경은 5 ~ 15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영양가 높고 미각 및 시각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전통한과를 대량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0014]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0015]
(가) 토복령 혼합 추출액 만들기[0016]
본 실시예의 토복령은 망개나무 뿌리를 의미한다(한의학).[0017]
등록특허 10-1595559
- 4 -
1. 먼저, 건조된 토복령을 3 ~ 5mm 두께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된 토복령 표면에 묻어있는 톱밥 또는 먼지는[0018]
털어내거나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절단된 토복령 40 ~ 55 중량부, 수영뿌리 분말 3 ~ 5 중량부 및 쇠비름 2 ~ 5[0019]
중량부를 첨가하여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간 끓인 다음 1차 여과한다.
3. 이후, 정제수 100 ~ 120 중량 및 오미자 분말 5 ~ 7 중량부를 첨가하여 다시 55 ~ 85℃ 온도에서 12 ~ 16시[0020]
간 끓인 다음 2차 여과한다.
4. 그런 다음, 토종꿀 2 ~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80 ~ 120℃ 온도에서 5 ~ 8시간 끓인 다음 3차 여과한 후,[0021]
20 ~ 25℃ 온도에서 15 ~ 20일간 숙성하여 제조한다.
(나) 즙청물 준비하기 (토복령 혼합 추출액 활용)[0022]
토복령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즙청물(조청을 녹인 것)을[0023]
준비한다.
여기서, 아로니아 추출액 20 ~ 35 중량부, 도라지 분말 12 ~ 15 중량부 및 녹차 분말 5 ~ 7 중량부를 더 첨가할[0024]
수 있다. 아로니아 추출액, 도라지 분말 및 녹차 분말은 영양 성분을 추가함은 물론 아름다운 색상을 발현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또한, 느타리버섯 분말 2 ~ 3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느타리버섯 분말은 식감(씹히는 정도)을 좋게 하기[0025]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특히, 느타리버섯 분말은 5 ~ 15 메쉬(mesh)의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한과 제조하기[0026]
실시예 1.[0027]
1. 찹쌀을 13 ~ 17일간 침지하여 발효시킨다.[0028]
2. 발효된 찹쌀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찹쌀가루를 만든다.[0029]
3. 이렇게 만들어진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추출액 5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량부를 혼합[0030]
하여 떡 반죽한 다음, 1 ~ 2시간 증자한다.
4. 증자된 떡반죽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데기를 만든다.[0031]
5. 반데기를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한다.[0032]
6.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서 20 ~ 25일간 발효한다.[0033]
7.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에서 2차 유탕하여 겉표면이 노릇하[0034]
게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면의 기름을 제거한다.
8. 유탕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발라 즙청한다.[0035]
여기서, 즙청물은 토복령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18,000 ~ 21,0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0036]
9. 마지막으로, 즙청된 반데기에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한다.[0037]
실시예 2.[0038]
1. 찹쌀을 13 ~ 17일간 침지하여 발효시킨다.[0039]
2. 발효된 찹쌀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찹쌀가루를 만든다.[0040]
3. 이렇게 만들어진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복령 혼합 추출액 5 ~10 중량부 및 소주 0.5 ~ 3 중량부를[0041]
혼합하여 떡 반죽한 다음, 1 ~ 2시간 증자한다.
4. 증자된 떡반죽을 유과의 크기에 맞게 성형 절단하여 반데기를 만든다.[0042]
등록특허 10-1595559
- 5 -
5. 반데기를 45 ~ 65℃ 온도에서 30 ~ 50분 동안 건조한다.[0043]
6. 건조된 반데기를 20 ~ 25℃ 온도에서 20 ~ 25일간 발효한다.[0044]
7. 발효된 반데기를 100 ~ 120℃ 온도에서 1차 유탕한 후, 160 ~ 180℃ 온도에서 2차 유탕하여 겉표면이 노릇하[0045]
게 유탕한 다음 건져내어 표면의 기름을 제거한다.
8. 유탕된 반데기의 표면에 준비된 즙청물을 발라 즙청한다.[0046]
여기서, 즙청물은 토복령 혼합 추출액은 활용한 것을 이용한다.[0047]
9. 마지막으로, 즙청된 반데기에 튀밥을 묻혀내어 유과를 완성한 후 포장한다.[0048]
(라) 관능 시험하기[0049]
통상적인 한과(대조구)와 본 발명의 기능성 한과(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관능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0050]
다.
여기서, 실험 대상자는 30대에서 50대까지 남녀 구별없이 10명씩 선정하여 시각, 미각(식감)에 따른 테스트를 5[0051]
점 만점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선정된 사람들은 만성질환이 없고 한과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사람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테스트 방법은 통상적인 한과(대조구)를 식용한 후, 5분 간격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한과를 연이어[0052]
식용한 다음 시각, 미각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표 1
[0053]
표 1을 참조하면, 시각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대조구, 실시예 1 및 2 구별없이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다.[0054]
그러나, 미각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및 2는 대조구에 비하여 0.5 ~ 0.8점을 더 획득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미각
(식감)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 토복령의 효능[0055]
토복령은 망개나무 뿌리를 말린것을 한의학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무독하며 특히 수은, 납, 니켈, 카드늄 등 중[0056]
금속 해독이 우수하다고 동의보감에 기재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595559
- 6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0057]
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등록특허 10-1595559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