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접점 터미널(Multi contacts termina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5월16일
(11) 등록번호 10-1146496
(24) 등록일자 2012년05월0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R 13/11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91596
(22) 출원일자 2010년09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9월17일
(65) 공개번호 10-2012-0029661
(43) 공개일자 2012년03월2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2075543 A
JP2007012366 A
(73) 특허권자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38 (송도동)
(72) 발명자
모정혁
인천광역시 동구 재능로 191, 103동 1301호 (송림
동, 동산휴먼시아)
(74) 대리인
특허법인남촌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심사관 : 이민형
(54) 발명의 명칭 다접점 터미널
(57) 요 약
본 발명은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양단
의 제1 및 제2 연결부(10,12)가 다수개의 연결브릿지(20)에 의해 연결되고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연결부(10,12)는 각각 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20)는 다접점 터미널의
내부를 향해 정점이 돌출된 아치형상이다. 상기 연결브릿지(20)는 정점의 위치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
지(21,22,23)로 분류되는데, 이들 연결브릿지(21,22,23)는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릿
지(21,22,23)중에서 정점부(22')가 그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제2연결브릿지(22)는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
3)보다 갯수가 하나 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터미널(30)과의 결합과 분리시에 결합력과
분리력이 최소화되고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4649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
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는 각각의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2개 이상
의 위치에 해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부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는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3
군데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들 서로 다른 위치에 정점부가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배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다른 연결브릿지들 중에서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과 각각
접촉하는 정점부를 가지는 각각의 연결브릿지의 갯수는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
에 정점부가 접촉하는 연결브릿지의 갯수보다 하나 더 많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터미널.
청구항 7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
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며 순차적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등록특허 10-1146496
- 2 -
상기 제1연결브릿지는 그 제1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그 제2
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브릿지는 그 제3정점부가 상기
제2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보다 갯수가 하나 적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청구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접촉점을 몇 개의[0001]
군으로 나누어 배치한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0002]
어 사용된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대 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된 것들이 있다. 서로 결합되는 터미널은 각각 리셉터클 터미널(암터
미널)과 탭터미널(수터미널)로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터미널은 일종의 암터미널로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봉형상의 수터미널이[0003]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터미널을 다접점 터미널이라고 하는데, 링형상의 선단연결부와 후단연결부 사이를
다수개 연결브릿지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릿지는 일반적으로 그 중간부분이 터미널의 내부쪽
으로 돌출되어 정점으로 되는 아치형상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접점 터미널의 예가 미국 특허
6,837,7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접점 터미널에서는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분이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접촉을[0004]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접점은 상기 상대 터미널을 길이방향으로 볼
때, 특정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따라서, 다접점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분은 동시에 상대 터미널의 외면[0005]
에 접촉하게 되어 터미널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 방향의 특정 위치를 둘러서 형성되[0006]
므로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결합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 사이의 결
합상태가 불안하게 되면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터미널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등록특허 10-1146496
- 3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접점 터미널과 상[0007]
대 터미널과의 접촉위치를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군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0008]
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
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
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는 각
각의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정점부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0009]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는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3군데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들 서[0010]
로 다른 위치에 정점부가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다른 연결브릿지들 중에서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과 각각 접촉하는 정점부를[0011]
가지는 각각의 연결브릿지의 갯수는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정점부가 접촉하
는 연결브릿지의 갯수보다 하나 더 많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0012]
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며
순차적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릿지는 그 제1정
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그 제2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브릿지는 그 제3정점부가 상기 제2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
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0013]
보다 갯수가 하나 적다.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0014]
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0015]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가 그 정점의 위치가 인접하는 연결브릿지 사이에[0016]
서 서로 다르도록 하고 이들 정점의 위치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군으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과
본 발명의 터미널이 결합함에 있어서 연결브릿지와 상대 터미널의 외면의 접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력과 분리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릿지의 정점이 접촉되는 상대 터미널의 외면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0017]
로 몇 군데로 나누어지므로 본 발명의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 위치가 적어도 2군데 이상으로 되어 터미
널 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0018]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단면도로 보인 단면사시도.
등록특허 10-1146496
- 4 -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0019]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다접점 터미널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0020]
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다접점 터미널의 양단에는 각각 링형상의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
(12)가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0,12)를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연결브릿지(20)가 구비된다. 상기 연
결브릿지(20)는 그 정점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연결브릿지(20)를 향해 돌출되게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
기 연결브릿지(20)의 정점부는 다접점 터미널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릿지(20) 사이에는 분리슬릿(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슬릿(20')을 형성함에 의해 각[0021]
각의 연결브릿지(20)가 만들어지고 상기 연결브릿지(20)를 아치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그 정점부가 상대 터미
널(30)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금속판에서 분리슬릿(20')에 해당되는 부분을 따내고, 각각의 연결브릿지(20)가 나[0022]
란히 위치되게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0,12)는 각각 양단부가 서
로 결합되지 않고 소정 거리 떨어져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부(10,12)가 일
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연결부(10,12)가 서로 결합되어 완전한 링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브릿지(20)는 그 형상에 따라 3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즉, 제1, 제2 및 제3 연결[0023]
브릿지(21,22,23)이다. 이들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는 아치형상이 조금씩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제2 및 제3 정점부(21',22',23')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브릿지(21)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점부(21')의 위치가 제1연결부(10)에 인[0024]
접하여 위치하고, 제3연결브릿지(23)는 제3정점부(23')가 제2연결부(12)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제2연결
브릿지(22)는 그 정점부(22')가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점부(21',22',23')가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에서 달리 형성됨에 의해 상대 터미널(30)과 연[0025]
결브릿지(20)가 서로 접촉되는 위치가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3군데의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예를 들
어 제1연결부(10)가 다접점 터미널의 선단이라면, 제1정점부(21') 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상대적으로 내
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촉되고, 제3정점부(23')들은 상대 터미널(30)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
촉되고, 제2정점부(22')는 상기 제1정점부(21')와 제3정점부(23')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위치의 중간
부분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연결브릿지(21)가 총 8개가 구비되는데, 대략 45도 간[0026]
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브릿지(21)에서 12도 정도를 회전한 위치에 각각 제2연결브릿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브릿지(22)는 본 실시예에서 7개만이 형성된다. 이는 다접점 터미널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2연결브릿지(22)의 갯수를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 각각 보다
1개씩 적게 하는 것은 상대 터미널(30)과의 접촉 위치가 3군데 중 중간부분의 것이 삭제되도록 하여 상대 터미
널(30)과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3연결브릿지(23)는 제2연결브릿지(23)와 제1연결브릿지(21)에서 각각 대략 12도 회전된 위치[0027]
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연결브릿지(23)도 상기 제1연결브릿지(21)와 같이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2,3 연결브릿지(21,22,23)들의 갯수는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폭이나 분리슬릿(20')의[0028]
폭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0029]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커넥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 터미널[0030]
(30)이 내부에 삽입됨에 의해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가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1,22,23)는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밀착된다.
등록특허 10-1146496
- 5 -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가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밀착되어[0031]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씩 떨어진 위치를 둘러 접촉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30)이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 내부로 삽입될 때, 모든 연결브릿지(21,22,23)가 동시에[0032]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지 않고, 전체 연결브릿지(21,22,23)의 1/3인 제1연결브릿지(21)의 제1정점부(21')만
이 먼저 접촉하고, 다음으로, 제2 정점부(22')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정점부(23')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 터미널(30)과 연결브릿지(21,22,23)의 접촉이 일부씩 차례로 일어남에 의해 다접점 터미널과 상[0033]
대 터미널(3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력 또는 분리되는 분리력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릿지(21,22,23)들이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접촉되는 위치가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0034]
을 따라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따라 설명하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
으로 각각 소정 거리 떨어진 3군데의 위치를 둘러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들이 상대 터미
널(3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한 위치를 둘러 접촉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대 터미널(30)과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된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체 연결브릿지(21,22,23)의 간격 및 갯수를 맞추기 위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0035]
부(12)를 각각 링형상으로 하면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서 제2연결브릿지(22)를 제1 및 제
3 연결브릿지(21,23)보다 한 개 적은 갯수로 했다. 이는 제2 연결브릿지(22)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부
분인 제2정점부(22')가 제2연결브릿지(22)의 중간부분이어서 이다. 즉, 만약, 제1 이나 제3 연결브릿지(21,23)
가 삭제되었다면, 상대 터미널(30)과의 접촉상태가 편심될 수도 있으나,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를 남겨
두고 제2연결브릿지(22)를 제거함에 의해 상대 터미널(30)에 대해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이 편심되는 것을 방
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0036]
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
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연결브릿지(20)의 종류가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의 2개가 있거나 연결[0037]
브릿지(20)의 종류가 4개 이상이 있을 수 있다. 4개 이상의 연결브릿지(20)가 있는 경우, 각각의 정점부의 위치
가 달리 되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총 4군데 이상의 위치를 둘러 연결브릿지(20)의 정점부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4개 이상의 종류의 연결브릿지(20)가 있는 경우에 제1 및 제2 연결부(10,12)가 각각 분리된 링형상으[0038]
로 할 경우에는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부분이 양단에 해당되는 연결브릿지(20)가 아닌 내측에 해당되는
연결브릿지(20)들 중에서 하나 또는 모두를 삭제하면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브릿지(20)의 연장방향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되도록 하였[0039]
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연결브릿지(20)들 각각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기는 하나, 상기 상
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10: 제1연결부 12: 제2연결부[0040]
20: 연결브릿지 20': 분리슬릿
21: 제1연결브릿지 21': 제1정점부
22: 제2연결브릿지 22': 제2정점부
23: 제3연결브릿지 23': 제3정점부
등록특허 10-1146496
- 6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146496
- 7 -
도면3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146496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