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Relay nod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rom base station)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3월09일
(11) 등록번호 10-1714439
(24) 등록일자 2017년03월0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B 7/1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105952
(22) 출원일자 2010년10월28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10월28일
(65) 공개번호 10-2011-0046371
(43) 공개일자 2011년05월04일
(30) 우선권주장
61/255,492 2009년10월28일 미국(US)
61/324,313 2010년04월15일 미국(US)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9010755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여의도동)
(72) 발명자
박규진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81번길 77, LG제1
연구단지 (호계동)
정재훈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81번길 77, LG제1
연구단지 (호계동)
문성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81번길 77, LG제1
연구단지 (호계동)
(74) 대리인
방해철, 김용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8 항 심사관 : 신상길
(54) 발명의 명칭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
(57) 요 약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장치는 기지
국으로부터 중계기를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한 R-PDCCH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기를 위한 하나 이상의 R-PDCCH를 검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R-PDCCH가
할당된 영역의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backhaul subframe)에서 첫 번째 슬롯의 네 번째 심볼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714439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채널을 제 1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페어(pair)에서 2개의 슬롯 중 첫 번째 슬롯에서만 수신하는 단
계; 및
상기 제 1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
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 채널은 상기 첫 번째 슬롯의 심볼 인덱스 3, 4, 5 및 6에 해당하는 심볼들 상에서 수신되는, 신
호 수신 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 PRB 페어의 첫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인, 신호 수신 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할당(uplink assignment)을 포함하는 제 2 제어 채널을 상기 기지
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인, 신호 수신 방법.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채널을 제 1 물리자원블록
(Physical Resource Block, PRB) 페어(pair)에서 2개의 슬롯 중 첫 번째 슬롯에서만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
는 단계; 및
상기 제 1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
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 채널은 상기 첫 번째 슬롯의 심볼 인덱스 3, 4, 5 및 6에 해당하는 심볼들 상에서 전송되는, 신
호 전송 방법.
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1714439
- 2 -
제 2 PRB 페어의 첫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인, 신호 전송 방법.
청구항 7
제 5항에 있어서,
제 2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향링크 할당(uplink assignment)을 포함하는 제 2 제어 채널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인, 신호 전송 방법.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채널을 제 1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페어(pair)에서 2개의 슬롯 중
첫 번째 슬롯에서만 수신하고 상기 제 1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
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을 상기 첫 번째 슬롯의 심볼 인덱스 3, 4, 5 및 6에 해당
하는 심볼들 상에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청구항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을 포함
하는 제 1 제어 채널을 제 1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페어(pair)에서 2개의 슬롯 중 첫
번째 슬롯에서만 전송하고 상기 제 1 P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채널
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PRB 페어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통신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구성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제어 채널을 상기 첫 번째 슬롯의 심볼 인덱스 3, 4, 5 및 6에 해당
하는 심볼들 상에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청구항 11
삭제
청구항 12
삭제
청구항 13
등록특허 10-1714439
- 3 -
삭제
청구항 14
삭제
청구항 15
삭제
청구항 16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0001]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에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중계기(Relay Node, RN)를 설치하여 채널[0002]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
지역에서 중계기를 도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고,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도입된 기술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의 중계 방식이 단순히 신호를 증폭해서 전송하는 리피터(Repeater)의 기능에 국한된 것에 비해, 최근에는[0003]
보다 지능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중계기 기술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증설 비용
과 백홀망의 유지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와 데이터 처리율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
술에 해당한다. 중계기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중계기를 새로운 무
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3GPP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0004]
터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계기 및 기지국 간
의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가 없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0005]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를 제공하는[0006]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0007]
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0008]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를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R-PDCCH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
를 위한 하나 이상의 R-PDCCH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R-PDCCH가 할당된 영역의 하향링크
등록특허 10-1714439
- 4 -
백홀 서브프레임(backhaul subframe)에서 첫 번째 슬롯의 네 번째 심볼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
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0009]
의 네 번째 심볼에서부터 일곱 번째 심볼에 걸쳐서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
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두 번[0010]
째 슬롯 구간에서 R-PUSCH(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
트(U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하
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 할당된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 구간에서 R-PUSCH(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PDCCH가 할당된 영역은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0011]
상기 R-PDCCH 할당 영역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0012]
될 수 있고, 상기 R-PDCCH 할당 영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0013]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를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한 R-PDCCH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를 위한 하나 이상의 R-PDCCH를 검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R-PDCCH가 할당된 영역의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backhaul subframe)에서 첫 번째 슬롯의 네 번째 심볼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상기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의 네 번째 심[0014]
볼에서부터 일곱 번째 심볼에 걸쳐서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당 정보 및 전
송 포맷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상기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 구간에[0015]
서 R-PUSCH(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R-PDCCH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상기 중계기는 상기 하향링크 백홀 서
브프레임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 할당된 하향링크 백홀 서브프레
임의 두 번째 슬롯 구간에서 R-PUSCH(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PDCCH가 할당된 영역은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0016]
상기 R-PDCCH 할당 영역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0017]
될 수 있고, 상기 R-PDCCH 할당 영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제어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 성능을[0018]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기는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R-PDCCH가 할당된 위치, 시작점, 끝점, 다중[0019]
화 형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 및 중계기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구조에 대해 시그널링 등을[0020]
통해 알게 되어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0021]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록특허 10-1714439
- 5 -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0022]
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 및 릴레이 액세스 링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기지국(205) 및 중계기(2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 격자 구조(resource grid structure)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특정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R-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방안의 일 예를 나타
낸 도면,
도 6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특정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R-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방안의 일 예를 나타
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특정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R-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방안의 다른 예를 나
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0023]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
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
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
로 설명하나, 3GPP LTE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0024]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0025]
MS),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중계기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 RS), 릴레
이 등으로 호칭 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0026]
할 수 있으며, 단말, 중게기는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중계기가 전송 또
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정보가 있으며, 단말, 중계기가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 및 릴레이 액세스 링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0027]
3GPP LTE-A(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에서 중계기에 기지국[0028]
과 단말 간의 링크 연결을 포워딩하는 역할을 도입하면서 각각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 대역에
속성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링크가 적용되게 된다. 기지국과 중계기의 링크 간에 설정되는 연결 링크 부분을
백홀 링크(backhaul link)라고 정의하여 표현한다. 하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혹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백홀 하향링크(backhaul downlink)라고 하
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FDD 또는 TDD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백홀 상향링크라고 표현할 수 있
다.
반면, 중계기와 단말들 간에 설정되는 연결 링크 부분을 릴레이 액세스 링크(relay access link)로서 정의하여[0029]
표현한다. 릴레이 액세스 링크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FDD의 경우)이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TDD의 경우) 자원
을 이용하여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액세스 하향링크(access downlink)로 표현하고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FDD
등록특허 10-1714439
- 6 -
의 경우)이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TDD의 경우)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액세스 상향링크
(access uplink)로 표현할 수 있다.
중계기(RN)는 릴레이 백홀 하향링크(relay backhaul downlink)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0030]
릴레이 백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릴레이 액세스 하향링크를 통
해 단말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릴레이 액세스 상향링크를 통해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는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0031]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는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릴레이 백홀 하향링크 참조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릴레이 백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중계기는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또는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여 좀더 구체
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중계기는 기지국에 임의 접속 과정[0032]
(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기는 물리 임의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등을 통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R-PDCCH 및 이에 대응하는 R-PDSCH을 통해 상기 임의
접속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Handover)의 경우를 제외한 경쟁 기반 임의접속의 경우 그 후 추가적인 물리 임의접속 채널의 전송 및[0033]
R-PDCCH/R-PDSCH 수신과 같은 충돌해결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중계기는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R-PDCCH/R-PDSCH 및[0034]
릴레이-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R-PUSCH: 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릴레이-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R-PUCCH: Relay-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기지국이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정보에는[0035]
ACK/NACK 신호, 채널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의 경우, 중계기는 상술한 CQI, PMI, RI 등의 제어정보를 R-
PUSCH/R-PUCC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기지국(205) 및 중계기(2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0036]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205)과 하나의 중계기(210)를 도시하였지만,[0037]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5), 심볼 변조기(220), 송신기(225), 송수신 안테[0038]
나(230), 프로세서(280), 메모리(285), 수신기(290), 심볼 복조기(2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210)는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65), 심볼 변조기(270), 송신기(275), 송수신 안테
나(235), 프로세서(255), 메모리(260), 수신기(240), 심볼 복조기(2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30, 235)가 각각 기지국(205) 및 중계기(2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205) 및
중계기(210)는 복수 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05) 및 중계기(21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0039]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
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2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2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 (2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0040]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널(null)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
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또
는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심볼일 수 있다.
등록특허 10-1714439
- 7 -
송신기(2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또한, 이 아날로그[0041]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하여, 무선 채널
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하향링크 신호는 안테나(230)를 통해 중계기로 전
송된다.
중계기(210)의 구성에서, 안테나(2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0042]
(240)로 제공한다. 수신기(2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
(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2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2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245)는 프로세서(2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0043]
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
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2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 (2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 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
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2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205)에서의 심볼 변조기(220) 및[0044]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중계기(210)는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0045]
공한다. 심볼 변조기(2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
기(2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2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상향링크 신호는 안테나(235)를 통해 기지국(205)으로 전송된다.
기지국(205)에서, 중계기(2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안테나(230)를 통해 를 수신되고, 수신기(290)는 수신한[0046]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2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97)는 데이터 심볼 추정
치를 처리하여, 중계기(2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중계기(210) 및 기지국(205) 각각의 프로세서(255, 280)는 각각 중계기(210) 및 기지국(205)에서의 동작을 지시[0047]
(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255, 2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260, 2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60, 285)는 프로세서(2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55, 28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0048]
(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55, 280)는 하
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255, 280)에 구비
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0049]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255, 2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260, 2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255, 2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0050]
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
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
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중계기,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
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도 3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0051]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0052]
등록특허 10-1714439
- 8 -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
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
-8
(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 또는 SC-[0053]
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
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
에 포함되는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0054]
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서브프[0055]
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볼들이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3GPP LTE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0056]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
는 OFDM 심볼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단말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 등을 가리킨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
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이제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DCCH에 대해 기술한다. [0057]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PD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이를 DL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 정보[0058]
(이를 UL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단말, 그룹 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으로 구성된다.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의 집합으로 구성된 PDCCH는 서브블
록 인터리빙(subblock interleaving)을 거친 후에 제어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
(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
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다음 표[0059]
1은 DCI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
등록특허 10-1714439
- 9 -
표 1
[0060]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 포맷 1~2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0061]
포맷 3, 3A는 임의의 단말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가리킨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PDCCH를 전송을 위해 자원을 매핑하는 방안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0062]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PDCCH를 통하여 스케줄링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리 제어 채널[0063]
은 하나의 집합(aggregation) 또는 복수 개의 연속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CCE는 9개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들을 포함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hannel) 또는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에 할당되지 않은 RBG의 개수는 NREG이다.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CCE는 0부터 NCCE-1 까지 이다(여기서
이다). PDCCH는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 포맷을 지원한다. n개의 연속 CCE들로
구성된 하나의 PDCCH는 i mod n =0을 수행하는 CCE부터 시작한다(여기서 i는 CCE 번호이다). 다중 PDCCH들은 하
나의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될 수 있다.
표 2
[0064]
표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어정보 등을 몇 개의 영역으로 보낼 지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단[0065]
말은 CCE 단위로 제어정보 등을 읽어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계기도 R-CCE 단위로 제어정보
등록특허 10-1714439
- 10 -
등을 읽을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전송하기 위해 R-CCE(Relay-Control
Channel Element) 단위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매핑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0066]
다.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할당된다. 데이터 영
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단말은 PUCCH 및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을 위한 PUCCH는 하나
의 서브프레임에서 RB 페어로 할당된다. RB 페어에 속하는 RB들은 각 2개의 슬롯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
지하고 있다. PUCCH에 할당된 RB 페어는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호핑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 격자 구조(resource grid structure)를 나타낸 도면[0067]
이다.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는 ×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개의[0068]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resource grid) 구조로 이용한
다. 여기서, 은 하향링크에서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개수를 나타내고,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
낸다. 의 크기는 셀 내에서 구성된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라 달라지며 ≤ ≤ 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가장 작은 하향링크 대역폭이며
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가장 큰 하향링크 대역폭이다. =6이고 =11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슬롯 내에 포함된 OFDM 심볼의 개수는 순환 전치(CP: Cyclic
Prefix)의 길이 및 부반송파의 간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중안테나 전송의 경우에, 하나의 안테나 포트 당
하나의 자원 격자가 정의될 수 있다.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한 자원 격자 내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라고 불리우며, 슬롯 내의[0069]
인덱스 쌍 (k,l)에 의해 유일하게 식별된다. 여기서, k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인덱스이고, l는 시간 영역에서의
인덱스이며 k는 0,..., -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고, l는 0,..., -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자원 블록은 어떤 물리 채널과 자원 요소들 간의 매핑(mapping)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0070]
RB는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과 가상 자원 블록(VRB: Virtual Resource Block)으로 나
눌 수 있다. 상기 하나의 PRB는 시간 영역의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의 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여기서 과 는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과
는 다음 표 1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PRB는 × 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
된다. 하나의 PRB는 시간 영역에서는 하나의 슬롯에 대응되고 주파수 영역에서는 180kHz에 대응될 수 있지만 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10-1714439
- 11 -
표 3
[0071]
PRB는 주파수 영역에서 0에서 -1 까지의 값을 갖는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PRB 넘버(number) nPRB와 하나[0072]
의 슬롯 내에서의 자원 요소 (k,l) 사이의 관계는 를 만족한다.
상기 VRB의 크기는 PRB의 크기와 같다. VRB는 로컬형 VRB(Localized VRB, LVRB)와 분산형 VRB(Distributed[0073]
VRB, DVRB)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다. 각 타입의 VRB에 대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두 개의 슬롯에 있는 한
쌍의 VRB는 단일 VRB 넘버 nVRB가 함께 할당된다.
상기 VRB은 PRB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두 가지 타입의 VRB이 정의되는데, 첫째 타입은 로컬형[0074]
VRB(Localized VRB, LVRB)이고, 둘째 타입은 분산형 VRB(Distributed VRB, DVRB)이다. 각 타입의 VRB에 대해,
한 쌍(pair)의 VRB이 단일의 VRB 인덱스 (이하, VRB 넘버(number)로 지칭될 수도 있다)를 가지고 1개의 서브프
레임의 2개의 슬롯에 걸쳐 할당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제 1 슬롯에
속하는 개의 VRB들은 각각 0부터 -1 중 어느 하나의 인덱스 (Index)를 할당받고, 위의 2개의 슬롯
중 제 2 슬롯에 속하는 개의 VRB들도 마찬가지로 각각 0부터 -1 중 어느 하나의 인덱스를 할당받
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 내지 도 5에 기재된 무선 프레임 구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0075]
하향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 격자 구조 등은 기지국과 중계기 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PDCCH를 내려보내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0076]
내려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특정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 식별자, 특정 중계기
를 위한 R-PDCCH라면 중계기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
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위한 PDCCH, R-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 중계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
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다음 표 4는 PDCCH 및/또는 R-
PDCCH에 마스킹되는 식별자들의 예를 나타낸다.
등록특허 10-1714439
- 12 -
표 4
[0077]
C-RNTI가 사용되면 PDCCH, R-PDCCH는 각각 해당하는 특정 단말, 특정 중계기를 위한 제어정보를 나르고, 다른[0078]
RNTI가 사용되면 PDCCH, R-PDCCH는 각각 셀 내 모든 또는 복수의 단말, 중계기가 수신하는 공용 제어정보를 나
른다. 기지국은 CRC가 부가된 DCI에 대해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한다. 그리
고, 기지국은 PDCCH, R-PDCCH 포맷에 할당된 CCE의 수에 따른 레이트 매칭(rate mathching)을 수행한다. 그
후, 기지국은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변조 심볼들을 물리적인
자원 요소에 맵핑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기지국에서 중계기로 릴레이 전송[0079]
을 위한 백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일컫는 것으로, R-PUCCH(Relay-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 릴레이 전송을 위한 백홀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일컫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R-
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릴레이 전송을 위한 백홀 하향링크 물리 데이터/공유 채널
을 일컫는 것으로, R-PUSCH(Relay-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릴레이 전송을 위한 백홀 상향링크 물리
데이터/공유 채널을 일컫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계기는 동시에 동일한 대역을 통해 양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Half-[0080]
Duplex 중계기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중계기를 Half-Duplex 중계기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LTE-A 시스템에서는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R-PDCCH를 위한 자원 할당[0081]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중계기를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R-PDSCH(Relay-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도너 셀(donor cell)에 속한 매크로 단말들을 위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의
다중화(multiplexing) 관점에서 TDM/FDM(Time Division Multiplexing/Frequncy Division Multiplexing) 형태
로 다중화되는 방안과, FDM 형태로만 다중화되는 방안과, 이 두 방안을 혼합한(hybrid) 형태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PDCCH를 수신하는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복수의 PDCCH[0082]
가 전송될 수 있는데,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모니터링되는 PDCCH 포맷에 따라 PDCCH들의 각각의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서브프레임 내에 할당된 제
어 영역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해당하는 PDCCH가 어디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단말은 서브
프레임 내에서 PDCCH 후보(candidate)들의 집합을 모니터링하여 자신의 PDCCH를 찾는다. 이를 블라인드 디코딩
(blind decoding)이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해당하는 PDCCH에서 자신의 C-RNTI를 디마스킹(demasking)하여
CRC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은 자신의 DCI를 갖는 PDCCH로 검출하는 것이다.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먼저 PDCCH 상으로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신한다. PDCCH의 검출에[0083]
성공하면, 단말은 PDCCH 상의 DCI를 읽는다. DCI 내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이용하여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
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은 먼저 PDCCH 상으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
신한다. PDCCH의 검출에 성공하면, 단말은 PDCCH 상의 DCI를 읽는다. DCI 내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이용하여
PUSCH 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R-PDCCH 검색 공간[0084]
(Search Space)이라 함은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R-PDCCH를 통해 내려오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검색해
야할 공간을 말한다. 도너 기지국(이하 기지국이라고 함)은 각 중계기를 위한 R-PDCCH 검색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R-PDCCH 검색 공간을 도너 셀(donor cell) 별로 특정하게 도너 셀 내의 모든 중계기를 위한 공
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너 셀 내의 모든 중계기들은 공용 검
등록특허 10-1714439
- 13 -
색 공간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블라인드 검색(blind search)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R-PDCCH를 위한 공용 검색 공간을 통해 각 중계기를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 및 상향링크 그랜트[0085]
(UL grant), 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등의 R-PDCCH를 중계기 ID(IDentifier)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masking)해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셀 별 특정 시스템 정보(cell-specific
system information) 전송을 위한 R-PDSCH 할당 정보를 중계기 공용 ID로(LTE 시스템의 SI-RNTI와 유사함) CRC
마스킹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은 각각의 중계기 별로 특정하게(RN-specific) 검색 공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0086]
기지국은 R-PDCCH를 위한 검색 공간을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단위로[0087]
설정할 수 있으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
할 수 있다. R-PDCCH 전송을 위해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된 PRB들(이하, 중계기 존(Relay Zon
e)이라 한다)내에서 실제 R-PDCCH 전송이 이루어 지지 않는 PRB들은 매크로 단말을 위한 PDSCH 전송이나 중계기
를 위한 R-PDSCH 전송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이 특정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전송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기지국은 특정 중계기를 위해 하나 이상의[0088]
R-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특정 중계기를 위한 하나 이상의 R-PDCCH를 각각 동일한 RB
혹은 동일한 RB 페어에서 연속된 OFDM 심볼을 사용하여 T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주어진 RB 페어 내에서 첫 번째 R-PDCCH를 첫 번째 슬롯의 OFDM 심볼 인덱스 3부터 6까지 4개의 OFDM
심볼을 통해 전송하고, 두 번째 R-PDCCH를 해당 RB 페어의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R-PDCCH는 서로 다른 포맷을 사용하는 R-PDCCH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R-PDCCH의 포맷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인 DL[0089]
grant를 전송하기 위한 R-PDCCH 포맷 1,2와 중계기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인 UL
grant를 전송하기 위한 R-PDCCH 포맷 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DL grant는 첫 번째 슬롯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고, UL grant는 첫 번째 슬롯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두 번째 슬롯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다. 특히, 기
지국은 DL grant를 첫 번째 슬롯에서 OFDM 심볼 인덱스가 3부터 6까지 4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UL grant는 두 번째 슬롯에서 OFDM 심볼 인덱스 7부터 13까지 7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통해 전
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특정 중계기로 하나 이상의 R-PDCCH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중계기는 하나의 R-PDCCH에 대해 블라인드[0090]
검색을 통해 자신에게 향하는 다른 R-PDCCH가 전송되는 RB 위치도 알 수 있다. 즉, 해당 중계기로 향하는 R-
PDCCH는 동일한 주파수 위치에서 인접한 OFDM 심볼을 통해 TDM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중계기가 하나의 R-PDCCH를 검출한 경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OFDM 심볼들에 대해 한 번 더 블라인드 디코딩을[0091]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중계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OFDM 심볼들을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다른 포맷의 추
가 R-PDCCH 수신에 성공한 경우, 다음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에 대해 한 번 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가 해당 RB 페어 들에서 추가적인 R-PDCCH 검출에 실패할 때까지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
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이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0092]
도 6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R-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방안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0093]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양 에지 대역에서는 R-PDCCH를 FDM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0094]
하고,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된 중계기 존 내에서는 R-PDCCH를 TDM/FDM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
할 수 있다. 기지국의 R-PDCCH 전송을 위한 시작점 OFDM 심볼은 FDM 영역(610) 및 TDM/FDM 영역(620)에서 모두
에서 4 번째 심볼(즉, 인덱스 3인 심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RB 크기에 따라 R-PDCCH의 시작점 OFDM 심볼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0095]
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10 RB(Resource Block) 이상일 경우에는 R-PDCCH의 시작점을 첫 번째 슬롯의 4 번째
OFDM 심볼로,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10 RB이하일 경우 다섯 번째 OFDM 심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중계
기에서 설정한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의 PDCCH
크기 및 기지국의 PDCCH 크기에 따라 R-PDCCH 시작점 OFDM 심볼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반-고정적으로
(semi-statically)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 번째 OFDM 심볼이 R-PDCCH 시작점 OFDM 심볼로 설정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714439
- 14 -
이와 달리,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대역폭)에 관계없이 중계기의 수신이 보장된 첫 번째 슬롯의 4 번째 OFDM 심[0096]
볼을 R-PDCCH 전송의 시작점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TDM/FDM 영역(620)의 R-PDCCH의 시간 영역 크기 혹은
R-PDCCH 전송을 위한 OFDM 심볼은 끝은 셀 별로 특정하게(cell-specific)하게 혹은 중계기 별로 특정하게(RN-
specific) 고정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반-고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로, R-REG(Relay-Resource Element Group) 및 R-CCE(Relay-Control Channel[0097]
Elements) 설정 방안에 따라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 심볼을 R-PDCCH 전송을 위한 마지막 OFDM 심볼로 결정하거
나, 혹은 R-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수를 첫 번째 슬롯의 2개 OFDM 심볼(즉, 첫 번째 슬롯의 네 번
째 및 다섯 번째 OFDM 심볼)로 결정할 수 있다. R-PDCCH 크기 및 끝점의 일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크기로 R-
PDCCH가 설정되거나 R-PDCCH가 다른 지점에서 끝점(end point)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에지에 설정된 FDM 영역(610)의 R-PDCCH의 끝점은 해당 백홀 서브프레임[0098]
의 마지막 심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마지막 심볼이 RF 스위칭(즉, 중계기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
환하기 위한 스위칭) 위한 보호 구간(Guard Period)으로 설정될 경우, 그 마지막 이전 심볼이 될 수 있다. FDM
영역(610)에서 하나의 R-PDCCH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을 경계로 호핑(hopping) 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기지국이 중계기로 특정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R-PDCCH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방안의 다른 예를 나[0099]
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양 에지 대역에서는 R-PDCCH를 FDM 형[0100]
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된 중계기 존 내에서는 R-PDCCH를 TDM/FDM 형
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의 R-PDCCH 전송을 위한 시작점 OFDM 심볼은 FDM 영역(710) 및 TDM/FDM
영역(720)에서 모두에서 4 번째 심볼(즉, 인덱스 3인 심볼)로 고정될 수 있다.
FDM 영역(710)에서, 기지국은 R-PDCCH들을 페이링된 2개의 PRB에서 동일한 OFDM 심볼을 통해 인터리빙하여 중계[0101]
기로 전송할 수 있다. R-CCE를 RE(Resource Element)로의 매핑 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로 사용되는 RE
들을 제외하고 시간 축으로 먼저 매핑될 수도 있고, 주파수 축으로 먼저 매핑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달리, 기지국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양 에지 대역이 아닌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0102]
구성된 중계기 존의 양 에지 대역에서 R-PDCCH를 FDM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고, 중계기 존의 내부 영
역에서는 R-PDCCH를 TDM/FDM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FDM 영역, TDM/FDM 영역에서의 전
송 구조는 도 6 및 도 7에서와 동일하다.
기지국은 TDM/FDM 형태로 다중화된 R-PDCCH가 전송되는 TDM/FDM 영역에 대해 반-고정적으로 구성된 RB들에 대한[0103]
정보 및 FDM 형태로 다중화된 R-PDCCH가 전송되는 FDM 영역에 대해 반-고정적으로 구성된 RB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중계기 존 설정 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중계기에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기를 위한 R-PDCCH 전송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dynamic) TDM/FDM의 형태로 R-PDCCH와 R-PDSCH을[0104]
다중화하여 전송하거나, 혹은 FDM의 형태로 R-PDCCH와 R-PDSCH을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임
의의 중계기를 위한 R-PDCCH 전송 시, 특정 PRB 페어(즉, 특정 백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
롯)의 첫 번째 슬롯만을 통해 전송하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R-PDSCH를 전송할 수도 있고, 혹은 두 번째 슬롯에
서는 유휴 구간(idle) 상태로 어떤 정보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 모두를 통해 R-PDCCH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두 번[0105]
째 슬롯을 통해서만 R-PDCCH를 전송하고, 첫 번째 슬롯을 통해서는 R-PDSCH를 전송하거나 혹은 첫 번째 슬롯은
유휴 구간(idle) 상태로 두어 어떤 정보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기지국의 R-
PDCCH 전송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DM 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참조 심볼로 사용하는 중계기에 대해 살펴본다.[0106]
R-PDCCH에 특정 중계기를 위한 DL grant만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임의의 하나[0107]
PRB 혹은 복수의 물리자원블록(PRB)의 첫 번째 슬롯만을 통해서 DL grant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CCH가 전송된 PRB(들)의 두 번째 슬롯을 통해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R-PDCCH에 특정 중계기를 위한 DL grant와 UL grant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0108]
DL grant 전송을 위한 R-PDCCH를 임의의 하나의 PRB 혹은 복수의 PRB들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서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UL grant 전송을 위한 R-PDCCH는 상기의 DL grant에 해당하는 R-PDCCH가 전송된
등록특허 10-1714439
- 15 -
PRB(들)의 남은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이 되거나, 혹은 다른 PRB(들)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SCH를 상기의 DL grant와 UL grant 전송이 이루어진 PRB(들)의
남은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하거나, 혹은 그와 관계없이 다른 PRB(들)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R-PDCCH에 특정 중계기를 위한 UL grant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PRB 페어[0109]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UL grant를 임의의 하나 PRB 혹은 복수의 PRB(들)의
첫 번째 슬롯 및 두 번째 슬롯 모두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중계기를 위한 UL grant를
임의의 하나 PRB 혹은 복수의 PRB(들)의 두 번째 슬롯을 통해서만 중계기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중계기가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참조 심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0110]
R-PDCCH에 임의의 중계기를 위한 DL grant만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임의의 하[0111]
나 혹은 복수의 PRB(s)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서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R-PDCCH가 전송된 PRB(들)의
남은 두 번째 슬롯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R-PDSCH가 전송되거나, 혹은 다른 중계기를 위한 R-PDCCH가 전송될 수
있다.
또는, R-PDCCH에 임의의 중계기를 위한 DL grant와 UL grant가 모두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DL[0112]
grant 전송을 위한 R-PDCCH를 임의의 하나 혹은 PRB 혹은 복수의 PRB들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서만 전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UL grant 전송을 위한 R-PDCCH를 상기 해당 중계기를 위한 DL grant가 전송되
고 남은 PRB들에서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은 UL grant를 다른 중계기를 위한
R-PDCCH를 전송하고 남은 PRB들에서 두 번째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DL grant 전송이
이루어진 PRB들이 아닌 다른 PRB들의 첫 번째 슬롯을 통해 UL grant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R-PDCCH에 임의의 중계기를 위한 UL grant만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UL grant 전송을 위한[0113]
R-PDCCH를 반드시 임의의 PRB(들)의 두 번째 슬롯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해당 PRB
(들)의 첫 번째 슬롯 역시 해당 중계기의 UL grant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해당 PRB(들)의 첫 번째 슬롯
은 다른 중계기를 위한 R-PDCCH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해당 PRB(들)의 첫 번째 슬롯은
다른 중계기의 R-PDSCH 전송을 위해 사용하거나, 혹은 유휴 구간(idle) 상태로 두어 어떤 정보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기 할당 정보와 함께 추가적으로 R-PDCCH 전송을 위한 FDM 영역에 대한 정보를 중계기 별로 특정[0114]
한(RN-specific) 혹은 셀 별로 특정한(cell-specific)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중계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각 중계기에게 FDM 영역의 주파수 축의 크기, 즉 페어링된 PRB들의 수를 알려주며, 상
기 도 6 및 도 7의 경우 해당 FDM 영역의 크기는 2가 된다. 또한, 이와 함께 기지국은 도 6에 해당하는 슬롯 호
핑 모드 및 도 7에 해당하는 인터리빙 모드를 설정할 수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설정 정보도 각 중계기에게 알려
줄 수 있다.
FDM 영역과 TDM/FDM 영역을 통한 R-PDCCH 전송 방안[0115]
기지국은 중계기-특정(RN-specific) DL grant를 TDM/FDM 영역을 통해서만 전송하고, 중계기 특정 UL grant 및[0116]
TPC command, 셀-특정(cell-specific)(즉, 중계기 공통) DL grant를(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전송을 위한 DL
grant 또는 모든 중계기 또는 중계기 그룹으로 방송 정보 전송을 위한 DL grant)는 FDM 영역을 통해서만 전송할
수 있다. TDM/FDM 영역에서 DL grant는 로컬화된(localized) 형태로 전송되거나, 분산된(distributed)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기-특정 DL grant가 전송된 PRB(들)에서 남은 RE들에서는 해당 중계기를 위한 R-
PDSCH만을 전송하며, 이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특정 DL grant는 해당 R-PDSCH와 동일한 전송 모드(예를 들어,
프리코딩 모드 또는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하며, 이는 각 중계기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반-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FDM 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R-PDCCH는 해당 FDM 영역의 전송 모드 설정에 맞추어 전송되며, 이 역시 FDM[0117]
영역의 설정과 함께 반-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하나의 중계기를 위한 DL grant와 UL
grant를 하나의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경우, DL grant는 TDM/FDM 영역을 통해 프리코딩된 전송
모드로 전송할 수 있고, UL grant는 FDM 영역을 통해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중계기를 위한 R-PDCCH에 DL grant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를 위한 모든 R-PDCCH를(예를 들[0118]
어, UL grant, TPC command 등) TDM/FDM 영역을 통해서 전송하며, DL gran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예를 들
어,UL grant 혹은 TPC command만 존재하는 경우) FDM 영역을 통해 R-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앞의 경우와
의 차이점은 중계기-특정 UL grant 및 TPC command가 해당 중계기를 위한 DL grant가 존재하는 경우 TDM/FDM
등록특허 10-1714439
- 16 -
영역을 통해 전송된다는 점이다.
또는, 기지국은 모든 중계기-특정 R-PDCCH를 TDM/FDM 영역을 통해서 전송하고, 셀-특정(즉, 중계기 공통) R-[0119]
PDCCH는 FDM 영역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0120]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
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
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0121]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등록특허 10-1714439
- 17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14439
- 18 -
도면2
등록특허 10-1714439
- 19 -
도면3
등록특허 10-1714439
- 20 -
도면4
등록특허 10-1714439
- 21 -
도면5
등록특허 10-1714439
- 22 -
도면6
등록특허 10-1714439
- 23 -
도면7
등록특허 10-1714439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