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면 팬(DOUBLE FACED PAN)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6월18일
(11) 등록번호 10-1276176
(24) 등록일자 2013년06월1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J 37/10 (2006.01) A47J 36/3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89138
(22) 출원일자 2010년09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9월10일
(65) 공개번호 10-2012-0026928
(43) 공개일자 2012년03월2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100007322 U*
KR200367612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문혜숙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로2번길 5, 감만현대아파트
102-1303 (감만동)
(72) 발명자
문혜숙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로2번길 5, 감만현대아파트
102-1303 (감만동)
(74) 대리인
원은섭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김재현
(54) 발명의 명칭 양면 팬
(57) 요 약
본 발명은 버튼뭉치(30)가 스프링(40)에 의하여 제1팬(70)을 향하여 밀려가면서 스토퍼뭉치(50) 역시 전후 이동
되면서 걸림턱(1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짐으로써 조리시 제1핸들(10)과 제2핸들(20)의 결합으로 제1팬(70)과 제
2팬(80)의 밀폐상태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하여 조리 및 구이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양면
팬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4a
등록특허 10-127617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핸들(10) 및 제2핸들(20)이 각각 장착되어 힌지핀(60)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합치되는 제1팬(70) 및 제2팬
(80)을 포함하는 양면 팬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10)은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제1구멍(11)과, 상기 제1구멍(11)의 상부에 상기 제1팬(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2)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핸들(20)은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제2구멍(21)과, 상기 제2구멍(21)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
드편(22)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편(22)에 개재되어 후방으로 열려진 수평홈(32a) 및 하방으로 열려진 수직홈(32b)을 지닌 버튼뭉치
(30)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홈(32a)에 끼워져 상기 제1팬(70)을 향하여 상기 버튼뭉치(30)를 밀어내는 스프링(40)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홈(32b)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구멍(11)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40)에 연동되는 상기 버튼뭉치(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1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는 스토퍼뭉치(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편(22)은 상기 제2구멍(21)의 중간에 상기 제2팬(8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 가이
드편(22a)과, 상기 제2구멍(21)의 중간에 상기 제2팬(8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방 가이드편(22b)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뭉치(30)는 상기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수평홈(32a)에 끼워져 상기 후방 가이드편(22b)에 지지되면서 상기 버튼뭉치(30)를 상
기 제1팬(70)을 향하여 밀어내며,
상기 버튼뭉치(30)는 상기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되는 버튼
(31)과, 상기 버튼(31)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서 전후 이동
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홈(32a) 및 수직홈(32b)을 지닌 이동체(32)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뭉치(50)는 상기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의 하부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상
기 수직홈(32b)에 합치되는 통공(51a)을 지닌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통공(51a)에 합치되는 장공(52a)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1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는 스토퍼(53)를 지
닌 봉(52)과, 상기 장공(52a) 및 통공(51a)을 경유하여 상기 수직홈(32b)에 조립되는 스크류(54)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팬.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3)는 상기 걸림턱(12)의 상측 모서리에 접촉되는 경사부(53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팬.
청구항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2)은 그 상측 모서리에 경사면(1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팬.
등록특허 10-1276176
- 2 -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양면 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핸들과 제2핸들의 결합으로 제1팬과 제2팬의 밀폐상태를[0001]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하여 조리 및 구이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양면 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양면 팬은 토스트, 생선, 육류, 야채(고구마나 감자 등) 또는 계란 등을 굽기 위한 것이다.[000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핸들과 제2핸들의 결합으로 제1팬과 제2팬의 밀폐상태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보장하여 조[0003]
리 및 구이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양면 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뭉치가 스프링에 의하여 제1팬을 향하여 밀려가면서 스토퍼뭉치 역시 전후 이동되면서 걸[0004]
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짐으로써 제1팬 및 제2팬의 결합 및 분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면 팬을 제
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뭉치가 전방 가이드편 및 후방 가이드편 사이에 개재되어 제2구멍의 내부에 보다 안전하[0005]
게 안착될 수 있으면서 버튼뭉치가 위로 지나치게 노출되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양면 팬
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버튼뭉치 및 스토퍼뭉치가 전방 가이드편 및 후방 가이드편 사이에서 보다 안전하고 부드럽게 전후[0006]
슬라이딩될 수 있는 양면 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버튼뭉치와 스토퍼뭉치가 상하방향으로 스크류에 의해 간단히 조립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0007]
상시킬 수 있는 양면 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스토퍼뭉치의 부드러운 착탈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양면 팬을 제공함에 있다.[0008]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0009]
제1핸들 및 제2핸들이 각각 장착되어 힌지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합치되는 제1팬 및 제2팬을 포함하는 양면[0010]
팬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은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의 상부에 상기 제1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0011]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핸들은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제2구멍과, 상기 제2구멍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편을 포함[0012]
하고,
상기 가이드편에 개재되어 후방으로 열려진 수평홈 및 하방으로 열려진 수직홈을 지닌 버튼뭉치를 구비하고,[0013]
상기 수평홈에 끼워져 상기 버튼뭉치를 상기 제1팬을 향하여 밀어내는 스프링을 구비하고,[0014]
상기 수직홈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구멍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에 연동되는 상기 버튼뭉치의 전후 이동에 따라[0015]
상기 걸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는 스토퍼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276176
- 3 -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제1핸들과 제2핸들의 결합으로 제1팬과 제2팬의 밀폐상태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보장하여 조리 및[0016]
구이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튼뭉치가 스프링에 의하여 제1팬을 향하여 밀려가면서 스토퍼뭉치 역시 전후 이동되면서 걸림턱에[0017]
착탈 가능하게 걸쳐짐으로써 제1팬 및 제2팬의 결합 및 분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버튼뭉치가 전방으로 밀려감과 동시에 스토퍼뭉치 역시 전방으로 밀[0018]
려가면서 걸림턱에 걸쳐져 제1핸들과 제2핸들의 결합을 가능케 하고, 반면 버튼뭉치를 사용자가 후진시킬 경우
스토퍼뭉치 역시 후방으로 밀려가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제1팬과 제2팬의 오픈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튼뭉치가 전방 가이드편 및 후방 가이드편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2구멍의 내부에 보다 안전하게[0019]
안착될 수 있으면서 버튼뭉치가 위로 지나치게 노출되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방 가이드편 및 후방 가이드편 사이에서 이동체가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버튼뭉치의 버튼과 스토[0020]
퍼뭉치의 받침판이 위아래로 배치됨으로써 버튼뭉치 및 스토퍼뭉치가 전방 가이드편 및 후방 가이드편 사이에서
보다 안전하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튼뭉치와 스토퍼뭉치가 상하방향으로 스크류에 의해 간단히 조립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0021]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을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002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을 오픈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에 적용된 버튼뭉치 및 스토퍼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에 적용된 버튼뭉치 및 스토퍼뭉치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간 모습을 나
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에 적용된 버튼뭉치 및 스토퍼뭉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을 이
겨내고 후방으로 밀려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0023]
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핸들(10) 및 제2핸들(20)이 각각 장착되어 힌지[0024]
핀(60)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합치되는 제1팬(70) 및 제2팬(8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팬의 제1팬(70) 또는 제2팬(80) 속에 토스트, 생선, 육류, 야채(고구마[0025]
나 감자 등) 또는 계란 등의 피조리물을 넣고 가스레인지의 화구에 제1팬(70) 및 제2팬(80)이 대향되도록 양쪽
으로 사용함으로써 피조리물을 직접 뒤집기 위한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핸들(10)은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제1구멍(11)과, 이 제1[0026]
구멍(11)의 상부에 제1팬(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2)을 구비하고, 제2핸들(20)은 상하방
향으로 뚫려진 제2구멍(21)과, 이 제2구멍(21)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편(22)을 구비하고, 이 가
이드편(22)에 개재되어 후방으로 열려진 수평홈(32a) 및 하방으로 열려진 수직홈(32b)을 지닌 버튼뭉치(30)를
구비하고, 수평홈(32a)에 끼워져 제1팬(70)을 향하여 버튼뭉치(30)를 밀어내는 스프링(40)을 구비하며, 수직홈
(32b)에 고정되면서 제1구멍(11)에 끼워져 스프링(40)에 연동되는 버튼뭉치(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걸림턱(1
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는 스토퍼뭉치(50)를 포함한다.
등록특허 10-1276176
- 4 -
버튼뭉치(30)가 스프링(40)에 의하여 제1팬(70)을 향하여 밀려가면서 스토퍼뭉치(50) 역시 전후 이동되면서 걸[0027]
림턱(1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짐으로써 조리시 제1핸들(10)과 제2핸들(20)의 결합으로 제1팬(70)과 제2팬(80)
의 밀폐상태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보장하여 조리 및 구이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버튼뭉치(30)가 전방으로 밀려가면서 스토퍼[0028]
뭉치(50) 역시 전방으로 밀려가 걸림턱(12)에 걸쳐져 제1핸들(10)과 제2핸들(20)의 결합을 가능케 하고, 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뭉치(30)를 사용자가 후진시킬 경우 스토퍼뭉치(50) 역시 후방으로 밀려가 걸림
턱(12)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구멍(2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팬(70)과 제2팬(80)의 오픈을
간단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편(22)은 제2구멍(21)의 중간에 제2팬(8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 가이드편(22a)[0029]
과, 제2구멍(21)의 중간에 제2팬(8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방 가이드편(22b)을 구비하고[필요에 따
라서는 제2구멍(21)의 길이방향의 양 사이드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튼뭉치(30)는 전방 가이드편
(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 개재되며, 스프링(40)은 수평홈(32a)에 끼워져 후방 가이드편(22b)에 지지
되면서 버튼뭉치(30)를 제1팬(70)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버튼뭉치(30)가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2구멍(21)의 내부에 보다 안[0030]
전하게 안착될 수 있으면서 버튼뭉치(30)가 위로 지나치게 노출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버튼뭉치(30)는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되는[0031]
버튼(31)과, 버튼(31)의 하부에 돌출되어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서 전후 이동됨과
동시에 수평홈(32a) 및 수직홈(32b)을 지닌 이동체(32)를 포함하고, 스토퍼뭉치(50)는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의 하부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직홈(32b)에 합치되는 통공(51a)을 지닌 받침판(51)
과, 이 받침판(51)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통공(51a)에 합치되는 장공(52a)을 구비하여 걸림턱(12)에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는 스토퍼(53)를 지닌 봉(52)과, 장공(52a) 및 통공(51a)을 경유하여 수직홈(32b)에 조립
되는 스크류(54)를 포함한다.
전방 가이드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서 이동체(32)가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버튼뭉치(30)의 버튼[0032]
(31)과 스토퍼뭉치(50)의 받침판(51)이 위아래로 배치됨으로써 버튼뭉치(30) 및 스토퍼뭉치(50)가 전방 가이드
편(22a) 및 후방 가이드편(22b) 사이에서 보다 안전하고 부드럽게 전후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고, 특히 버튼뭉
치(30)와 스토퍼뭉치(50)가 상하방향으로 스크류(54)에 의해 간단히 조립됨으로써 그 조립성 및 생산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토퍼(53)는 걸림턱(12)의 상측 모서리에 접촉되는 경사부(53a)를 구비하여 제1핸들(10) 및 제2핸들(2[0033]
0)이 오픈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키고자 합치시킬 때 경사부(53a)에 의해 더욱 부드럽게 스토퍼(53)가 걸림턱
(12)에 걸쳐질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걸림턱(12) 역시 그 상측 모서리에 경사면(12a)을 구비하여 스토퍼(5
3)와 걸림턱(12) 상호간의 결합을 슬라이딩 타입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토스트, 생선, 육류, 야채(고구마나 감자 등) 또는 계란 등을 굽기 위한 양면 팬 분야에 이용될 수[0034]
있다.
부호의 설명
10 : 제1핸들 11 : 제1구멍[0035]
12 : 걸림턱 12a : 경사면
20 : 제2핸들 21 : 제2구멍
22 : 가이드편 22a : 전방 가이드편
22b : 후방 가이드편 30 : 버튼뭉치
등록특허 10-1276176
- 5 -
31 : 버튼 32 : 이동체
32a : 수평홈 32b : 수직홈
40 : 스프링 50 : 스토퍼뭉치
51 : 받침판 51a : 통공
52 : 봉 52a : 장공
53 : 스토퍼 53a : 경사부
54 : 스크류 60 : 힌지핀
70 : 제1팬 80 : 제2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76176
- 6 -
도면2
등록특허 10-1276176
- 7 -
도면3
등록특허 10-1276176
- 8 -
도면4a
등록특허 10-1276176
- 9 -
도면4b
등록특허 10-1276176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