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11) 공개번호 20-2008-0004146
(43) 공개일자 2008년09월25일
(51) Int. Cl.
B65D 30/24 (2006.01) B65D 81/20 (2006.01)
(21) 출원번호 20-2007-0004743
(22) 출원일자 2007년03월22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71) 출원인
권석웅
서울 강남구 역삼1동 690-21
(72) 고안자
권석웅
서울 강남구 역삼1동 690-21
(74) 대리인
황병도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54)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의 밸브
(57) 요 약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진공보관되어지는 비닐백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패킹에 ∨형의 날개가 형성되어 항상 펼쳐
진 상태에서 흡입에 의하여 접어지면서 작동토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조작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사용되는 이불이나 의복 등을 비닐백에 담아 진공처리함으로서 부피를 작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공보관을
위한 비닐백에 사용되는 밸브는 진공시 통기로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과 진공해제시 진공압에 의하여 자연적인 통
기로를 차단토록 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이 제조의 곤란성과 파손되었을 경우에 임의적인 수선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비닐백과 접착되어지는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통기로를 단속하는
밸브를 ∨형의 날개를 갖는 밸브로 구성한 후 상기 밸브가 고정체에 형성된 통기로에 끼워져 상측에 형성된 마개
를 공기의 흡입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및 마개의 이탈방지와 들림방지를 위하여 일정한 압으로 누름상
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탄성누름부를 갖게 되면서 상기 탄성누름부에 통기로가 형성된 덮개를 플레이트에 결
합토록 함으로서 해결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
대 표 도 - 도1
- 1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비닐백(40)의 개구부(41)의 외주연에 접착되어지는 후렌지(14)를 갖는 고정체(10)의 중앙부에 만곡면(12)에 의
한 통기로(11)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11)는 하나의 축(13)에 다수개의 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13)에는 통
기로(11)를 단속하는 ∨형의 날개(21)를 갖는 밸브(20)가 마개(22)의 끼움축(23)에 끼워져 밸브(20)의 날개(2
1)만이 만곡면(12)에 안착되어지고, 상기 마개(22)는 가이드축(24)이 축(13)의 가이드홈(15)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되어지며, 상기 마개(22)의 상측으로는 마개(22)의 임의적인 들림방지를 위하여 일정한 압으로 누름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통기로(31)를 갖는 탄성누름부(32)를 형성한 캡(30)을 고정체(10)와 결합토록됨을 특징으
로 하는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의 밸브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2)의 끼임축(23)에는 단턱(23a)를 형성하여 패킹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의 밸브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에는 상단으로 걸림테(16)가 형성된 직립관(17)을 형성하고 상기 캡(30)에는
상기 걸림테(16)와 맞물림되도록 홈테(3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의 밸브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2)의 끼임축(23)과 가이드축(24)은 고정체(10)의 축(13)의 돌출되어진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끼임축(23)의 내측면(23b)이 축(13)의 외측면(13a)과 긴밀하게 밀착되어짐을 특징
으로 하는 의복등의 진공포장을 위한 비닐백의 밸브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진공보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비닐백에 적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작동이 단순하고, 임의적인 조<19>
작에 의하여 진공해제가 불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계절이 지난 이불이나 의복 등은 별도의 보관에 의하여 보관되어질 경우에 부피를 줄<20>
이기 위하면서 이물질의 묻어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백에 담아 진공처리함으로서 부피를 작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보관을 위한 비닐백에 사용되는 밸브는 진공시 비닐백의 공기를 제거토록 하기 위한 통기로<21>
를 확보하고 통기로를 차단하는 수단을 기본 구조로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이 통기로를 확보하고 차단하는 밸브의 구성이 별도의 마개를 사용하여 단속하고 있<22>
다는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닐백과 열접착등의 수단으로 접착되어지는 고정체에<23>
형성되는 통기로를 단속하는 밸브를 ∨형의 날개를 갖는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가 마개가 장착된 상태에서
마개가 통기로를 구성하는 축의 외벽을 타고 끼움토록 하여 마찰력이 큰 ∨형의 날개가 통기로만을 단속하면서
마찰력이 작은 마개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되어지면서 흡입시에 절첩되면서 통기로를 단속토록 하고, 상기 밸브
의 임의적인 이탈방지와 들림방지를 위하여 마개를 구상측에 위치시킨 후 일정한 압으로 누름상태를 유지토록
되는 통기로를 갖는 탄성누름부가 형성된 캡을 플레이트와 결합토록 한 것이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 2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4>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비닐백(40)의 개구부(41)의 외주연에 접착되어지는 후렌지<25>
(14)를 갖는 고정체(10)의 중앙부에 만곡면(12)에 의한 통기로(11)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11)는 하나의 축
(13)에 다수개의 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13)에는 통기로(11)를 단속하는 ∨형의 날개(21)를 갖는 밸브(20)가
마개(22)의 끼움축(23)에 끼워져 밸브(20)의 날개(21)만이 만곡면(12)에 안착되어지고, 상기 마개(22)는 가이드
축(24)이 축(13)의 가이드홈(15)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되어지며, 이때 상기 마개와 축의 마찰력이 거의 없어 상
하로의 작동이 용이하고, 상기 마개(22)의 상측으로는 마개(22)의 임의적인 들림방지를 위하여 일정한 압으로
누름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통기로(31)를 갖는 탄성누름부(32)를 형성한 캡(30)을 고정체(10)와 결합토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마개(22)의 끼임축(23)에는 단턱(23a)를 형성하여 패킹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26>
이때 결합을 위하여 고정체(10)에는 상단으로 걸림테(16)가 형성된 직립관(17)을 형성하고 상기 캡(30)에는 상<27>
기 걸림테(16)와 맞물림되도록 홈테(33)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마개(22)의 끼임축(23)과 가이드축(24)은 고정체(10)의 축(13)의 돌출되어진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28>
지는 것이고, 끼임축(23)의 내측면(23b)이 축(13)의 외측면(13a)과 긴밀하게 밀착되어짐으로 정확하게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캡(30)의 상측에 탄성누름부(32)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결합돌부(34)에 진공청소기의 주입구(도시생<29>
략)를 삽입토록 한 후 공기를 빨아들이면 그 빨아들이는 힘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마개(22)가 들어올려지면서 동
시에 마개의 ㄲ끼끼임축에 장착된 패킹이 들어올려져 통기로가 개방되면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고 흡입이
완료되이후에는 캡의 탄성누름부(32)가 마개의 상측을 누름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기밀유지가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따라서 밸브가 마개에 장착된 상태에서 마개의 상하작용으로 자연적인 밸브의 ∨형의 날개가 만곡홈과 밀착되어<30>
지거나 이탈되어지면서 통기로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공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캡의 탄성누름부가 마개의 상면을 누르고 있게 됨으로 외력에 의하여 임의적<31>
인 마개의 작동이 단속됨으로 정밀한 진공포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의 밸브의 단면도.<1>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되어진 상태의 단면도.<2>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3>
도 4는 본 고안의 캡의 외관상태도.<4>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5>
10: 고정체 11: 통기로<6>
12: 만곡면 13: 축<7>
13a: 외측면 14: 후렌지<8>
15: 가이드홈 16: 걸림테<9>
17: 직립관<10>
20: 밸브 21: 날개<11>
22: 마개 23: 끼움축<12>
23a: 단턱 23b: 내측면<13>
24: 가이드축<14>
- 3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
30: 캡 31: 통기로<15>
32: 탄성누름부 33: 홈테<16>
34: 결합돌부<17>
40: 비닐백 41: 개구부<18>
도면
도면1
- 4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
도면2
- 5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
도면3
도면4
- 6 -
공개실용신안 20-2008-00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