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4-0059025
(43) 공개일자 2014년05월1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1S 8/10 (2006.01) F21V 7/04 (2006.01)
F21Y 101/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25603
(22) 출원일자 2012년11월07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71) 출원인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역삼동)
(72) 발명자
곽남혁
서울 서초구 신반포로23길 5, 101동 607호 (잠원
동, 우성아파트)
(74) 대리인
특허법인우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발명의 명칭 광 효율을 높인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57) 요 약
본 발명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광축과 평행하도록 경계선 아래로
로우빔을 형성하는 제1 반사 영역과, 상기 경계선 위로 시인성 향상 빔을 형성하는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리
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반사 영역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조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여, 작은 반사 영역만으로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면서도 광 효율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3
공개특허 10-2014-0059025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광원과, 상기 광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광축과 평행하도록 경계선 아래로 로우빔을
형성하는 제1 반사 영역과, 상기 경계선 위로 시인성 향상 빔을 형성하는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
수록 조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청구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청구항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청구항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Light-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청구항 5
제1 항 내지 제3 항의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축에 대해 평행광을 형성시[0001]
키는 MFR계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MFR(Multi Facet Reflector)은, 파라볼라(Parabola) 형태의 리플렉터를 의미한다. 파라볼라 형태의 리플렉터[0002]
를 구비한 램프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광축과 평행하게 반사시켜 평행광을 생성한다. 이때 광원은 리플렉터의
초점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MFR계 램프는 차량용 헤드램프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로우빔 헤드 램프를 기준으로 표지판 시인성 법규에 따라 일정 광량 이상을 보내야 하는 영역을 도시한[0003]
도면이고, 도 2는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반사면을 구비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우빔을 형성하는 MFR계 헤드 램프는 경계선(H-H) 아래로 빛을 보내게 된다. 다만,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경계선(H-H) 위에 위치한 도 1의 A 영역에 일정 광량 이상의 빛을 보
내야 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램프(10)는 리플렉터(11)의 중앙 하부 영역(12)을 통해 경계
선(H-H) 위의 일정 영역으로 빛을 반사시킨다. 이때, 통상적으로, 로우빔 헤드 램프의 경우, 리플렉터(11)의 중
앙 상단 부근에 광원이 설치되는데, 광원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리플렉터(11)의 중앙 하부 영역(12)에는
약한 빛이 도달하게 된다. 이에, 이 약한 빛을 도 1의 A와 같은 영역에 일정 광량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중앙
하부 영역(12)을 크게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중앙 하부 영역(12)으로 인하여 리플렉터(11)는
평행광을 형성하는 반사 영역이 크게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공개특허 10-2014-0059025
- 2 -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반사 영역만으로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면[0004]
서도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광축[0005]
과 평행하도록 경계선 아래로 로우빔을 형성하는 제1 반사 영역과, 상기 경계선 위로 시인성 향상 빔을 형성하
는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광
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조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0006]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0007]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은 LED(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다.[000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0009]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따르면,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중, 광원에 최 근접한 영[0010]
역을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반사 영역으로 형성하고, 이 반사 영역을 조사 방향으로 기울어지
게 형성함으로써. 작은 반사 영역만으로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면서도 광 효율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로우빔 헤드 램프를 기준으로 표지판 시인성 법규에 따라 일정 광량 이상을 보내야 하는 영역을 도시한[0011]
도면,
도 2는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반사면을 구비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해 경계서(H-H)위로 퍼지는 빛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0012]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
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00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0014]
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
는 없다.
공개특허 10-2014-0059025
- 3 -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반사 영역(110)과 제2[0015]
반사 영역(120)가 형성된 리플렉터(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로서, 로우빔을 생성하는 헤드 램프를 기반한다. 그리고, 광원(1)은 LED(Light-Emitting
Diode)로 예시하며, 리플렉터(100)는 MFR 형태의 리플렉터로 예시한다. 광원(1)은 리플렉터(100)의 중앙 상단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110)은 경계선(H-H) 아래로 로우빔을 생성하는 리플렉터(100)의 반사 영역으로, 광원(1)에서 조[0016]
사된 빛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형성한다. 제1 반사 영역(110)은 리플렉터(100)의 대부분의 반사 영역을 이루는
영역으로, 상대적으로, 제2 반사 영역(120)보다 되도록 크게 형성되는 것이 광 효율 면에서 유리하다.
제2 반사 영역(120)은 경계선(H-H) 위로 빛을 확산 시켜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시키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0017]
제2 반사 영역(120)은 리플렉터(100)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다. 즉, 제2 반사 영역(120)은, 리플렉터(100)의
반사 영역 중, 광원(1)에 가장 근접한 영역으로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반사 영역(120)은 횡방향으
로 장변이 형성된 장방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반사 영역(120)의 상단(121)에서 하단(122)으로 갈수록 조사 방향(도 4의[0018]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반사 영역(120)은 하단(122)으로 갈수록 제1 반사 영역(110)보다
조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경계선(H-H) 위로 광원(1)에서 조사된 빛을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함이다.
제2 반사 영역(120)은 제1 반사 영역(110)에 비해 최소한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반사 영역(120)[0019]
에서 반사된 빛은 로우빔을 이루는 빛이 아니고, 단지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빛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광원(1)에 최 근접한 제2 반사 영역(120)을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반사 영역으로 구성하고, 제2 반[0020]
사 영역(120)을 조사 방향으로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제2 반사 영역(120)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
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종래에 표지판 시인성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리플렉터(100)의[0021]
중앙 하단부를 로우빔을 형성하는데 사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해 경계서(H-H)위로 퍼지는 빛을 나타낸 도면이다.[0022]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리플렉터(100)의 제2 반사 영역(120)에 의해, 경계선(H-H)위로 빛이 확대되어 퍼지는[0023]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0024]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
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리플렉터[0025]
110 : 제1 반사 영역
120 : 제2 반사 영역
121 : 제2 반사 영역의 상단
122 : 제2 반사 영역의 하단
공개특허 10-2014-0059025
- 4 -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4-0059025
- 5 -
도면4
도면5
공개특허 10-2014-0059025
- 6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