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4-0141832
(43) 공개일자 2014년12월1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M 4/88 (2006.01) H01M 4/90 (2006.01)
H01M 8/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62585
(22) 출원일자 2013년05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5월31일
(71) 출원인
한국세라믹기술원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77 (가산동)
(72) 발명자
여동훈
서울 송파구 마천로11길 3-22, (오금동)
신효순
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자천로188번길 71-21, 101
동 108호 (정자동, 현대아파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이훈, 이두희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54) 발명의 명칭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에서는 내부 미세구조가 균일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이 개
시된다. 즉, 이 방법은 산화니켈(NiO) 및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가 혼합된 원료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와, 상기 원료분말에 기공 형성제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의 슬러리를 분무 건조
하여 건조분말을 얻는 단계와, 상기 건조분말을 성형 및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분말에 소포제 및
결합제 중의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대 표 도 - 도3a
공개특허 10-2014-0141832
- 1 -
(72) 발명자
이중철
경기도 군포시 당동 771-15번지
김시연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501, 105동 705호 (전민동,
청구나래아파트)
공개특허 10-2014-0141832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구조체를 이루는 지지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산화니켈(NiO) 및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가 혼합된 원료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분말에 기공 형성제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의 슬러리를 분무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얻는 단계와;
상기 건조분말을 성형 및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
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에 소포제 및 결합제 중의 하나 이상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
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의 함량은 상기 원료분말 대비 20~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형성제는 폴리스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형성제의 함량은 상기 원료분말 대비 30~60 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
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디에틸렌프탈레이트, 파라핀 및 지방산 에스테르 중
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의 첨가량은 상기 혼합분말 대비 0.3~0.7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
의 제조방법.
청구항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폴리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10-2014-0141832
- 3 -
청구항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의 첨가량은 상기 혼합분말 대비 0.04~0.0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
체의 제조방법.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지지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미세구조가 균일하며 기계적 강[0001]
도가 우수한 지지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연료전지는 연료 및 산화제와 같은 반응물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직류(DC)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0002]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기술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인산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고체전해질 연료전
지 및 효소 연료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전지를 포함한다.
특히, 고체전해질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SOFC)는 600~1000℃의 고온에서 작동하여 탄화수소 연료[0003]
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므로, 현재까지 개발된 연료전지들 중 에너지변환효율이 가장 높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는 산소 이온 및 프로톤 등에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고체전해질과, 이[0004]
고체전해질의 한 측면에 형성된 다공성 공기전극 또는 공기극(또는, 음극(cathode))과, 상기 고체전해질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연료전극 또는 연료극(또는, 양극(anode))으로 구성된다.
이리하여, 산소 가스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극으로 공급되고, 수소 및 탄화수소 가스를 함유하[0005]
는 연료가스는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극에서는 산소의 환원반응이 일어나 산소이온이 생
성되고, 이는 상기 고체전해질 층을 통해 상기 연료극으로 이동하여 이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한
다. 이때, 상기 연료극에서는 전자가 생성되고 상기 공기극에서는 전자가 소모되므로, 이들 연료극과 공기극을
연결하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한편,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그 하나는 전극 및 고체전해질이 실린더 주변을 커버[0006]
하는 원통형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고체전해질 및 전극이 평면형으로 구성되는 평판형 타입이다.
먼저, 상기 원통형 타입의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는 공개특허 제10-2011-28962호, 특허 제10-1131255호, 공개특허[0007]
제10-2011-62932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개략 구조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고체전해질 연료전지(1)는 원통상으로서 일단이 차단된 연료극 지지체(2)와, 연료극[0008]
지지체(2)의 외면에 코팅된 전해질층(3) 및 전해질층(3)의 외면에 코팅된 공기극층(4)을 포함한다. 또한, 연료
극 지지체(2)의 내부에는 연료 가스(FG)를 흘려주기 위하여 연료관(5)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료가스(FG)는 연료극 지지체(2)의 차단된 일단과 근접한 위치에서 연료관(5)으로부터 분사되어 그[0009]
반대 방향으로 연료관(5)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연료극 지지체(2)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는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200710호 및 2007-317594호, 미국특허[0010]
6265095호, 6183897호 및 4997726호, 유럽특허공개공보 2019443호 및 99305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특허 제10-1174407호(2012. 8. 9 등록) 및 일본특허 제5221619호(2013. 3. 15 등
록)에 개시되어 있는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의 구조를 도 2a~2b에 도시한다.
도 2a~2b를 참조하면, 먼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전지 모듈이 복수로 적층되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0011]
같이 일체화된 평판형 타입의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 단전지 모듈은 각각의 일 면
에 일정 거리 이격된 스트립 형상의 복수의 연료극(26)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고체전해질층(22)과, 이와 동일
한 스트립 형상으로 된 복수의 슬릿(28)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지지체(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체전해질층(22)은 제1 지지체(24)의 복수의 슬릿(28) 내에서 그의 각 복수의 연료극(26)이 상호 대향
하도록 제1 지지체(24)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중첩되고 제2 지지체(24)는 그 슬릿(28)이 제1 지지체(24)의 슬
릿(28)과 직교하도록 제1 지지체(24)의 하측에 중첩된 제1 또는 제2 고체전해질층(22)의 하측에 중첩된다. 그리
고, 제1 지지체(24)의 슬릿(28)은 연료극(26)을 갖는 연료유로(38)를 이루고, 제2 지지체(24)의 슬릿(28)은 공
공개특허 10-2014-0141832
- 4 -
기극(36)을 갖는 공기유로(34)를 이룬다.
특히, 이러한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의 적층체 구성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재질의 여러 구성부품을 사용하므로,[0012]
고온작동에 따른 열팽창차이, 산화반응, 부식 및 열화 등의 여러 요인들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24) 등의 지지체는 지지체 내부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내부 미세구
조가 균일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지지체가 요구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 미세구조가 균일하며 기계적 강도가[0013]
우수한 지지체를 제조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구조체를 이루는 지지체의 제조방법은[0014]
산화니켈(NiO) 및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가 혼합된 원료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분말에 기
공 형성제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의 슬러리를 분무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얻는
단계와; 상기 건조분말을 성형 및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분말에는 소포제 및 결합
제 중의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니켈(NiO)-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 등의 기공 형성제를[0015]
혼합한 분말에 기포제거 및 균일한 혼합을 위한 소포제와 성형성을 높이는 결합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향상시킨
후 이의 슬러리를 분무건조한 후 성형 및 소결함으로써 내부 미세구조가 균일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지지체
를 얻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타입의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의 개략 구조도.[0016]
도 2a 및 도 2b는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특허 제10-1174407호 및 일본특허 제5221619호에 개시되어 있
는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로서,
도 2a는 평판형 타입의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의 단전지 모듈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전지 모듈이 복수로 적층되어 일체화된 평판형 타입의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도 3a~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상기 NiO-YSZ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의 혼합분말을 분무 건조한 후 이를 플
라스크 용기 내에 담아 이 플라스크의 각 부위별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 성형 및 소결한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
으로서,
도 3a는 상측부위, 도 3b는 중간부위, 도 3c는 하측부위로부터의 각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4a~4c는 비교예에서 플라스크 용기 내에서 건조된 상기 NiO-YSZ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의 혼합분말을 이 플
라스크의 각 부위별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 성형 및 소결한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도 4a는 상측부위, 도 4b는 중간부위, 도 4c는 하측부위로부터의 각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지지체"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SOFC)에 있어서 연료전지 구조체[0017]
를 이루는 고체 산화물 구조체를 일컬으며, 이의 표면에는 연료극층, 전해질층 및 공기극층이 각각 형성된다.
이의 예로는 전술한 원통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에서의 연료극 지지체(2),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
지에서의 제1 및 제2 지지체(24)가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타입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지지체용 조성분말로는 세라믹조성분말에 연료가스의[0018]
용이한 흡착을 위하여 기공 형성제가 혼합된다. 이러한 기공 형성제는 폴리스틸렌 등 공지된 폴리머 계열 조성
공개특허 10-2014-0141832
- 5 -
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공 형성제인 폴리스틸렌과 세라믹을 혼합할 경우, 밀도차이로 인해 세
라믹과 폴리스틸렌이 균일하게 혼합되기가 어렵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층 분리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관해, 본 발명자들은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 세라믹 조성으로서의 NiO 또는[0019]
LSM(란타늄-스트론튬-망간)과, 폴리스틸렌을 각각 50 : 50 vol%로 볼밀을 사용하여 혼합한 후 플라스크에서 건
조하였다. 그리고, 이 플라스크의 상측, 중간 및 하측 부위에서의 각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 몰드 내에서 압력을
인가하여 성형한 후 소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렇게 소성된 각 시편에서 아래 표 1과 같이 밀도 및 기공율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표 1
구분[0020] NiO 폴리스틸렌 LSM 폴리스틸렌
상측부위 중간부위 하측부위 상측부위 중간부위 하측부위
밀도
(g/㎤)
6.71 6.58 6.53 6.19 6.14 6.05
기공율
(%)
55.0 50.0 49.5 50.2 48.4 47.7
특히, NiO와 폴리스틸렌 혼합 조성분말로 된 시편은 상측부위 시편에서 폴리머 함량의 과다로 인해 크랙(crac[0021]
k)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소량의 세라믹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을 혼합할 경우에는 감압형 페이스트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과[0022]
건조과정을 동시에 진행하면 이러한 현상을 해결할 수 있지만, 대량생산을 위해 대량의 분말을 혼합하는 공정에
는 신규의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 세라믹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 등의 기공 형성제를 혼합한 분말의[0023]
슬러리를 분무 건조기에 투입하여 분무건조(spray dry) 함으로써 건조분말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현
상이 억제됨을 알아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말로 성형 및 소결하는 경우 미세구조가 균일하고 굽힘강
도(flexural strength)가 크게 증가함에 기인한다.
이러한 분무 건조기는 해당 슬러리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회전디스크의 기계적인 분사력에 의해 작은 액적으로[0024]
분사된 후 챔버 내에서 건조함으로써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공지된 모든 분무 건조
기가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고체전해질 연료전지(SOFC) 지지체의 세라믹분말 조성으로서 산화니켈(NiO) 분말과[0025]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을 혼합한 NiO-YSZ 원료분말을 사용하며, 이때 함량비로서 상기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의 함량은 상기 NiO-YSZ 원료분말 대비 20~50 wt%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NiO-YSZ 분말에 기공 형성제가 혼합되며, 이러한 기공 형성제로는 폴리스틸렌을[0026]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해당분야 공지의 조성물질로 될 수 있다. 기공 형성제의 함량은 NiO-YSZ 원료
분말 대비 30~60 vol%, 바람직하게는 40 vol%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NiO-YSZ 원료분말에 기공 형성제가 혼합된 혼합분말에 기포제거 및 균일한 혼합[0027]
을 위해 소포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소포제는 폴리글리콜 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해당분야에 공지된
조성물질로 될 수 있고 상기 혼합분말 대비 0.04~0.05 wt%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NiO-YSZ 원료분말에 기공 형성제가 혼합된 혼합분말에 성형성을 향상하기 위한[0028]
결합제가 첨가되어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디
에틸렌프탈레이트, 파라핀,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 해당분야의 공지된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상기 혼합분말 대비 0.3~0.7 wt%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0029]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0030]
산화니켈(NiO) 분말과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을 무게비로 6:4 비율로 하여 날젠병에 넣고, 직경[0031]
10㎜ 지르코니아 볼을 채운 후 볼밀을 사용하여 혼합한 후 건조하여 NiO-YSZ 원료분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공개특허 10-2014-0141832
- 6 -
NiO-YSZ 원료분말 3㎏을 이용하여 분무 건조를 위한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해 NiO-YSZ 원료분말에 기공 형성제인
폴리스틸렌을 원료분말 대비 약 40vol%를 넣고 물을 1.5L를 용매로 하여 혼합하였으며 기포제거와 균일한 혼합
을 위해 소포제를 무게대비 0.04~0.05%,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결합제로서 PVA를 0.3~0.7 wt%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조성들을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실시예[0032] NiO-YSZ 원료분말 기공 형성제 소포제(wt%) 결합제(wt%) 점도(cP)
1
3㎏ 40 vol%
0.04 0.3 15
2 0.04 0.4 50
3 0.04 0.5 80
4 0.04 0.6 130
5 0.04 0.7 180
6 0.05 0.3 20
7 0.05 0.4 52
8 0.05 0.5 75
9 0.05 0.6 132
10 0.05 0.7 175
이때, 결합제 첨가량에 따라 15~150 cP의 점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생성되는 그레뉼 사이즈는 평균 60~260[0033]
㎛로 점도 증가시 평균 그레뉼 크기가 성장함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결합제의 양이 0.7% 이상에서 과립의 형상
에 문제가 발생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점도의 상승으로 인해 분무기(atomizer)에 슬러리가 흡착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입구온도 220℃, 출구온도 130℃, 분무기 회전속도는 8,000rpm으로 유지하면서 분무건[0034]
조하여 과립을 얻었다. 이 과립자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1400~1450℃ 범위로 소결하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지지체를 형성하였다.
비교예[0035]
실시예와 동일하게 NiO-YSZ 원료분말을 형성하였다. 먼저 합성한 NiO-YSZ 분말과 기공 형성제인 폴리스틸렌을[0036]
원료분말 대비 약 40vol%를 3ℓ날젠병에 넣고 용매인 에탄올을 첨가한 후, 직경 10㎜ 및 3㎜ 지르코니아 볼을
채운 후 24시간 동안 150rpm으로 볼밀한 후 건조하였다. 그리고, 이 분말을 이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조
건으로 성형 및 소결하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지지체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10과 비교예의 비교[0037]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지지체의 소결후 미세구조를 도 3a~3c에 나타낸다. 도[0038]
3a~3c는 상기 표 2의 실시예 4 조성에 따라 상기 NiO-YSZ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의 혼합분말을 분무 건조한 후
이를 플라스크 용기 내에 담아 이 플라스크의 상측(도 3a), 중간(도 3b) 및 하측(도 3c) 부위에서의 각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 성형 및 소결한 것이다. 도 3a~3c를 참조하면, 각 채취부위에 관계없이 균일한 기공분포를 가짐
이 관찰된다.
이에 대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지지체의 소결후 미세구조를 도 4a~4c에 나타낸다. 도[0039]
4a~4c는 비교예에서 플라스크 용기 내에서 건조된 상기 NiO-YSZ 원료분말과 폴리스틸렌의 혼합분말을 이 플라스
크의 상측(도 4a), 중간(도 4b) 및 하측(도 4c) 부위에서의 각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 성형 및 소결한 것이다.
도 4a~4c를 참조하면, 각 채취부위에 따라 기공분포가 크게 달라짐이 관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지지체는 비교예에 비교하여 매우 균일한 내부 미세구조[0040]
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래 표 3은 본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지지체의 기공율 및 굽힘강도를 측정한 값을 나타낸[0041]
다. 표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4가 비교예에 비해 굽힙강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기공율은 약
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4-0141832
- 7 -
표 3
구분[0042] 기공율(%) 굽힘강도(Mpa)
실시예 4 38 175
비교예 34 126
이상, 상술된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 조성분말의 평균입도, 분포 및 비표면적과 같은 분말특성[0043]
과, 원료의 순도, 불순물 첨가량 및 열처리 조건에 따라 통상적인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지극히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0044]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
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4-0141832
- 8 -
도면2a
도면2b
도면3a
공개특허 10-2014-0141832
- 9 -
도면3b
도면3c
도면4a
도면4b
공개특허 10-2014-0141832
- 10 -
도면4c
공개특허 10-2014-0141832
- 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