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11) 공개번호 20-2011-0009076
(43) 공개일자 2011년09월23일
(51) Int. Cl.
A61K 8/00 (2006.01)
(21) 출원번호 20-2010-0002763
(22) 출원일자 2010년03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3월17일
(71) 출원인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경북 김천시 대광동 1344
(72) 고안자
이승묵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 주공 휴먼시아 아파트
406동 1404호
박노전
대전광역시 동구 용운동 용방마을아파트 304동
504호
(74) 대리인
성상희, 김판묵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54)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
(57) 요 약
본 고안은 아이브로우 펜슬 제조시에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원료를 균일하게 냉
각시키기 위한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냉각수 순환에 따른 냉각이 가능하고 일정 형태의 성형공간을 가진 금형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공간의
일부에는 보호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보호용기가 안착된 성형공간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원료를
냉각시킴에 있어, 상기 보호용기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기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
슬의 냉각속도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과 직접 맞닿는 성
형공간 내면에는 냉각속도 지연막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냉각속도 편차에 따라 아이브로우 펜슬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낮
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신뢰성 높은 아이브로우 펜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이브로우
펜슬의 표면 광택도 우수해지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된다.
대 표 도 - 도1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1 -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냉각수 순환에 따른 냉각이 가능하고 일정 형태의 성형공간(2)을 가진 금형(1)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공간(2)의
일부에는 보호용기(3)가 안착되며, 상기 보호용기가 안착된 성형공간(2)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
원료를 냉각시킴에 있어,
상기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
의 냉각속도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과 직접 맞닿
는 성형공간 내면(2a)에는 냉각속도 지연막(5)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브로우 펜슬원
료 냉각구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속도 지연막(5)은 0.2 ~ 1.0 밀리미터(mm) 두께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
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브로우 펜슬 제조시에 금형의 성[0001]
형공간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원료를 균일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리트랙터블(retractable) 타입의 아이브로우 펜슬(eyebrow pencil)은 펜슬 및 펜슬을 저장·보호하[0002]
는 보호용기, 펜슬을 보호용기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보호용기 내부로 집어넣는 리트랙터블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리트랙터블 타입의 아이브로우 펜슬 제조는 금형의 성형공간에 보호용기를 안착시킨 다음 보호용기가[0003]
안착된 성형공간으로 액상의 펜슬원료를 주입하고 냉각 고체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펜슬은 보호용
기의 하단 외부로 일부 돌출된 상태로 고체화되어 제조된다.
종래의 액상 펜슬원료에 대한 냉각은 금형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금형을 냉각시킴으로써, 금형의 성형공간[0004]
에 주입된 액상의 펜슬을 냉각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액상 펜슬원료를 냉각할 경우, 펜슬의 일부는 보호용기 내에서 냉각 고체화[0005]
되고 또 일부는 보호용기 외부로 돌출되어 금형과 곧바로 맞닿은 상태에서 냉각 고체화되기 때문에, 금형과 맞
닿아 있는 보호용기 외부 돌출 펜슬 부분은 상대적으로 냉각(고체화)이 더디게 진행된다.
즉, 보호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펜슬 및 보호용기 내의 펜슬 간에는 냉각 속도에 대한 편차가 발생하며, 이는 결[0006]
국 고체화된 펜슬 가운데, 보호용기 내, 외부 펜슬 간 경계면 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은 수요자들에게 제품과 제조회사에 대한 불만 증가 및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므로 그 시[0007]
급한 해결수단이 요구된다.
고안의 내용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2 -
해결하려는 과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액상 아이브로우 펜슬원료의 냉각시에 제반되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0008]
출된 것으로써, 특히 성형공간에 안착된 보호용기 내, 외부 액상 펜슬원료 간 냉각 속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
록 한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각수 순환에 따른 냉각이 가능하고 일정 형태의 성형공간(2)[0009]
을 가진 금형(1)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공간(2)의 일부에는 보호용기(3)가 안착되며, 상기 보호용기가 안착된
성형공간(2)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원료를 냉각시킴에 있어,
상기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0010]
의 냉각속도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과 직접 맞닿
는 성형공간 내면(2a)에는 냉각속도 지연막(5)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은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0011]
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의 냉각속도 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
로우 펜슬(4)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이 만나는 가상의 경계면에 발생되는 냉각속
도 편차에 따른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완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고, 수요자들에게 신뢰성 높은 아이브로우 펜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표면 광택도 우수해지
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유익한 고안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상태 예시도.[0012]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부를 발췌한 참고 분해 사시도.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아이브로우 펜슬원료 냉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0013]
본 고안은,
냉각수 순환에 따른 냉각이 가능하고 일정 형태의 성형공간(2)을 가진 금형(1)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공간(2)의[0014]
일부에는 보호용기(3)가 안착되며, 상기 보호용기가 안착된 성형공간(2)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아이브로우 펜슬
원료를 냉각시킴에 있어,
상기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0015]
의 냉각속도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과 직접 맞닿
는 성형공간 내면(2a)에는 냉각속도 지연막(5)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냉각속도 지연막(5)은 보호용기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의 냉각속도 및 보호용기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0016]
우 펜슬의 냉각속도 간 편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0.2 ~ 1.0 밀리미터(mm) 두께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상기 냉각속도 지연막(5)을 0.2 ~ 1.0 밀리미터(mm) 두께로 구성할 경우에 냉각속도 편차가 가장 최소화될 수[0017]
있으며,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용기 외부로 돌출된 아이브로우 펜슬(4a)의 광택이 증가되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한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3 -
상기 용기 외부로 돌출된 아이브로우 펜슬(4a)의 광택은 상기 냉각속도 지연막(5)의 표면정도(surface[0018]
roughness)에 따라 달라지는데, 실리콘 외의 통상적인 합성수지들이나 금속 재질에 비해 실리콘 재질이 표면정
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금형과 맞닿아 제조되었던 종래의 아이브로우 펜슬에 비해 실리콘 재질의 냉각속도 지연막[0019]
(5)이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아이브로우 펜슬의 광택이 훨씬 더 우수하게 된다.
색조화장품류는 제품이 갖는 기본적인 기능보다 외관디자인, 광택, 색채 등과 같은 부가적인 측면이 중요하게[0020]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색조화장품류에 속하는 아이브로우 펜슬은 상기와 같은 우수한 광택으로 제
조되어 공급될 경우 수요자들에게 만족감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속도 지연막(5)을 형성함에 있어, 액상 또는 겔(gel) 형태의 실리콘을 상기 보호용기(3) 외부로[0021]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과 직접 맞닿는 부분에 해당되는 성형공간 내면(2a)에 얇게(0.2~1.0mm) 도포한 다
음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제조된 고체 형태의 냉각속도 지연막을 접착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0022]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금형의 성형공간(2)에 보호용기(3)를 안착시킨 다음 보호용기(3)가 안착된[0023]
성형공간(2)으로 액상의 펜슬원료를 주입하고 냉각 고체화시킴으로써, 보호용기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의
아이브로우 펜슬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의 냉각 속도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0024]
a)의 냉각속도 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호용기(3) 내부 아이브로우 펜슬(4) 및 보호용기(3) 외부로 돌출
되는 아이브로우 펜슬(4a)이 만나는 가상의 경계면에 발생되는 냉각속도 편차에 따른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생산자들에게는 완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수요자들에게는 보다 신뢰성 높은
아이브로우 펜슬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 : 금형 2 : 성형공간[0025]
2a : 성형공간 내면 3 : 보호용기
4 : 아이브로우 펜슬 5 : 냉각속도 지연막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4 -
도면
도면1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5 -
도면2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076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