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및 그 합성수지 피복 강재(Synthetic resin coathing method of steel)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2. 15:32공개특허 10-2004-0058970
- 1 -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Int. Cl.7
B29C 63/00
(11) 공개번호
(43) 공개일자
10-2004-0058970
2004년07월05일
(21) 출원번호 10-2002-0085491
(22) 출원일자 2002년12월27일
(71) 출원인 변무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400번지5호 (21/5) 연지토성아파트 801호
(72) 발명자 변무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400번지5호 (21/5) 연지토성아파트 801호
(74) 대리인 김봉규
박문수
심사청구 : 있음
(54)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및 그 합성수지 피복 강재
요약
본 발명은 강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재 자체에 남아있는 여열을 이용하여 그 표면을 효율적으로 피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은 강편(Billet)이 가열로(1)를 통과하여 연속압연기(2)를 거쳐서 소정의 단면형
상으로 성형되고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에 다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소요 길이
로 절단되는 공정을 통하여 강재(10)를 제조할시에, 상기 강재(10)가 절단기(3)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용융온도에 맞추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게 하여, 강재(10)의 표면에
합성수지피복층(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대표도
도 1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의 전체공정을 예시한 것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강재의 표면에 용착된 P.V.C로서 합성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
타낸 것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강재의 표면에 용착된 P.E로서 합성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
낸 것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강재의 표면에 용착된 테플론으로서 합성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임
공개특허 10-2004-0058970
- 2 -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강재의 표면에 E.V.A로서 합성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
임
도6는 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강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7는 환봉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강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강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파이프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강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열로 2: 연속압연기 3: 절단기
4: 합성수지통 5: 프라이머통 6: 무기질파우더통
10: 강재 20: 합성수지피복층 21: P.V.C
22: P.E 23: 테플론 24: E.V.A
30: 프라이머 40: 무기질파우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강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재 자체에 남아 있는 여열을 이용하여 그 표면을 효율적으로 피복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재는 비교적 적은 단면으로 많은 구조적인 하중을 감당할 수 있는 구조재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그 강재의
표면에 방청처리를 하지 않으면 산화작용에 의하여 녹슬기 쉬운 결함이 있으며, 일단 녹이 발생되면 그 유효단면점이
감소되어서 구조적인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강재의 표면에 적절하게 방청처리하여서 녹스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형강의 표면에 방청도료를 도포하여서 녹스는 것을 방지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방청도료는 형강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쉽게 락되어서, 방청도료가 탈락된 부위의 강재에 산화작용에 의하여 녹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강재 전체에 녹이 번져서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 하게 되었다.
한편, 합성수지는 내구성이 매우 커서 강재를 방청처리하는 데 매우 이상적이지만, 강재에 합성수지를 피복하는 작업
이 용이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강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재 자체에 남아있는 여열을 이용하여 그 표면을 효율적으로 피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개특허 10-2004-0058970
- 3 -
본 발명의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은 강편(Billet)이 가열로(1)를 통과하여 연속압연기(2)를 거쳐서 소정의 단면형
상으로 성형되고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에 다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소요 길이
로 절단되는 공정을 통하여 강재(10)를 제조할시에, 상기 강재(10)가 절단기(3)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용융온도에 맞추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게 하여, 강재(10)의 표면에
합성수지피복층(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강재(10)를 제조할 때에, 그 강재(10) 자체에 남아있는 여열을 이용하여 강재(10)의 표
면에 자연스럽게 합성수지피복층(20)을 형 성하여 주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은 강편 (Billet)이 가열로(1)를 통과하여 연속압연기(
2)를 거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에 다시 길이방향
으로 이동되어서 소요 길이로 절단되는 공정을 통하여 강재(10)를 제조할시에, 상기 강재(10)가 절단기(3)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용융온도에 맞추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
게 하여, 강재(10)의 표면에 합성수지피복층(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
이다.
상기 합성수지통(4) 내에는 분말 또는 겔상태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채워서, 그 합성수지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합성수지피복층(20)을 일체로 형성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강재(10)가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기 이전에, 그 합성수지통 (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프라이머통(
5)을 경유하게 하고, 상기 강재(10)의 표면에 프라이머(30)가 도포된 상태로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강재 (10)의 표면에 용착된 프라이머(30)를 매개로 하여 합성수지피복층(20)이 더욱 견실하게 피복 형성되도록 한다.
또, 상기 합성수지피복층(20)이 표면에 형성된 강재(10)는 상기 합성수지통 (4)의 후방에 배치된 무기질파우더통(6)
을 다시 경유하도록 하여서, 상기 합성수지피복층(20)의 외면에 무기질파우더(40)가 도포되도록 하여서 제조과정에
서 인접하는 강재(10)들이 상호 달라붙은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무기질파우더 (40)로 미립자형태의 시멘
트를 사용하여 상기 합성수지피복층(20)이 이질의 콘크리트와 친화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
기질파우더(40)로 미립자형태의 석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강재(10)는 도6의 도시와 같이, 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강재(10)는
도7 내지 도9의 도시와 같이, 환봉의 단면형상이나 찬넬형의 단면형상 또는 파이프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도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강재(10)가 150-2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
치하여 두고, 그 합성수지통(4) 내에 150-2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P.V.C(21)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4)을 통
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P.V.C(21)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 (10)가 200-3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성수지통(4) 내에 200-3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P.E(22)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
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P.E(22)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 (10)가 300-40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성수지통(4) 내에 300-4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테플론(23)을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
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테플론(23)으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 (10)가 100-1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성수지통(4) 내에 100-1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E.V.A(24)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
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E.V.A(24)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재의 제조과정에서 강재 자체에 남아 있는 여열을 이용하여 그 표면에 합성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공개특허 10-2004-0058970
- 4 -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강편(Billet)이 가열로(1)를 통과하여 연속압연기(2)를 거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에 다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소요 길이로 절단되는 공정을 통하여 강재(10)를 제
조할시에, 상기 강재(10)가 절단기(3)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용융온도에 맞추어 위
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게 하여, 강재(10)의 표면에 합성수지피복층(20)이 일체로 형성되도
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10)가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기 이전에, 그 합성수지통(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프라
이머통(5)을 경유하게 하고, 상기 강재 (10)의 표면에 프라이머(30)가 도포된 상태로 합성수지통(4)을 경유하도록 함
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피복층(20)이 표면에 형성된 강재(10)는 상기 합성수지통(4)의 후방에 배치된 무기질
파우더통(6)을 다시 경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파우더(40)로 미립자형태의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
복방법.
청구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파우더(40)로 미립자형태의 석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
방법.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10)는 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10)는 환봉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10)는 파이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10)가 150-2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
성수지통(4) 내에 150-2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P.V.C(21)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P.V.C(21)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10)가 200-3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
성수지통(4) 내에 200-3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P.E(22)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P.E(22)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청구항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10)가 300-40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
성수지통(4) 내에 300-4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테플론(23)을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4)을 통과하는 강재(10)
의 표면에 용착되는 테플론(23)으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
방법.
청구항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통(4)은 상기 강재(10)가 100-150℃의 온도로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고, 그 합
성수지통(4) 내에 100-15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E.V.A(24)를 채워서, 상기 합성수지통(4)을 통과하는 강재(10)의
표면에 용착되는 E.V.A(24)로서 합성수지피복층(2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합성수지 피복방법.
공개특허 10-2004-0058970
- 5 -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04-0058970
- 6 -
도면2
도면3
도면4
공개특허 10-2004-0058970
- 7 -
도면5
도면6
도면7
도면8
도면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