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apparatus for changing transfer direction of papermoney)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5. 17:59공개특허 특2002-009103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Int. Cl.7
G07F 17/32
(11) 공개번호
(43) 공개일자
특2002-0091032
2002년12월05일
(21) 출원번호 10-2002-0071774
(22) 출원일자 2002년11월18일
(71) 출원인 유일반도체 주식회사
경기 여주군 여주읍 가업리 233
(72) 발명자 최규훈
경기도오산시부산동779-1오산운암주공3단지아파트320동1001호
임이혁
경기도오산시부산동오산운암주공1단지아파트108동1805호
정용락
경기도수원시팔달구영통동964-5번지주공아파트514동402호
백성택
경기도오산시부산동779-1오산운암주공3단지아파트304동1602호
심사청구 : 있음
(54)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요약
본 발명은 지폐의 이송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폐 이송방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장치는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21)의 중앙에는 수직으
로 슬릿 형상의 하부이동로(122)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2)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설치공
(123)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일측면에 상기 측면부(1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의 상부이동로(131)를 구비하는 측면프레임(13
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측면프레임(130)이 조립되었을 때, 그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1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얼라인핀(2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홈을 그 하부면에 구비하며,
그 상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소정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홈이 상호 소정의 간격과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전환부재(210)를 구비하는 방향전환부(200)와, 상기 반향전환부(200)의 얼라인핀(215)의 하부에 구동 가능하
게 연결되어, 방향전환부(200)를 소정 각도 좌, 우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대표도
도 1
- 1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부프레임부 200: 방향전환부
100: 프레임부 300: 구동부
400: 고정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친코, 슬롯머신 등과 같은 게임기기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남은 잔액 또는 게임 경품에 해당하는 소정의 금액을 지폐로 사용자에게 직접 지불하기 위하여 이송함에 있어서, 지폐
의 이송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폐 이송방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친코, 슬롯머신 등과 같은 게임기기는 게임단말기의 우측 또는 소정 좌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샌드위치패널(Sandwich Panel)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mm의 패널인 경우에는 1개의 샌드위치 패
널이, 그리고 40mm의 샌드위치 패널인 경우에는, 2개의 샌드위치 패널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게임을 시작하기 위하여,
지폐 또는 동전을 샌드위치 패널에 설치된 지폐 또는 경화투입구에 소정의 금액을 넣으면, 상기 투입한 금액 만큼 소정
개수의 구슬이 배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배출된 구슬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게임기기에 설
정된 게임의 규칙에 따라 승리를 하면 경품을 구슬로 지급 받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게임을 마치고 난 이후에, 게임 동
안에 획득한 구슬을 바구니에 담고, 구슬 계수기에 가서 구슬의 개수를 계수하면, 계수된 구슬의 개수에 대한 영수증을
발급 받게 된다. 사용자는 발급 받은 영수증을 게임기기 운영자 또는 직원에 전달하게 되면, 게임기기 운영회사에서 마
련한 소정의 경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의 게임기기에서는 고가의 지폐 또는 경화를 사용하게 될 경우, 게임에 사용하고 난 잔액에 대하여, 현금으
로 지급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5000엔을 투입하고, 3000엔
만큼을 게임에 사용하였다면, 사용하지 않은 나머지 2000엔을 현금을 돌려 받지 못하고, 2000엔에 해당하는 구슬을
지급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게임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고가의 지폐 또는 동전의 사용을 자제
하기 때문에, 게임기기의 수익을 발생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 2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친코, 슬롯머신 등과 같은 게임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남은 잔액 또는 게임 중에
획득하게된 경품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폐 또는 동전을 지급하기 위하여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는 전체적으로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수
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바닥부에는 안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21)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슬릿 형상의 하부이동로(122)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
착홈(122)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설치공(123)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일측면에 상기 측면부(1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
의 상부이동로(131)를 구비하는 측면프레임(13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측면프레임(130)이 조립되었을
때, 그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1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0)와, 그 하부에 소정 형상의 헤드부를 갖는 얼
라인핀(215)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얼라인핀(2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홈을 그 하부면
에 구비하며, 그 상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소정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홈이 상호 소정의 간격과 각도
로 형성되어 있는 전환부재(210)를 구비하는 방향전환부(200)와, 상기 반향전환부(200)의 얼라인핀(215)의 하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향전환부(200)를 소정 각도 좌, 우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변환장치는 전체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좌, 우측 및 소
정 부위들이 수직으로 소정의 폭 만큼 개방된 박스 형상의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
하게 삽입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투입되는 지폐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부(200)와, 상기 프레임
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방향전환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300)와, 상기 프레임부(100)를 소정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방향전환부(2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200)는 원통형상의 전환부재(210)와, 상기 전환부재(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로지르며 직선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직선로(211)와, 상기 직선로(21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을 두고 곡선으로 형성된 상부전환로(212)와, 상기 직선로(213)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곡선
으로 형성된 하부전환로(213)와, 상기 전환부재(2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환부재(213)의 전환 방향을 검출하
기 위한 센서핀(214)과, 상기 전환부재(210)의 하부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그 헤드부가 삽입되며 그
리고 그 헤드부의 회전에 따라 전환부재(210)를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얼라인핀(215)과, 상기 얼라인핀
(215)의 외부로 삽입 설치되는 볼베어링(216)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전체 구성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20)이 L-자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
기 메인프레임(120)의 바닥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바닥에는 전환부재(210)의 하부가 안착할 수
- 3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있도록 구성되는 안착홈(122)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22)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의 설치공(1
2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부(121)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사각형 바닥부에서 일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일
체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21)의 중앙에는 V자 형상으로 관통된 하부이동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후에 성세히 기술하겠지만, 상기 하부이동로(122)를 통과하여 지폐가 이송된다. 상기 하부이동로(122)를 단면으로 보
면, 전체적으로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는 폭이 넓고, 그 하부는 폭이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21)와 상호 대형되는 위치에는 측면프레임(130)이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부(1210과
같은 높이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130)의 중앙에는, 상기 측면부(1210의 하부이동로(122)와 동일한 형
상으로 V-자 형상의 상부이송로(13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이 고정나사에 의하여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 그 위를
상부프레임(110)이 덮는 형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부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상부프레임(110)이 측면프레임(13
0) 및 측면부(121)에 각각 고정나사(11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나사구멍(1120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20)의 하부에는 구동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00)의 DC모터(32
0)는 스페이셔(321), 와셔(332) 및 고정나사(331)의 개재 하에 L-형상의 지지브라켓(310)에 고정된다. 상기 DC모
터(320)의 축에는 베벨기어(330)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부라켓(310)은 그 상면에 형성된 상부구멍(31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나사(314)에 의하여 기준프레임(12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제2도의 얼라인핀(215)의 하단에 삽입 설치되는 베벨기어(340)는 스냅링(341) 및 와서(342)의 개재 하에
베벨기어(330)와 연결되어, DC모터(320)의 동력은 베벨기어(330) 및 베벨기어(340)를 경유하여 얼라인핀(215)을
구동하게 되고, 다라서 얼라인핀(215)의 상면에 기워져 결합되어 있는 전환부재(210)가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이송장치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의 고정브라켓(410)은 그 하면에 형성된 대구멍(412)을 통하여 센서(411)가 삽입 설
치되고, 그리고 그 상면에 형성된 소구멍(411)을 통하여 와셔(413)의 개재 하에 고정나사(412)가 삽입되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친코,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기기를 중심으로 양측, 즉 상하부분에 두 사람의 사용자가 게임을 하고 있다고 가정
한다. 그리고, 게임기기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상부에 앉아서 게임을 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게임을 하고 남은 잔액 또
는 게임을 통하여 취득한 경품에 대하여 지폐로 지불해야 한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신호를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발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신호에 따라, DC모터(320)가 구동하면, 이와 연결된 베벨기어(330)
및 베벨기어(334)가 소정의 회전수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수 만큼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베벨기어(340)와 연
결된 얼라인핀(215)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얼라인핀(215) 상면에 삽입 연결
되어 있는 전환부재(210)이 소정의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전환로(212)의 입구부(212
-1)의 방향이 직선로(211)와 같은 위치에 오게되어, 이를 통하여 이송된 지폐를 상부전환로(212)의 출구부(212-2)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지폐는 90도 방향전환을 하여 상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송된 지폐는 게임
기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게임 사용자에게 이송된 지폐가 전달되는 것이다. 만약, 게임을 하고 난 잔액을 게임기기의 아
래쪽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지폐로 지불해야 할때는, 상기 DC모터(320)는 상기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얼라인핀(215)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하고, 그리고 전환부재(210)가 시계 반대 방향
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전환로(213)의 입구부(213-1)는 직선로(211)의 위
치에 오게됨에 따라, 입구부(213-1)로 이송되는 지폐는 그 방향의 90도 전환되어 하부로 이송된다. 따라서, 게임기기
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잔액 또는 경품에 해당하는 지폐를 지불할 수 있는 것이다.
- 4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전환부재(210)에 형성된 직선로(211), 상부전환로(212), 및 하부전환로(
213)의 형성 각도를 조금씩 달리하여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여러 가지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지폐의 이송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파친코, 슬롯머신 등과 같은 게임기기에 적용될시에는, 게임 기기를 중심으로 상하에 나란히 않아 있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게임을 하고 난 잔액 또는 게임 중에 취득하게 되는 경품을 지폐로 효과적으로 이송하여, 사용자에게 지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 기술한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전체적으로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바닥부에는 안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21)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슬릿 형상의 하부이동로(
122)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2)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설치공(123)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일측면에 상기 측면부(1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중앙
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의 상부이동로(131)를 구비하는 측면프레임(13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
과 상기 측면프레임(130)이 조립되었을 때, 그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1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0)와
;
그 하부에 소정 형상의 헤드부를 갖는 얼라인핀(215)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얼라인핀(2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홈을 그 하부면 에 구비하며, 그 상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소정 깊이를 갖
는 복수개의 홈이 상호 소정의 간격과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전환부재(210)를 구비하는 방향전환부(200)와;
상기 반향전환부(200)의 얼라인핀(215)의 하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향전환부(200)를 소정 각도 좌, 우측으
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2.
제1항에서, 상기 방향전환부(210)의 상면에는 그 중심으로 관통하여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를 방향전환
없이 그대로 이송하기 위한 직선로(211), 상기 직선로(211)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투입되는 지폐를 상
부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방향 전환할 수 있는 상부전환로(212)와, 상기 직선로(211)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
성되고, 투입되는 지폐를 하부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방향 전환할 수 있는 하부전환로(2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3.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300)는 DC모터(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 5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청구항 4.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이 소정 개수의 베벨 기어를 경유하여 얼라인핀(215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5.
제1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200)의 전환부재(210)에 형성된 상부전환로(212)의 입구부(212-1) 및 출구부(212
-2)의 각도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6.
제1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200)의 전환부재(210)에 형성된 하부전환로(212)의 입구부(213-1) 및 출구부(213
-2)의 각도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7.
제1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200)의 전환부재(210)에 형성된 상부전환로(212)의 입구부(212-1) 및 출구부(212
-2)의 각도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청구항 8.
제1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200)의 전환부재(210)에 형성된 하부전환로(212)의 입구부(213-1) 및 출구부(213
-2)의 각도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 6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도면
도면 1
- 7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도면 2
- 8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도면 3
- 9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도면 4
- 10 -
공개특허 특2002-0091032
도면 5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