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11) 공개번호 20-2007-0001118
(43) 공개일자 2007년10월23일
(51) Int. Cl.
A43B 3/18 (2006.01) A43B 3/16 (2006.01)
A43B 3/16 (2006.01)
(21) 출원번호 20-2007-0014525
(22) 출원일자 2007년08월29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8월29일
(71) 출원인
최종일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녹촌리 268-1 성생공단
한신초경(내)
(72) 고안자
최종일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녹촌리 268-1 성생공단
한신초경(내)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신발커버
(57) 요 약
본 고안은 새벽에 산행시 이슬, 또는 우천시 빗물이나 흙탕물로부터 신발이나 다리부분의 옷가지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신발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신발커버는 신발(16)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의 등부분을 덮는 신발보호부(11)와, 다리의 하
퇴부(17)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호부(12)는 개폐지퍼(13)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보호부(11)에는 신발(16)에 결합 지지될 수 있는 탄성밴드(15)가 있는 것에 특
징이 있다.
본 고안 신발커버는 우천시 착용하여 신발 및 옷가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주머니(20)가 다리보호부(12)에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휴대 및 보관을 편리
하게 한다.
대표도 - 도3
- 1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신발(16)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의 등부분을 덮는 신발보호부(11)와, 다리의 하퇴부(17)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호부(12)는 개폐지퍼(13)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보호부(11)에는 신발(16)에 결합 지지될 수 있는 탄성밴드(15)가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신발커버.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는 신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
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보호부(12)에 지퍼(21)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
는 신발커버.
청구항 3
신발(16)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16)의 등부분을 덮는 신발보호부(11)와, 다리의 하퇴부(17)를 감
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호부(12)는 개폐지퍼(13)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보호부(11)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핀(31)이 있는 고정띠(30)가 있고,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는 신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보호부(12)에 지퍼(21)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다리보
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신발(16)이 올라서는 보조밑창(13)이 있으며,
상기 보조밑창(13)에 상기 고정핀(31)이 결합되는 조절구멍(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조절띠(40)가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신발커버.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새벽에 산행시 이슬, 또는 우천시 빗물이나 흙탕물로부터 신발이나 다리부분의 옷가지의 오염을 방지<1>
할 수 있도록 한 신발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신발커버는 눈이나 비가 내리는 우천시 산행을 하거나 거리를 보행을 하다보면, 등산화, 운동화, 구두 등과 같<2>
은 신발이 젖거나 양말이나 바지 하단부가 젖는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된다.
그러나 사용되고 있는 신발커버들은 부츠형태의 것들로서 신발에 또 다른 신발을 신는 것과 같은 것으로써 착용<3>
이 불편하고, 착용중에 비가 오지 않는 경우 착용하였던 신발커버를 별도로 휴대하기 불편하다.
또한, 우천시 가랑비와 같은 소량의 비가 오는 경우에는 우산은 쓰되 신발커버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보행<4>
중 많은 비가 오는 경우에는 부피가 큰 신발커버를 별도로 휴대하지 못하여 신발이나 바지 하단이 오염되게 된
다.
또한, 신체 크기(발사이즈)가 다른 사람들끼리는 일정한 사이즈의 신발커버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5>
- 2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고안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신발크기가 다르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신발커<6>
버를 고안하는 데 있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 신발커버는 신발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의 등부분<7>
을 덮는 신발보호부와, 다리의 하퇴부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호부는 개폐지퍼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8>
신발보호부에는 신발에 결합 지지될 수 있는 탄성밴드가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9>
또한, 다리보호부 및 신발보호부는 신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보<10>
호부에 지퍼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주머니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다리보호부 및 신발보호부를 뭉
쳐서 상기 주머니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 신발커버는신발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의 등<11>
부분을 덮는 신발보호부와, 다리의 하퇴부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호부는 개폐지퍼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12>
신발보호부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핀이 있는 고정띠가 있고,<13>
상기 다리보호부 및 신발보호부는 신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고,<14>
상기 다리보호부에 지퍼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주머니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다리보호부 및 신발<15>
보호부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신발이 올라서는 보조밑창이 있으며, 상기 보조밑창에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조절구멍이 일정한 간격으<16>
로 복수 형성된 조절띠가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효 과
본 고안 신발커버는 우천시 착용하여 신발 및 옷가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주머니(20)가 다리보호부(12)에 <17>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휴대 및 보관을 편
리하게 한다.
또한, 신발보호부(11)의 앞부분이 열린 구조로 되어 있고, 탄성밴드(15) 또는 고정띠(30)와 조절띠(40)로 인해 <18>
신발(16)크기가 다른 사람도 착용할 수 있게 한다.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 신발커버의 제1실시예, 도 3 및 도 4는 제2실시예, 도 5 및 도 6은 제3실시예의 도면이<19>
다.
제1실시예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신발커버(10)는 신발(16)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의 등부<20>
분을 덮는 신발보호부(11)와, 다리의 하퇴부(17)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보
호부(12)는 개폐지퍼(13)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보호부(11)에는 신발(16)에 결합 지
지될 수 있는 탄성밴드(15)가 있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는 개폐지퍼(13)를 열은 다음, 신발(16)에 탄성밴드(15)를 이용하여 착용하고 개폐지퍼(1<21>
3)를 닫아서 착용하는 것인데, 신발보호부(11)의 앞부분이 열린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신발(16)크기가 다른 사
람도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 신발커버(10)는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는 신<22>
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보호부(12)에 지퍼(21)에 의해서 열고 닫
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신발커버(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다
- 3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 신발커버(10)는 신발(16)의 앞부분과 신발바닥을 제외한 신발(16)의 <23>
등부분을 덮는 신발보호부(11)와, 다리의 하퇴부(17)를 감싸는 통형상의 다리보호부(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보호부(12)는 개폐지퍼(13)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보호부(11)의 가장자리<24>
에는 고정핀(31)이 있는 고정띠(30)가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는 신축이 가능한 스판덱스(spandex)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어 <25>
있으며, 상기 다리보호부(12)에 지퍼(21)에 의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재봉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발(16)이 올라서는 보조밑창(13)이 있으며, 상기 보조밑창(13)에 상기 고정핀(31)이 결합되는 조<26>
절구멍(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조절띠(40)가 재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보조밑창(13)이 있음으로 해서 제1,2실시예에서 탄성밴드(15)가 땅바닥에 직접 닿아 끊<27>
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게 하고, 고정띠(30)와 조절띠(40)에 의해서 신발 크기가 다른 사람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밑창(13)을 신발커버(10)로부터 분리시키고, 다리보호부(12) 및 신발보호부<28>
(11)를 뭉쳐서 상기 주머니(20)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도면,<29>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도면,<30>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제3실시예의 도면이다.<31>
- 4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도면
도면1
도면2
- 5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도면3
도면4
- 6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도면5
- 7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
도면6
- 8 -
공개실용신안 20-2007-00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