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Power Line Communication Repeater Installed To Power Lin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23. 20:38(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03월25일
(11) 등록번호 10-1505997
(24) 등록일자 2015년03월1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B 3/5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134642
(22) 출원일자 2013년11월07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11월0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60077275 A
KR1020110024374 A
(73) 특허권자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72길 60 (서초동)
(72) 발명자
정수옥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212, 9동 1008호 (대치
동, 은마아파트)
유철환
서울특별시 관악구 성현로 80, 136동 1801호 (봉
천동, 관악드림타운아파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최병길, 이익상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김종권
(54) 발명의 명칭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전력선 모뎀부(14)와 전원부(18)를 내장하고 있는 본체(10), N상 전력선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20,40), 및 힌지 결합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2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하여 N상 전력선(N)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상 연결구(19)와, 전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5
등록특허 10-1505997
- 1 -
력선 중에서 전원 라인과 전력선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 프로브 라
인과 신호선 프로브 라인이 유입되는 신호선 연결구(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0,40)의 내면에는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N상 전력선(N)과 도통되는 도통접촉부재(26,28; 46,48)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통접
촉부재(26,28; 46,48)는 상기 결합부(20)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도체부재(23,27,29;
43,47,49)를 매개로 상기 본체(10)의 N상 연결구(19)를 통해서 상기 전력선 모뎀부(14)와 상기 전원부(18)에 도
통접속되어 있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72) 발명자
김동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1395번길 19-8, B동
B101호 (성사동, 세인빌라)
김봉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로13길 19, 302호 (신정동)
등록특허 10-1505997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전력선 모뎀부(14)와 전원부(18)를 내장하고 있는 본체(10), N상 전력선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0,40), 및 힌
지 결합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20,4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하여 N상 전력선(N)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상 연결구(19)와, 전
력선 중에서 전원 라인과 전력선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 프로브 라
인과 신호선 프로브 라인이 유입되는 신호선 연결구(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0,40)의 내면에는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N상 전력선(N)과 도통되는 도통접촉부재(26,28;
46,48)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통접촉부재(26,28; 46,48)는 상기 결합부(20,40)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도체부재
(23,27,29; 43,47,49)를 매개로 상기 본체(10)의 N상 연결구(19)를 통해서 상기 전력선 모뎀부(14)와 상기 전원
부(18)에 도통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상 전력선(N)이 피복으로 감싸진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20)의 도통접촉부재(26,28)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피복을 뚫고 들어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상 전력선(N)이 피복이 없는 꼬임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N상 전력선(N)을 밀착해서 감싸는 도체 보호
캡(5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40)의 도통접촉부재(46,48)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N상 전력선
과의 결합시 상기 N상 전력선을 감싸는 도체 보호 캡(50)과 밀착되어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장착
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청구항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모뎀부(14)에는 전력선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에 접속되는 프로브 라인의 플러그(P)가 결합
되는 소켓(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청구항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전력선 모뎀부(14)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17)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통신부
(17)를 통하여 무선통신제어단말에 의하여 상기 전력선모뎀부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에 직접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력[0001]
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505997
- 3 -
배 경 기 술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음성[0002]
과 문자데이터, 영상 등을 전송하는 것으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이 확보되어 있다면 별도의
통신선로가 필요없이 전원라인을 통해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선통신에 사용되는 전력선통신 중계장치(2)는 전주(1)에 부설하고, 전력[0003]
선통신 중계장치(2)에 연결된 프로브(probe) 라인(4)을 각 T상, S상, R상 및 N상 전력선(T,S,R,N)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프로브 라인(4)은 전선정리용 몰드(3)를 이용하여 전주(1)에 고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선 중계장치(2)는 전주에만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개소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0004]
또한, 종래의 전력선 중계장치(2)는 전력선(T,S,R,N)에서부터 전주(1)까지 거리에 의하여 비교적 긴 프로브 라[0005]
인(4)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력선 통신 손실이 대략 10dB 정도로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선 중계장치(2)는 프로브 라인(4)의 정리용 몰드(3)와 전력선 중계장치(2)의 고정 기구 등을[0006]
포함하는 시공 자재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종래의 전력선 중계장치(2)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주에 설치된 전력선 중계장치(2)에 제어 단[0007]
말을 유선으로 접속하여 제어 단말을 이용하여 전력선 중계장치(2)의 제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주를 올라가
는 승주 작업에 의하여 작업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4406호 (2002.02.19 공고) [0008]
(특허문헌 0002) 일본공개특허 제2004-15165 (2004.01.15 공개)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력선에 직접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0009]
설치 개소의 제한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짧은 프로브 라인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력선 통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 프로브 라인 정리용 몰드나 전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자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비용
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용 무선통신부를 내장하여 구성하고 유지관리시에 무선제어단말을 통하여 무선통신에 의하[0010]
여 장치의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시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선 장
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전력선 모뎀부(14)와 전원[0011]
부(18)를 내장하고 있는 본체(10); N상 전력선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0,40); 및 힌지 결합에 의하여 상기 결
합부(2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하여 N상 전력선(N)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상 연결구(19)와, 전[0012]
력선 중에서 전원 라인과 전력선 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 프로브
라인과 신호선 프로브 라인이 유입되는 신호선 연결구(12)가 장착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10-1505997
- 4 -
상기 결합부(20,40)의 내면에는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N상 전력선(N)과 도통되는 도통접촉부재(26,28;[0013]
46,48)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통접촉부재(26,28; 46,48)는 상기 결합부(20)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도체부재[0014]
(23,27,29; 43,47,49)를 매개로 상기 본체(10)의 N상 연결구(19)를 통해서 상기 전력선 모뎀부(14)와 상기 전원
부(18)에 도통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상 전력선(N)이 피복으로 감싸진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20)의 도통접촉부재(26,28)는 일정 간격으[0015]
로 돌출 형성된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피복을 뚫고 들어가 도통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N상 전력선(N)이 피복이 없는 꼬임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N상 전력선(N)을 밀착해서 감싸는 도체[0016]
보호 캡(5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40)의 도통접촉부재(46,48)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N상 전
력선과의 결합시 상기 N상 전력선을 감싸는 도체 보호캡(50)과 밀착되어 도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선 모뎀부(14)에는 전력선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에 접속되는 프로브 라인의 플러그(P)가[0017]
결합되는 소켓(S)을 구비하고, 단상 및 3상 겸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에는 전력선 모뎀부(14)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17)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통신부[0018]
(17)를 통하여 무선통신 제어 단말에 의하여 상기 전력선 모뎀부(14)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에 직접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개소의 제한을 없앨[0019]
수 있고, 또한 짧은 프로브 라인을 사용하므로 인하여 전력선 통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프로브 라인 정리용 몰드나 전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자재 등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시공이 간단하게 되어
시공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용 무선통신부를 내장하여 구성하고 유지관
리시에 무선통신 제어 단말을 통하여 무선통신에 의하여 장치의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
시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00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특허 10-1505997
- 5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002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0022]
세서에서는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3상 4선식 전력선통신선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
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100)는 접지선으로 사용되는 N상[0023]
전력선(N)에 결합되고 전력선통신 신호선으로 사용되는 S상 및 T상 전력선(S,T)과 전원선으로 사용되는 R상 신
호선(R)에 각각 프로브 라인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0024]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
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본체(10),[0025]
결합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전력선 모뎀부(14; 도 5 참조)와, 내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0026]
원부(18; 도 5 참조)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 외관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구성은 도 5
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20)는 접지선(중성선)으로 사용되는 N상 전력선(N)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외관은 플라[0027]
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는 힌지 결합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2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외관은 플라스[0028]
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2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0029]
2케이스(22,24)의 일단은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부(30)를 힌지 축으로 하여 개폐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22,24)의 타단에는 결합편(25,29)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0)가 N
상 전력선(N)을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케이스(22,2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본 실
시예에서 결합편(25,29)은 볼팅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그 이외의 다른 결합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는 N상 전력선(N)이 피복으로 감싸진 경우의 구성으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22,24)의 내면에는 N상[0030]
전력선(N)과의 결합시 N상 전력선(N)과 도통하기 위한 도통접촉부재(26,28)가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
도통접촉부재(26,28)는 핀 형상으로 복수 개씩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핀 형상의 도통접촉부재
(26,28)는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피복을 뚫고 들어가 N상 전력선(N)과 도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기적[0031]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연결부(30)를 통하여 N상 전력선(N)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0032]
상 연결구(19)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N상 연결구(19)는 연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도체부재(29)와 상기 결합
부(20)의 제1 및 제2케이스(22,24)의 내부에 매몰된 도체부재(27)를 매개로 핀형상의 도통접촉부재(26,28)와 전
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N상 연결구(19)는 전원부(18)와 전력선 모뎀부(14)의 커플링부(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력선 모뎀부[0033]
(14)와 전원부(18)의 접지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력선 중에서 전원 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본 실시예에서는 R상 전력선)과 전기적[0034]
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 프로브 라인(R1)과, 전력선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전력선(본 실시예에서는 S상 전력
선과 T상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이 유입되는 신호선 연결구(12)가 장
착되어 있다.
상기 전원선 프로브 라인(R1)은 전원부(18)에 접속되고, 상기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은 전력선 모뎀부(14)[0035]
의 커플링부(16)에 접속된다. 여기서, 커플링부(16)는 접속된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에서 전력선통신 신호
등록특허 10-1505997
- 6 -
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과의 접속용 소켓(S)을 구비하고 있고, 이 소켓(S)에는 신호
선 프로브 라인(S1,T1)의 플러그(P)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과 커플링
부(16)의 접속을 소켓과 플러그 방식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단상과 3상을 겸용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력선 모뎀부(14)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17)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무선통[0036]
신부(17)는 유지관리시에 작업자가 무선통신 제어 단말을 이용하여 전력선 중계장치가 설치된 부근에서 상기 전
력선 모뎀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부(17)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피복이 있는 N상 전력[0037]
선(N)에 핀형상 도통접촉부재(26,28)가 피복을 뚫고 들어가도록 결합부(20)를 결합하고 신호선 프로브 라인
(S1,T1)과 전원선 프로브 라인(R1)을 각각 S상, T상 및 R상 전력선(S,T,R)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
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전력선에 직접 장착하므로 설치 개소의 제한을 없앨[0038]
수 있고, 또한 짧은 프로브 라인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력선 통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프로브 라인 정리용 몰드나 전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자재 등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시공이 간단하게 되어
시공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용 무선통신부를 내장하여 구성하고 유지관리시에 무선통신
제어 단말을 통하여 무선통신에 의하여 장치의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시의 작업성을 현
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0039]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합된 상
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가 전력선에 결
합된 상태에서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0040]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도체 보호 캡(50)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점과, 결합부(20)의 도통접촉부재(46,48)의
형상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1 및 제2케이스(42,44)는 제1 및 제2케이스(22,24)와 대응하고, 결합편(45,49)은 결합
편(25,29)과 대응하며, 도체부재(47,49)는 도체부재(47,49)와 대응한다.
본 실시예는 N상 전력선(N)이 피복이 없는 꼬임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N상 전력선(N)을 밀착해서 감싸는 도체[0041]
보호 캡(50)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보호 캡(50)은 한쪽이 트여있는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N상 전력선
(N)을 끼운 상태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압착하여 N상 전력선(N)을 밀착해서 감싸는 원통 형상이 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20)의 도통접촉부재(46,48)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N상 전력선(N)과의 결합시 상기 N상 전[0042]
력선을 감싸는 도체 보호 캡(50)과 밀착되어 도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는, 피복이 없는 꼬임선으[0043]
로 된 N상 전력선(N)을 도체 보호 캡(50)으로 밀착해서 감싼 후에 바형상 도통접촉부재(26,28)가 도체 보호 캡
(50)을 밀착해서 접촉하도록 결합부(20)를 결합하고 신호선 프로브 라인(S1,T1)과 전원선 프로브 라인(R1)을 각
각 S상, T상 및 R상 전력선(S,T,R)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도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선[0044]
장착형 전력선통신 중계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0045]
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
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등록특허 10-1505997
- 7 -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신호선 연결구[0046]
14 : 전력선 모뎀부 16 : 커플링부
17 : 무선통신부 18 : 전원부
19 : N상 연결구 20 : 결합부
22 : 제1케이스 24 : 제2케이스
25,29 : 결합편 26,28 : 핀형상 도통접촉부재
27,29 : 도체부재 30 : 연결부
40 : 결합부 42 : 제1케이스
44 : 제2케이스 45,49 : 결합편
46,48 : 바형상 도통접촉부재 47,49 : 도체부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05997
- 8 -
도면2
등록특허 10-1505997
- 9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505997
- 10 -
도면5
등록특허 10-1505997
- 11 -
도면6
등록특허 10-1505997
- 12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505997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