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계전기(relay)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6. 20:09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H01H 45/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07월22일
10-0503547
2005년07월15일
(21) 출원번호 10-2003-0039410 (65) 공개번호 10-2004-0110200
(22) 출원일자 2003년06월18일 (43) 공개일자 2004년12월31일
(73) 특허권자 이원재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6 목동현대하이페리온 102-1405
이문재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 501-1 풍림아이원2차 108-501
(72) 발명자 이원재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6 목동현대하이페리온 102-1405
이문재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 501-1 풍림아이원2차 108-501
(74) 대리인 이대선
심사관 : 이수희
(54) 계전기
요약
본 발명은 계전기의 접점부가 어느정도로 마모될때까지 스위칭 작동을 할 수 있는지를 소비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에는 회로를 강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재질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20)와, 이 코
어(2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30)와, 이 스위치(30)의 선
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이 스위치(30)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접촉가능하도록 케이스(10)에 관통설치되는 고정접점(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설치
된 작동축(70)과, 이 작동축(70)의 내측단에 구비되며 이 작동축(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를 하향 회동시키는
캠(7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가 제공된다.
대표도
도 6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계전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계전기의 스위치가 하강되었을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축을 도시한 사시도
등록특허 10-0503547
- 1 -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축을 회전시켰을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축을 전진시켰을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코어
30. 스위치 40. 고정접점
50. 스프링 70. 작동축
71. 공구삽입홈 72. 캠
74. 조작레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전기의 접점부가 어느정도로 마모될때까지 스위칭 작동을 할 수
있는지를 소비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에는 회로를 강제로 연결시
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계전기(보통, 릴레이라 함)란 전기 회로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로를 연결시켜주거나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자기기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계전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2)와, 이 코어(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의 일측벽
에 관통설치되고 회로의 부하단에 연결되는 고정접점(3)과, 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코어(2)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
격된 위치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된 스위치(4)와, 이 스위치(4)에 연결설치되어 이 스위치(4)를 고정접점(3)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번호 6은 상기 스위치(4)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 자성체이다.
따라서, 상기 계전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면 코어(2)가 자화되어, 이 코어(2)의 상측에 구비된 자성체(6)를 잡아당기
게 되므로, 이 자성체(6)에 연결된 스위치(4)가 하측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이 스위치(4)의 선단부가 고정접점(3)에 밀착되
어 회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코일에 전원을 차단하면 스위치(4)이 스프링(5)에 의해 고정접점(3)에서 이격되어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계전기는 상기 스위치(4)이 고정접점(3)과 접촉시 스파크 등에 의해 양 접점(3,4)의 접점부가 마모
되어 손상되는데, 이러한 계전기는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스위치(4)이 코어(2)에 달라붙더라도 이 스위치(4) 선단의
접점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3)에 접촉되지 않아, 회로를 연결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계전기에 연결된 장
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계전기의 접점부가 어느 정도로 마모될때까지 스위칭 작동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어하나 종
래의 계전기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계전기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로를 온오프시키기만 할 뿐 필요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없이도 회로를 도
통시키는 등의 작동을 할 수 없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전기의 접점부가 어느정도로 마모될때까지 스
위칭 작동을 할 수 있는지를 소비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에는 회
로를 강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계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투명재질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
(20)와, 이 코어(2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30)와, 이 스
위치(3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이 스위치(30)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접촉가능하도록 케이스(10)에 관통설치되는 고
정접점(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의 일측벽에 회전가능
하게 관통설치된 작동축(70)과, 이 작동축(70)의 내측단에 구비되며 이 작동축(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를 하향
회동시키는 캠(7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가 제공된다.
등록특허 10-0503547
- 2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동축(70)의 외측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조작레버(74) 또는 공구삽입홈(71,75)이
형성되어, 이 조작레버(74) 또는 공구삽입홈(71,75)을 통해 작동축(7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외벽면에는 상기 조작레버(74)가 수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
한 안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70)의 캠(72)이 하사점을 지나 소정각도 더 회전되면 이 작동축(70)의 조작레버
(74)가 안착홈(12)의 측벽면에 걸려져서 상기 스위치(30)가 캠에(72)에 의해 눌려져 고정접점(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재질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
긴 코어(20)와, 이 코어(2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기단부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
된 스위치(30)와, 이 스위치(3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이 스위치(30)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접촉가능하도록 케이스
(10)에 관통설치되는 고정접점(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10)의 일측벽에 전후진가능하게 관통설치된 작동축(70)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30)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축(70)의 전
진에 따라 이 작동축(70)의 내측단에 걸려지는 연동턱(33)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70)이 스위치(30)의 연동턱(33)을 전
진시키면 이 스위치(30)는 하측에 위치된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가 제공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계
전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계전기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된 사각형상의 케이스(10)
와, 이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20)와, 이 코어(20)의 상측에 구비되며 기단부를 중심
으로 상기 코어(20)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로의 입력단이 연결되는 스위치(30)와, 이 스위치(30)의 선단부 하
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에 관통설치되며 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고정접점(40)과, 상기 스위치(30)에 연결설치되
어 이 스위치(30)를 고정접점(40)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30)는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스위치몸체(32)와, 이 스위치몸체(32)
저면에 상기 코어(20)와 대응되도록 구비된 자성체(34)와, 상기 스위치몸체(32) 상단에 수평설치되며 회로의 입력단이 연
결되는 스트립형상의 가동접점(36)으로 이루어진 것을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그 배면 상단 일측에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2)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14)에 후술할 작동축(70)이 회동 및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작동축(70)의 조작레
버(74)가 상기 안착홈(12)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4)에는 스위치(30)의 중앙부 상측까지 연장된 작동축(70)이 관통설치되는데, 이 작동축(70)은 관통
공(14)에 회전 및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부 둘레부에는 이 작동축(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를 가압
하여 이 스위치(30)의 가동접점(36)을 고정접점(40)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돌기형상의 캠(7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축(70)의 외측단 둘레부에는 케이스(10)의 안착홈(12)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조
작레버(74)가 구비되어, 이 조작레버(74)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축(7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
기 작동축(70)의 외측단 단부면 및 조작레버(74)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십자 및 일자 형태의 공구삽입홈(71,75)
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계전기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공구삽입홈(71,75)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시
켜 작동축(7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30)의 스위치몸체(32) 상면에는 상기 작동축(70)의 내측단 단부면에 인접되도록 상향 돌출된 연동
턱(3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축(70)을 전진시킴에 따라 이 작동축(70)의 선단부에 연동턱(33)이 걸려져서 전진되
면서 스위치(30)가 하측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전기는 사용자가 상기 작동축(70)의 작동레버(74)를 일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이 작동축
(70)의 선단에 구비된 캠(72)이 스위치(30)를 고정접점(40)쪽으로 하향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상기 스위
치(30)의 가동접점(36)이 고정접점(40)에 접촉되기 시작할 때 이 스위치(30)와 코어(20) 사이에 어느정도로 간격이 남아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 스위치(30)의 접점부가 어느정도로 마모될때까지 스위칭 작동될 수 있는 가를 예측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계전기는 작동축(70)을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이 작동축(70)의 캠(72)은 하사점을 지나 상향 회동되려
하지만 작동축(70) 외측단의 조작레버(74)가 안착홈(12)에 측벽면에 걸려져 스톱핑되므로, 상기 스위치(30)의 가동접점
(36)이 고정접점(40)에 접촉되어 회로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70)을 도 7에서와 같이 전진시키면, 이 작동축(70)의 선단이 스위치몸체(32)의 상면에 구비된 연동턱
(33)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30)는 연동턱(33)에 비해 하측에 위치된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이 스위치(30)의 가동접점(36)이 고정접점(40)에 접촉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의 신뢰도를 소비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계전기는 소비자가 작동축(70)을 회전시키거나 전진시켜, 이 스위치(30)의 가동
접점(36)과 고정접점(40)이 어느정도로 마모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한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
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상기 작동레버(74)를 소정간도 이상으로 회전시켜서 회로를 항상 연결된 상태로 유
지되도록 강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7) 청구의 범위
등록특허 10-0503547
- 3 -
청구항 1.
투명재질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20)와, 이 코어(20)의 상측
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30)와, 이 스위치(3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이 스위치(30)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접촉가능하도록 케이스(10)에 관통설치되는 고정접점(40)을 포함하여 구
성된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설치된 작동축
(70)과, 이 작동축(70)의 내측단에 구비되며 이 작동축(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를 하향 회동시키는 캠(7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70)의 외측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조작레버(74) 또는 공구삽입홈(71,75)이 형성되어, 이
조작레버(74) 또는 공구삽입홈(71,75)을 통해 작동축(7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외벽면에는 상기 조작레버(74)가 수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70)의 캠(72)이 하사점을 지나 소정각도 더 회전되면 이 작동축(70)의 조작레버(74)가 안착홈(12)
의 측벽면에 걸려져서 상기 스위치(30)가 캠에(72)에 의해 눌려져 고정접점(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
청구항 4.
투명재질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코일이 감긴 코어(20)와, 이 코어(20)의 상측
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 기단부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30)와, 이 스위치(3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이 스위치(30)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접촉가능하도록 케이스(10)에 관통설치되는 고정접점(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의 일측벽에 전후진가능하게 관통
설치된 작동축(70)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30)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축(70)의 전진에 따라 이 작동축(70)의 내측단에 걸
려지는 연동턱(33)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70)이 스위치(30)의 연동턱(33)을 전진시키면 이 스위치(30)는 하측에 위치
된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
도면
등록특허 10-0503547
- 4 -
도면1
등록특허 10-0503547
- 5 -
도면2
등록특허 10-0503547
- 6 -
도면3
등록특허 10-0503547
- 7 -
도면4
등록특허 10-0503547
- 8 -
도면5
등록특허 10-0503547
- 9 -
도면6
등록특허 10-0503547
- 10 -
도면7
등록특허 10-0503547
- 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